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849

Cited 0 times in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치료이행중재 개발 및 평가

Other Titles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reatment Adherence Intervention for the Old Adul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Authors
 신진희 
College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Department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Degree
박사
Issue Date
2021-02
Abstract
본 연구는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대상으로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치료이행중재를 개발하고 그 효과를 규명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의 사물인터넷 기반 치료이행중재는 건강신념 모델(Health Belief Model, HBM)을 적용하여 개발하였다. 중재 프로그램 개발과정은 IMP(intervention Mapping Protocol)에 따라 체계적으로 수행하였으며, 프로그램 개발단계와 프로그램 효과평가 단계로 수행되었다. 프로그램 개발과정으로 요구도 조사, 중재 목표설정, 이론기반의 중재 방법 및 수행전략 선택, 중재 내용개발, 중재 적용 및 수행계획 개발단계를 거쳐 개발되었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평가를 위해 무작위 대조군 전후 실험설계(Randomizes control trial design)를 시행하였으며,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 S 상급종합병원 신경과 외래에 내원하여 경도인지장애를 진단받은 65세 이상의 노인이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총 38명으로 실험군 18명, 대조군 20명이다. 실험군에게 6주 동안 치료이행중재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4주간의 유지기를 가졌다. 대조군에게는 기존 분석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물인터넷 기반의 치료이행중재 효과에 관한 가설은 Linear mixed effect model을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 검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가설 1: 사물인터넷 기반 치료이행중재를 적용한 결과, 대상자의 건강 행위신념은 그룹 간(β=-1.317, p=.669), 시간 간(β=-1.200, p=.568)은 유의하지 않았으며, 그룹과 시간 간의 교호작용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연구가설 1은 지지되었다(β=14.755, p<.001). 연구가설 2: 사물인터넷 기반 치료이행중재를 적용한 결과, 대상자의 약물복용 자기효능감은 그룹과 시간 간의 교호작용이 유의하였으며(β=1.550, p=.044), 운동 자기효능감도 그룹과 시간 간의 교호작용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연구가설 2는 지지되었다(β=5.578, p<.001). 연구가설 3: 사물인터넷 기반 치료이행중재를 적용한 결과, 대상자의 약물복용 이행률은 그룹 간(β=-.068, p=.976), 시간 간(β=1.067, p=.379)은 유의하지 않았으며, 그룹과 시간 간의 교호작용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연구가설 3은 지지되었다(β=11.465, p<.001). 연구가설 4: 사물인터넷 기반 치료이행중재를 적용한 결과, 대상자의 신체활동 점수(K-PASE)는 그룹과 시간 간의 교호작용이 유의하였으며(β=27.376,p<.001), 일주일간의 평균 걸음 수 수준도 그룹과 시간 간의 교호작용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연구가설 4는 지지되었다(β=3134.990, p<.001). 결론적으로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치료이행중재는 대상자의 건강 행위신념, 자기효능감, 약물복용 이행, 신체활동을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서 개발된 사물인터넷 기반의 치료이행 중재는 실시간 경도인지장애 노인들의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건강관리자들의 간호 서비스 개발 및 적용, 맞춤형 간호 제공 및 지역사회 실무에 적용과 활용이 가능하며, 이를 통하여 궁극적으로 경도인지장애 노인이 치매로의 진행 예방 및 지연과 건강증진을 도모할 수 있을것이다. 아직 임상과 지역사회에서는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환자 관리프로그램이 많이 활용되고 있지 않다. 간호사 주도 사물인터넷 기반의 치료이행 중재로 다양한 간호 중재 프로그램의 융복합 연구 활성화를 기대하며, 치료이행을 준수해야 하는 만성질환을 가진 대상자로 확대하여 치료이행 향상 연구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8525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