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7 392

Cited 0 times in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bowel function improvement program for postoperative male rectal cancer patients

Other Titles
 남성 직장암 수술 후 환자를 위한 배변기능 향상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Authors
 김영만 
College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Department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Degree
박사
Issue Date
2020-02
Abstract
Background: Low anterior resection (LAR) has become a standard surgery for rectal cancer patients, to improve thei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However, rectal cancer patients with LAR experience bowel dysfunction.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 bowel function improvement program for male rectal cancer patients who have undergone LAR an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Design and Setting: This study was a prospective, unblind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his trial was conducted at a tertiary hospital, the second-largest hospital in Seoul, South Korea. Participants: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adult male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rectal cancer and had undergone LAR or ileostomy repair after LAR. The enrolled 34 patients were assigned to either the experimental or the control group in a 1:1 ratio. Methods: The bowel function improvement program for patients with rectal cancer surgery was developed based on Bandura’s self-efficacy theory and the modified Medical Research Council framework for developing a complex intervention. The bowel function improvement program was provided only for the experimental group. Self-efficacy, bowel function, HRQOL, and healthcare resources utilization were measured before discharge and at 1 and 3 months after discharg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25.0 and STATA 16.0. Independent t-tests, Wilcoxon rank-sum tests, and analysis of covariance were used to test the hypotheses at each time point, and generalized estimation equations were us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program over time. Results: The bowel function improvement program was developed as a 4-week intensive program (face-to-face education, telephone coaching) and an 8-week maintenance program (text message). The bowel function improvement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self-efficacy over time (regression coefficient = 4.53, p = .049) and partially so in reducing unplanned healthcare resources utilization (p = .044). Bowel function and HRQOL were favored in the experimental group, but the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it is expected that the bowel function improvement program will promote early recovery for rectal cancer surgery patients after discharge.

본 연구는 남성 직장암 수술 후 환자를 대상으로 배변기능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배변기능 향상 프로그램은 Medical Research Council의 복합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수정된 기틀 (Framework) 과 Bandura (1977)의 자기효능감이론을 적용하여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개발 과정은 1) 문제확인, 2) 체계적 문헌고찰, 3) 이론 확인, 4) 요구도 결정, 5) 임상 현장 조사, 6) 프로그램 초안 개발, 7) 전문가 타당도 확인, 8) 최종 프로그램 개발 단계를 거쳤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무작위 대조군 전후 실험설계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직장암 수술을 받고 퇴원이 예정된 성인 남성 환자였으며, 실험군 17명, 대조군 17명으로 실험군에게는 기존 프로그램과 배변기능 향상 프로그램을 제공하였고, 대조군에게는 기존 프로그램만을 제공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자가설문을 이용하여 퇴원 전(중재 전), 퇴원 후 1개월(집중 프로그램 종료 시점) 및 3개월(유지 프로그램 종료 시점)에 자기효능감, 배변기능, 건강관련삶의질을 측정하였고, 퇴원 후 1개월과 3개월에 의료자원이용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5.0 및 STATA 16.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시점별 가설 검증을 위하여 독립 표본 t 검정, 윌콕슨 순위 합 검정, 공분산분석을 이용하였고, 시간의 경과에 따른 효과 평가를 위하여 일반화추정방정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배변기능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배변기능 향상 프로그램 개발은 Bandura의 자기효능감 이론에 따라 4가지 효능 기대 자원(성취 경험, 대리 경험, 언어적 설득, 그리고 정서적 각성)을 활용하였다. 프로그램은 운동수행 및 유지, 식이관리, 증상관리, 동기부여, 장애요인 확인 및 극복을 목표로 하여 4주간 4회기의 집중 프로그램(운동, 식이 및 증상 관리에 대한 면대면 교육 2차례, 전화코칭 2차례)과 8주간의 유지 프로그램(매주 1회 문자 메시지)으로 구성하였다. 2. 배변기능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 가설 1: ‘배변기능 향상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시간의 경과에 따른) 자기효능감이 높을 것이다.’는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퇴원 후 3개월 실험군의 자기효능감 점수(65.65±12.10)는 대조군의 자기효능감 점수(62.06±12.01)보다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0.87, p= .392). 그러나 시간의 경과에 따른 자기효능감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B=4.53, p= .049). 가설 2: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시간의 경과에 따른) 배변기능이 향상될 것이다.’는 지지되지 않았다. 종결 시점인 퇴원 후 3개월 실험군의 배변기능장애 점수(27.76±12.94)는 대조군의 배변기능장애 점수(33.65±7.26)보다 낮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t= -1.63, p= .056). 시간의 경과에 따른 실험군과 대조군의 배변기능장애 점수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B= -9.59, p= .055). 가설 3: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시간의 경과에 따른) 건강관련삶의질이 높을 것이다.’는 지지되지 않았다. 퇴원 후 3개월 실험군의 모든 기능 점수와 증상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실험군과 대조군의 기능 점수 및 증상 점수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가설 4: ‘실험군의 의료자원 이용은 대조군보다 적을 것이다.’는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응급실 방문, 외래 방문, 약국 방문 및 의료진 연락을 포함한 계획되지 않은 의료자원 이용률과 의료비용은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낮았다. 그러나 퇴원 후 1 개월 약국 방문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44). 본 연구에서 개발된 남성 직장암 수술 후 환자를 위한 배변기능 향상 프로그램은 잠재적으로 배변기능을 향상시키고 일부의 계획되지 않은 의료자원 이용을 감소시키는데 기여하였다. 앞으로 임상 현장에서 퇴원이 예정된 직장암 수술 환자의 조기 회복을 도모하기 위해 간호사 주도 배변기능 향상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Files in This Item:
TA02556.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3. Dissertation
Yonsei Authors
Kim, Youngman(김영만) ORCID logo https://orcid.org/0000-0003-4042-8346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8600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