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9 1117

Cited 0 times in

간호사 확보수준과 수술환자 의료관련 감염과의 연관성

Other Titles
 Nurse Staffing and Health Care-Associated Infections in Surgical Inpatients 
Authors
 김소희 
College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Department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Degree
박사
Issue Date
2022-02
Abstract
본 연구는 의료기관의 감염관리 간호사 및 일반병동 간호사 확보수준과 의료관련 감염과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상급종합병원 및 종합병원에 입원한 만 18세 이상, 청결 및 청결-오염수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건강보험 청구명세서 자료 및 의료기관 정보를 이용해 분석했다. 연구자료는 건강보험 청구자료는 분리청구될 수 있으므로 입원 시작일이 2016년 10월 자료부터 2017년 12월까지인 청구명세서로부터 자료를 추출했다. 추출한 자료는 입원기간이 2일 이상, 청결 및 청결-오염수술을 받은 환자, 첫 번째 수술, 응급실을 통해 입원한 환자 배제 등과 같은 자료 선택 절차를 거쳐 최종 분석자료가 선별되었다. 이 과정을 거쳐 최종분석은 312개 기관(상급종합병원 43개, 종합병원 269개), 136,916명(상급종합병원 81,301명, 종합병원 55,615명)으로 실시했다. 본 연구의 환자특성 변수는 성별, 연령, 건강보험 유형, Elixhauser comorbidity measure score, 본인일부부담금 산정특례 대상 여부, 침습적 처치, 수술종류, 수술 부위가 2부위 이상 여부, 중환자실 2일 이상 재원여부이며, 의료기관 특성은 의료기관 종별 구분, 의료기관 소재 지역, 설립구분, 수련기관 여부, 병상 수이다. 감염관리 간호사 확보수준은 감염예방·관리료 등급을 이용하였고, 일반병동 간호사 확보수준은 입원환자 간호관리료 차등제 등급을 이용했다. 결과변수는 건강보험 청구명세서에 의료관련 감염 상병(요로감염, 폐렴, 패혈증, 항생제 내성균) 기재 여부와 내성균 유효 항생제 사용여부이다. 통계 분석방법은 환자 및 의료기관 특성 현황, 환자 및 의료관련 감염 발생여부와의 관계 확인을 위해 기술통계 및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했다. 연구결과 감염예방·관리료 등급은 상급종합병원의 경우 모든 의료기관이 감염예방· 관리료 등급이 있었으며 1등급 의료기관이 81.4%로 많았다. 반면 종합병원은 등급이 없는 의료기관이 72.5%로 가장 많았다. 일반병동 간호사 확보수준은 상급종합병원은 1-3등급 중 하나에 해당했다. 종합병원은 1-7등급에 분포했으며 3등급이 23%로 가장 많았고, 7등급도 20.1%로 의료기관간 편차가 컸다. 이를 통해 상급종합병원의 간호사 확보수준은 의료기관 간 차이가 크지 않고 종합병원에 비해 양호함을 알 수 있다. 전체 의료기관에서 의료관련 감염발생은 요로감염 2.8%, 폐렴 1.8%, 패혈증 0.5%, 항생제 내성균 0.1%였고, 내성균 유효 항생제 사용 환자 수는 전체 환자 중 3.2%였다. 다수준 분석결과 상급종합병원은 간호사 확보수준과 의료관련 감염이나 내성균 유효 항생제 사용여부와의 연관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반면 종합병원은 감염예방·관리료 등급이 없는 의료기관에 비해 1등급 의료기관에서 의료관련 감염발생이 적었고, 간호관리료 차등제 7등급 의료기관에 비해 1-6등급 의료기관에서 의료관련 감염발생 및 내성균 유효 항생제 사용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급종합병원에서 간호사 확보수준과 의료관련 감염과의 연관성이 확인되지 않은 것은 의료기관 간호사 확보수준의 편차가 크지 않고 종합병원에 비해 인력수준이 양호하기 때문으로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준 분석 결과 간호사 확보는 의료관련 감염 발생 감소와 연관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감염관리 간호사와 의료관련 감염 발생과의 연관성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아울러 일반병동 간호사 확보수준과 의료관련 감염 발생과의 연관성을 다시 한번 확인한 연구로서 간호사 인력확보 강화를 추진 중에 있는 정부정책에 추진 근거가 될 수 있는 연구가 되기를 기대한다.
Files in This Item:
T015164.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8980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