32 1251

Cited 0 times in

정서.정보적지지 모임이 만성질환아 어머니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an emotional and informational support group on the stress of mother with a chronically ill child 
Authors
 김희순 
Issue Date
1989
Description
간호학과/박사
Abstract
[한글]

만성질환아 어머니는 자신의 자녀가 만성질환이라는 사실때문에 죄의식과 불안감을 항상 느끼고 있을 뿐만 아니라 만성질환아를 일차적으로 옆에서 돌보아야 하기 때문에 많은 책임감과 역할 부담감이 커지게 되어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된다. 따라서 만성질환아 어머니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간호중재가 절실하다고 하겠다.

한편 간호학 분야에서 사회적 지지가 스트레스에 처해있는 사람들을 보호해주고 있는 개념으로 여러 상황에서 적용되고 있다. 즉 사회결속을 통한 의미있는 타인과의 대화는 안정감과 지지를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지지 모델을 이론적 기틀로 해서 사회적 지지가 스트레스 과정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명제를 검정하기 위해 만성질환아 어머니를 대상으로 1988년 6월 30부터 9월 10일까지 자료수집 하였으며 독립변인으로 사회적 지지 정도를 측정하였고, 종속변인으로 만성질환아 어머니의 스트레스정도를 측정하였고 중재변인으로 만성질환아 어머니에게 정서, 정보적 지지 모임을 시행 하였다.

연구가설로는

제 1가설; 정서, 정보적 지지 모임에 참석한 만성질환아 어머니는 정서, 정보적 지지 모임에 참석하지 않은 만성질환아 어머니보다 만성질환아 어머니 스트레스 척도에 의한 스트레스 점수가 낮을 것이다.

제 2가설; 정서, 정보적 지지 모임에 참석한 실험군 어머니의 스트레스 감소 정도는 사회적 지지를 많이 가진 어머니에게서 사회적 지지를 적게 가진 어머니보다 더 클 것이다.

가설검정을 위해 유사실험연구중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 post test design으로 연구 설계하였으며 만성질환아 어머니를 실험군32명, 대조군32명으로 구분하여 사전에 Norbeck Social Support Questionnaire(NSSQ)에 의해 사회적 지지 정도, 스트레스 척도에 의한 스트레스 정도를 측정하였고, 실험군 어머니에게만 일주일 간격의 3회정서, 정보적 지지 모임을 적용한 후, 사후에 스트레스 정도를 다시 측정하고 비교 분석하였으며 가설검정을 위해 t-test, Paird t-test,비모수 통계에 의한 Sign test를 이용하였다.

제 1가설에서 사후에 실험군 어머니의 스트레스 정도는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으며 실험군의 사전 스트레스 보다 사후 스트레스가 유의하게 낮았고 반면 대조군에서는 사전 스트레스와 사후 스트레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이 오히려 사후에 약간 상승하는 경향을 보임으로써 정서, 정보적 지지 모임이 스트레스 감소에 효과적임을 규명하였다.

제 2가설에서 실험군 어머니에 있어서, 사회적 지지 정도가 높은 집단에서 사전에 비해 사후에 유의하게 스트레스가 낮았으며 사회적 지지가 낮은 집단에서 사전과 사후의 스트레스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음으로써, 스트레스 감소는 사회적 지지가 높은 어머니 집단에게서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회적 지지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사전, 사후 모두 스트레스를 적게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만성질환아 어머니의 지지모임은 질병에 대한 이해와 정보제공 뿐만 아니라 정서적 지지를 촉진시켜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중재방안이며 사회적 지지의 인지가 모임의 스트레스 감소에 완충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3회의 정서, 정보적 지지 모임과 추후 모임과정에서 같은 처지의 환아 어머니는 서로 동질감을 느끼며, 경험이나 정보의 교환이 서로에게 유익하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성질환아 어머니에게 가장 심각한 문제는 환아의 공격적인 성격에 대한 어머니의 갈등과 어머니 자신이 불안 신체 증상으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간호 실무에서 스트레스가 예상되는 대상자에게 모임을 통한 사회적 지지를 적용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겠다.







[영문]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whether the effects of an emotional and informational support group would lower the stress level in mothers with a chronically ill child. The investigator hypothesized that

a) Mothers in an emotional and informational support group setting, would show a lower level of stress when compared to mothers who did not have a support group.

b) The stress reducing effects of the emotional and informational support group will be greater for mothers with a high level of social support than for mothers with a low level of social support. This study was a Quasi experimental study of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obtained by taking a convenient sample of mothers with a chronically ill child, listed in three medical centers in Taegu city from June 30, through September, 10, 1988.

Of the Subjects, 32 mothers from Y medical center were designated the experimental group and 32 mothers from D and K medical center, the control group.

The stress responses of two group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emotional and informational support was given but the social support responses were measured only once.

The social support questionnaire developed by Norbeck (NSSQ) and a stress scale for chronicity, and a questionnaire for mothers developed by the investigator were used.

Data analysis was done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stress scale for chronicity, using of the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of Cronbach's alpha coefficient analysis.

The formulated hypothesis were examined using the t-test, paired t-test, and the nonparametric statistic, sign test.

In addition, the t-test and chi-square test were used to see if there were any difference in the general trait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Hypothesis 1 was supported.

a) The stress level of mot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post-test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mothers in the control group.

b) The post stress level of mot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pretest level.

c) The post stress level of mothers in the control group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an the pretest level

Hypothesis 2 was supported.

a) The post stress level in the high level social support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pretest level.

b) The post stress level in the low level social support group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an the prestress level.

c) The stress level for the high social support group as compared to the low level social support group, was lower in both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that an emotional and informational support group significantly reduces the stress of mothers with a chronically ill child, and is the most effective method of social support intervention.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3. Dissertation
Yonsei Authors
Kim, Hee Soon(김희순) ORCID logo https://orcid.org/0000-0001-6656-0308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848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