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1 633

Cited 0 times in

BRCA1/2 변이를 가진 난소암 환자들의 가족 의사소통 과정과 영향요인에 대한 설문연구

Authors
 정고운 
College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Department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Degree
석사
Issue Date
2022-02
Abstract
본 연구는 BRCA1/2 유전자 변이를 가진 난소암 환자가 가족에게 유전자 검사 결과를 전달하는 의사소통 구조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상관성 조사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경기도 소재 상급종합병원 자궁 난소암 센터 외래에 방문하여 2021년 9월 16부터 2021년 11월 25일의 기간동안 외래를 방문한 BRCA1/2 변이를 가진 난소암 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Chi-square test와 Independent t-test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 총 131명중 일등친만 유전자 변이 사실을 공유한 대상자는 84명(64.1%), 이등친 이상 유전자 변이 사실을 공유한 대상자는 46명(35.1%) 유전자 변이 사실을 공유하지 않았다는 대상자는 1명(0.8%)이었다. 2. 유전자 검사 결과를 알린 가족 중 한명이라도 유전자 검사를 시행하였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일등친만 공유한 그룹에서 41명(48.8%)명 이등친 이상 공유한 그룹에서는 32명(69.6%)으로 가족 중 유전자 검사를 시행하였는지 여부가 유전자 검사결과를 공유한 친족범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χ2= 5.20, p= .023). 3. 유전상담 경험에서는 평균 절반(51.1%)정도가 유전상담을 받았다고 응답하였다. 일등친만 공유한 그룹은 39명(45.9%)이, 이등친 이상 공유한 그룹은 28명(60.9%)이 유전상담을 받은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여 이등친 이상 공유한 그룹에서 조금 높게 나타났다. 4. 불안, 우울, 유전성 지식 수준의 차이를 독립변수로 유전자 검사결과를 공유한 친족범위를 종속변수로 선정하여 Independent t-test를 시행하였을 때 유전자 검사 결과를 공유한 친족범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우울은(t=-1.23, P=.221)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불안(t=-2.08, P=.039)과 유전성 난소암 지식 수준(t=-2.30, P=.023)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가족의 유전자검사 시행 유무, 대상자의 불안, 유전성 난소암 지식도가 유전자검사 결과를 공유하는 친족범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는 환자가 더 많은 가족들과 유전자 검사 결과를 공유하여 가족들의 유전자 검사 시행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체계적 유전상담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is a correlation investigation study to identify the communication structure in which ovarian cancer patients with a BRCA1/2 mutation deliver genetic test results to their relatives and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m. The study subjects visited the outpatient clinic of the Uterine Ovarian Cancer Center at N hospital in Gyeonggi-do, Korea, to survey ovarian cancer patients with a BRCA1/2 mutation who visited the outpatient clinic from September 16 to November 25 in 2021.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s, and Independent t-test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1. Of the 131 patients, 84 patients (64.1%) shared genetic mutations with firstdegree family members, 46 patients (35.1%) shared genetic mutations with Beyond first degree, one patient (0.8%) did not share the fact of a genetic mutation. 2. The number of patients whose relatives got genetic testing was 41 (48.8%) in the group that shared the results with first-degree family members (69.6%) and 32 (69.6%) in the group that shared the results with Beyond first degree. Whether the relatives got genetic testing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nge of relatives who shared the genetic test results (χ 2= 5.20, p= .023) 3. An average of about half (51.1%) of the patients answered that they received genetic counseling. In the group that shared the results with 1st degree, 39 people (45.9%) received genetic counseling, 28 people (60.9%) of the group that shared the results with Beyond first degree received genetic counseling. It was slightly higher in the group that shared the results with Beyond first degree. 4. The Independent t-test was conducted with the level of anxiety, depression, and genetic knowledge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range of relatives who shared the genetic test results as dependent variables. Depression is a factor that doesn't affect the range of relatives who shared the genetic testing result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1.23, p=.221) Anxiety (t=-2.08, p=.039) and the level of knowledge of hereditary ovarian cancer (t=-2.30, p=.023)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This study shows that the range of relatives that the patients share the genetic test results with is affected by whether the relatives got the genetic testing, the anxiety of the patients, and the level of knowledge of hereditary ovarian canc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systematic genetic counseling is needed to increase the rate of genetic testing in families by sharing the genetic testing results with more relatives.
Files in This Item:
T015147.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8963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