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 715

Cited 0 times in

군 보건의료관리자의 신종감염병 위기관리 역량 및 행동지표 개발

Other Titles
 Development of Crisis Management Competencies and Behavioral Indicators for Emerging Infectious Disease for Korean Military Healthcare Leaders 
Authors
 배은경 
College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Department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Degree
박사
Issue Date
2022-02
Abstract
세계화의 진전, 교역의 증가 등으로 출현이 빈번해지는 신종감염병은 불확실성과 기습성을 특징으로 하여 군 전투력 손실의 원인이 되며 이는 국가 안보에 치명적 위협요소가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신종감염병으로 인한 위기 상황에서 군 보건의료관리자가 갖추어야 할 위기관리 역량과 행동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군 보건의료관리자의 역량의 구성요소는 주제범위 문헌고찰과 행동사건 면접을 통해 도출하였고 이 후, Person & Mitroff의 위기관리 단계에 따라 역량을 분류하여 예비 역량을 구성하였다. 예비 역량의 내용타당도는 8명의 군 보건의료전문가 패널에 의해 2차례에 걸쳐 검증하였고 내용타당도 비율과 패널들의 의견을 정성적으로 평가하여 분석하였다.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 도출된 역량(안)과 행동지표(안)의 실무적합성과 수행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에는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중령급 이상 장교 뿐 아니라 향후 임무를 수행하게 될 소령급 이상의 장교를 포함하였다. 서면조사와 모바일 조사를 병행하여 시행하였고 성실하게 응답한 130부(응답율 82.8%)를 활용하여 백분율과 평균±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마지막 단계에서 전문가 워크샵을 추가적으로 실시하여 현장 수용성이 높은 최종 역량을 규명하였다.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 규명된 역량(안)은 총 26개로 기본역량 2개, 감시단계 3개, 대비 및 예방단계 12개, 대응단계 6개, 회복단계 3개로 구성되었고 하위역량(안)은 74개, 행동지표(안)은 254개로 구성되었다. 실무적합성은 모든 역량(안)과 행동지표(안)이 80% 이상의 높은 적합성을 보였으며 전체 역량의 실무적합도(4점 척도)는 3.69±0.47점이었다. 단계별로는 대비 및 예방단계(3.83±0.53점), 대응(3.63±0.44점), 기본(3.59±0.51점), 회복(3.55±0.56점), 감시단계(3.42±0.60점) 순이었다. 수행수준(4점 척도)은 2.78±0.59점으로 실무적합도 보다 낮은 수준이었으며, 단계별로는 기본역량(2.96±0.60점), 대비 및 예방(2.95±0.66점), 대응(2.95±0.61점), 회복(0.69±0.69점), 감시단계(0.52±0.71점) 순이었다. 전문가 워크샵을 통해 현장 수용성을 높인 최종 역량은 21개가 확정되었는데, 위기관리 과정 전체에 필요한 역량은 “리더십”이었고, 감시단계에서는 “신종 감염병 감시 및 경보 역량”이 확정되었다. 대비 및 예방단계에는 “신종감염병 위기관리 네트워크 운영 역량”, “신종감염병 관리를 위한 지식과 기술”, “대응 계획 수립 역량”, “위기관리조직 운영 역량”, “군 의료기관 임무 수행 준비 역량”, “역학조사 준비 역량”, “군 보건의료인력 배치 준비 역량”, “군 의무군수지원 계획 역량”, “재정자원 확보 역량”, “윤리 및 적법한 대응 체계 구축 역량”, “예방접종 인프라 구축 역량”, “연구기술 인프라 강화” 등 12개 역량이, 대응단계에서는 “신종감염병 대응 체계 유지 역량”, “군내 확진자 발생 대응 역량”, “군 의료기능 유지 역량”, “군내 방역지침 조정 및 통제 역량”이 확정되었으며 회복단계에서는 “사후 평가 시스템 운영 역량”, “회복 및 복구 시스템 운영 역량”, “차기 신종감염병 대응을 위한 역량 강화 역량”을 확정하였다. 최종 역량에 따른 하위역량은 48개, 행동지표는 146개가 확정되었다. 본 연구는 신종감염병으로 인한 위기상황을 관리하기 위해 군 보건의료관리자가 개인 차원에서 갖추어야 할 역량을 처음으로 규명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위기관리 단계별 역량과 행동지표를 확인하고, 실무적합성과 수행수준을 확인함으로써 향후 군의 신종감염병 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실무와 정책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Files in This Item:
T015163.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8981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