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960

Cited 0 times in

트라우마 경험 여자대학생을 위한 온라인 정신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Other Titles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Online Mental Health Program for Traumatized Female College Students 
Authors
 이경현 
College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Department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Degree
박사
Issue Date
2021-02
Abstract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트라우마 경험 후 우울, 불안, 불면, 두통 등 다양한 신체적·정신적 건강 문제를 가지게 되는 질환이다. 특히 여성은 남성보다 트라우마에 더 많이 노출되는 경향이 있으며, 트라우마 경험 후의 여러 건강 문제 악화에도 취약하다. 초기 성년기에 속하는 대학생은 트라우마에 잘 노출되며, 그로 인한 일상생활 및 대학생활 적응 문제를 갖는다. 이에 본 연구는 트라우마를 경험한 여대생을 대상으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측면을 모두 고려한 온라인 정신건강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서 로이의 적응이론을 이론적 기틀로 선택하였으며 Ellis(1979)의 인지정서행동이론을 근거하여 문헌 고찰을 통해 8회기의 구조화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여성 트라우마 대상자의 트라우마 경험에 대한 수치심이나 낙인화에서 올 수 있는 면대면 프로그램에 대한 거부감, 인터넷 접근에 어려움이 없는 연령의 특성, 익명성의 유지의 용이함 등을 고려하여 온라인 기반으로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은 여대생 34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총 8회기로 주 2회로 진행하였으며 회기마다 과제를 부여하고 과제마다 20∼40분 정도의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실험군은 사전 조사, 프로그램 종료 직후와 1달 후 사후조사를 하였고, 대조군은 사전 조사부터 1달 간격으로 총 3번 자료수집을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5.0 for window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Independent t-test,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가설 ‘온라인 정신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적용한 여자 대학생은 적용하지 않은 대학생보다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점수가 감소될 것이다.’는 실험군과 대조군의 집단과 시점 간 유의한 차이(P<.001)가 있어 지지되었다. 두 번째 가설 ‘온라인 정신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적용한 여자 대학생은 적용하지 않은 대학생보다 우울 점수가 감소될 것이다.’는 실험군과 대조군의 집단과 시점 간의 유의한 차이(P=.012)가 있어 지지되었다. 세 번째 가설 ‘온라인 정신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적용한 여자 대학생은 적용하지 않은 대학생보다 건강기능 점수가 증가 될 것이다.’는 실험군과 대조군의 집단과 시점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어(P=.003) 지지되었다. 네 번째 가설. ‘온라인 정신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적용한 여자 대학생은 적용하지 않은 대학생보다 대학생활 적응 점수가 증가 될 것이다.’는 실험군과 대조군의 집단과 시점 간의 유의한 차이(P=.003)가 있어 지지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볼 때 로이의 적응이론을 기반으로 한 온라인 정신건강프로그램은 트라우마를 경험한 여대생에게서 외상 후 스트레스와 우울을 감소시키고, 건강기능과 대학생활적응을 증진시키는 효과적인 간호중재라고 할 수 있겠다. 또한 추후 다양한 정신건강문제를 가진 대상자에게 온라인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확대 적용하기 위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Background: Female college students tend to be traumatized at higher rates than male college students and are also vulnerable to suffering various health problems after having traumatic experienc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an online mental health program, developed based on the Roy Adaptation Model.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n online mental health program at reducing the post-traumatic stress and depression and increase the functional health and adaptation to college of female college students who had traumatic experiences. Methods and Materials: This study had a randomized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A total of 34 participants were recruited online. The experimental group contained 18 participants and the control group contained 16 participants. Data was collected before the test, immediately after the test, and one month after the test. Methods: The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a 20–25 minute online program anonymously twice per week for four weeks. Data was analyzed using a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independent t-test, and repeated measured ANOVA with SPSS version 25. Results: The program consisted of eight sessions dealing with different topics: the effect of trauma on physical health, cognitive restructuring, recognition of the individual’s rol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results showed that reduces post-traumatic stress and depression and improved the health and adaptation to college of female college students who had traumatic experiences. Conclusions: The online mental health program based on the Roy adaptive model was shown to be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college of female college students who had traumatic experience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onlin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to address various mental health problems. The study also showed that psychiatric nurses should play a crucial role in digital mental health care interventions.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8527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