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9 820

Cited 0 times in

앱 기반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대장암 환자의 말초신경병증 증상에 미치는 효과: 무작위 대조군 연구

Other Titles
 The Effects of an App-Based Physical Activity Program on Peripheral Neuropathy Symptoms in Colorectal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uthors
 황윤정 
College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Department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Degree
박사
Issue Date
2022-02
Abstract
본 연구는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대장암 환자의 말초신경병증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앱 기반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앱 기반 신체활동 프로그램은 정보-동기-행동기술 모델(Information-Motivation-Behavioral Skills Model: IMB Model)을 기반으로 전달전략을 구성하고, 애플리케이션을 중재 전달방법으로 하여 대상자의 중재 순응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발된 프로그램이다. 프로그램의 효과 평가는 일 대학병원에서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대장암 환자 31명을 대상으로 6주 동안 앱 기반 신체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과 책자교육에 참여한 대조군 간의 시간의 경과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무작위 대조군 실험설계로 시행되었다. 자료수집은 말초신경병증 증상, 일상활동장애, 삶의 질, 말초신경병증 지식, 운동기대감, 운동 자기효능감의 평가를 위한 설문지와 중재 순응도를 평가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에 입력된 운동시간과 책자의 운동실천일지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5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앱 기반 신체활동 프로그램은 대상자의 중재 순응도 향상을 위하여 IMB 모델을 적용하여, 소프트웨어 개발 생명주기 방법론 중 폭포수 모델의 분석, 설계, 구현, 평가의 4단계를 거쳐 애플리케이션으로 개발되었다. 둘째,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 평가를 위한 연구가설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설 1. ‘앱 기반 신체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시간의 경과에 따라 말초신경병증 증상이 낮아질 것이다.’는 집단과 시간의 교호작용 효과가 유의한 차이를 보여(F=7.37, ρ=.004), 연구가설이 지지되었다. 2) 가설 2. ‘앱 기반 신체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시간의 경과에 따라 일상활동장애 정도가 낮아질 것이다.’는 중재 4주차에는 실험군과 대조군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Z=-1.82, ρ=.068), 사후에는 실험군과 대조군 간 유의한 차이가 있어(Z=-2.23, ρ=.026), 연구가설이 부분 지지되었다. 3) 가설 3. ‘앱 기반 신체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시간의 경과에 따라 삶의 질이 높아질 것이다.’는 집단과 시간의 교호작용 효과가 유의한 차이를 보여(F=6.32, ρ=.005), 연구가설이 지지되었다. 4) 가설 4. ‘앱 기반 신체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시간의 경과에 따라 말초신경병증 지식이 높아질 것이다.’는 집단과 시간의 교호작용 효과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F=2.25, ρ=.143), 연구가설이 기각되었다. 5) 가설 5. ‘앱 기반 신체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시간의 경과에 따라 운동기대감이 높아질 것이다.’는 집단과 시간의 교호작용 효과가 유의한 차이를 보여(F=5.61, ρ=.010), 연구가설이 지지되었다. 6) 가설 6. ‘앱 기반 신체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시간의 경과에 따라 운동 자기효능감이 높아질 것이다.’는 집단과 시간의 교호작용 효과가 유의한 차이를 보여(F=4.35, ρ=.030), 연구가설이 지지되었다. 7) 가설 7. ‘앱 기반 신체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중재 순응도가 높아질 것이다.’는 실험군과 대조군 간 1-4주 평균 중재 순응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Z=-1.88, p=.060), 5-6주 평균 중재 순응도는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Z=-3.72, p<.001), 1-6주 평균 중재 순응도 또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아(Z=-3.08, p=.002), 부분 지지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앱 기반 신체활동 프로그램은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대장암 환자의 말초신경병증 증상과 일상활동장애를 감소시키고, 삶의 질을 향상시켰으며, 운동기대감, 운동 자기효능감, 중재 순응도에도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 개발한 앱 기반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임상에서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대장암 환자의 말초신경병증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한 중재 전략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Files in This Item:
T015167.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8984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