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Job Demands, Job Resources,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Burnout among School Nurses
Authors
신준영
College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Department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Degree
석사
Issue Date
2024-02
Abstract
본 연구는 직무요구-자원 모델(Job Demands-Resources Model; JD-R Model)을 기반으로 보건교사의 직무요구(업무량, 감정적 요구, 학생 및 가정 관련 요구), 직무자원(상사의 지지, 동료의 지지, 내적 보상, 외적 보상)과 긍정심리자본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본 연구는 편의 표집법 및 눈덩이 표집법으로 연구대상자 275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대상자는 전국의 초등학교, 중학교 또는 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보건교사이며 경력이 2년 이상인 대상을 선정하였고, 특수학교에서 근무하거나 2020년 3월 이후 휴직 기간이 1년 이상인 보건교사(육아, 질병, 또는 기타 사유 포함)는 제외하였다. 세브란스병원 생명윤리 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후 2023년 5월 12일부터 5월 22일까지 자료수집을 하였고, 중복응답, 선정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응답, 불성실한 응답 등에 해당하는 10개를 제외한 후 265개의 응답 자료를 최종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료는 SPSS/WIN 29.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 소진과 주요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수행한 결과, 직무요구 변수인 업무량(양적 요구)(r=.692, p<.001), 감정적 요구(r=.678, p<.001)와 학생 및 가정 관련 요구(r=.467, p<.001)는 모두 소진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직무자원 변수인 상사의 지지(r=-.208, p<.001), 동료의 지지(r=-.234, p<.001), 내적 보상(r=-.345, p<.001)과 외적 보상(r=-.390, p<.001)은 모두 소진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긍정심리자본(r=-.408, p<.001)도 소진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서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했으며(F=49.73, p<.001) 모형의 설명력은 62%였다. 소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업무량(양적 요구)(β=.446, p<.001), 감정적 요구(β=.292, p<.001), 학생 및 가정 관련 요구(β=.099, p=.027)와 긍정심리자본(β=-.130, p=.007)이었다. 하지만 직무자원 변수인 상사의 지지, 동료의 지지, 내적 보상과 외적 보상은 모두 소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본 연구 결과, 보건교사의 업무량(양적 요구)은 소진에 대한 가장 강력한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보건교사의 소진을 예방 및 감소하기 위하여 보건교사의 업무량(양적 요구)을 경감 또는 관리하기 위한 조직적, 정책적 관심과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보건교사의 감정적 요구와 학생 및 가정 관련 요구도 보건교사의 소진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이의 개선을 위해서는 감정 표출 통로 및 지지체계 마련, 학부모의 인식 개선 연수 제공 등의 다양한 효과적인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보건교사의 소진을 방지하거나 완화하기 위한 전략 또는 제도의 수립에 있어서 직무 관련 요인뿐만 아니라 개인적 자원인 긍정심리자본 강화의 중요성을 제고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job demands (workload, emotional demand, demand from students and families), job resources (support from supervisor, support from coworker, intrinsic reward, extrinsic reward),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burnout among school nurses. Job Demands-Resources Model (JD-R Model) guided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and snowball sampling methods from May 12 to 22, 2023. A total of 265 respons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findings reveal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f workload (quantitative demand), emotional demand, demand from students and families,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burnout among school nurses. Therefore, organizational and governmental efforts are needed to implement strategies that could effectively reduce school nurses’ job demands (workload, emotional demand, demand from students and families) and increase their level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order to mitigate their burno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