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390

Cited 0 times in

학령기 군인자녀의 적응유연성 영향 요인: 경로분석을 이용하여

Other Titles
 Factors Associated with Resilience in school-aged military children: Path Analysis 
Authors
 정은영 
College
 연세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간호학과 
Degree
박사
Issue Date
2020
Abstract
Children with professional military parents are more likely exposed to psychological and social difficulties by the specificity of their parent’s job, in addition to the general stresses in the growth and development stages. These difficulties can simultaneously cause negative effects on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peer relationship, and school adaptation and positive effects such as self-growth and ability improvements through various experience. Resilience is a factor that leads to positive development and adaptation even in stressful situations. This study identified factors associated with resilience and conducted a path analysis to investigat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such factors based on the Adolescent Resilience Model of Haase (2004). Based on Haase’s Model and previous literature, our hypothetical model is made up of perceived stress, and defensive coping as risk factors; positive coping, optimism, family function, and social support as protective factors; and resilience, and well-being as outcome. The data was collected using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for military children from 4th to 6th grades of Y elementary school in Gyeryong-si from November 25 to 28 in 2019. The 217 data were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path analysis using SPSS Window 26.0 and AMOS 26.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1. On average, the school-aged military children scored 40.83±5.05 out of 56 for resilience, 50.14±10.13 out of 72 for well-being, 25.27±5.30 out of 50 for perceived stress, 21.04±4.79 out of 40 for defensive coping, 26.92±4.58 out of 40 for positive coping, 29.28±5.17 out of 40 for optimism, 103.82±17.90 out of 144 for family function, 69.12±10.77 out of 90 for social support. 2. Resilience of school-aged military childre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well-being (r=0.591, p<.001), optimism (r=0.517, p<.001), positive coping (r=0.487, p<.001), family function (r=0.477, p<.001), and social support (r=0.462, p<.001). Perceived stress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resilience (r=-0.397, p<.001). 3. The result of hypothesis testing through modified model are as follows. 1) The higher the perceived stress (β=.331, p=.019) and the lower the family function(β=-.212, p=.013), the higher the defensive coping, which directly impact it. 2) Defensive coping (β=.214, p=.006) and family function (β=.511, p=.003) have direct impacts on positive coping. 3) Family function (β=.337, p<.001) and social support (β=.421, p<.001) were found to have direct impacts on optimism. 4) School-aged military children had more resilience when there was more positive coping (β=.240, p<.001), optimism (β=.228, p=.001), family function (β=.150, p=.035), and social support (β=.174, p=.011); these variables explained 37.3% of resilience. Positive coping was the most associated factor in resilience. Although perceived stress and defensive coping do not directly affect resilience, they showed indirect impacts by mediating other factors. 5) Resilience has direct impact on well-being (β=.588, p=.015). Considering the above, positive coping and optimism were high as factors affecting resilience. In order to increase resilience of school-aged military children, health education program in school should be developed that including information on positive coping and optimism. Also, the military should actively provide support to ensure the health and well-being of military family and their children, and develop military health care policy for them.
학령기 군인자녀들은 성장 발달단계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 뿐만 아니라 군인부모의 직업적 특징으로 야기되는 심리사회적 어려움을 경험하기도 한다. 이러한 경험들은 군인자녀들의 학업성취, 친구관계, 학교생활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나, 스스로 성장하고 적응력이 향상되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도 한다. 적응유연성은 스트레스 상황 속에서도 긍정적인 발달과 적응을 이끌어내는 요소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학령기 군인자녀의 적응유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 Haase(2004)의 Adolescent Resilience Model을 기반으로 영향 요인들 간의 직·간접 효과를 경로분석으로 확인하였다. 적응유연성은 위험요인, 보호요인, 결과로 이루어지며, 구체적으로 위험요인은 스트레스 지각 정도와 방어적 대처, 보호요인은 긍정적 대처, 낙관성, 가족기능과 사회적 지지, 그리고 결과는 적응유연성과 안녕감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9년 11월 25일부터 28일까지 충남 G시 Y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4∼6학년 군인자녀를 대상으로 자료수집을 하였다. 총 217명의 자료는 SPSS 26.0과 AMOS 26.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및 ANOVA, 상관관계, 경로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학령기 군인자녀의 적응유연성은 56점 만점 중 평균 40.83±5.05점, 안녕감은 72점 만점 중 50.14±10.13점이었다. 스트레스 지각 정도는 50점 만점 중 25.27±5.30점, 방어적 대처는 40점 만점 중 21.04±4.79점이었다. 긍정적 대처는 40점 만점 중 26.92±4.58점, 낙관성은 40점 만점 중 29.28±5.17점이었다. 가족기능은 144점 만점 중 103.82±17.90점, 사회적 지지는 90점 만점 중 69.12±10.77점이었다. 2. 학령기 군인자녀의 적응유연성은 긍정적 대처(r=0.487, p<.001), 낙관성(r=0.517, p<.001), 가족기능(r=0.477, p<.001), 사회적 지지(r=0.462, p<.001), 안녕감(r=0.591,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고, 스트레스 지각 정도는 적응유연성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0.397, p<.001). 3. 수정모형 분석을 통한 가설검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학령기 군인자녀의 스트레스 지각 정도가 높을수록(β=.331, p=.019), 가족기능이 낮을수록(β=-.212, p=.013) 방어적 대처가 높았으며,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학령기 군인자녀의 방어적 대처가 높을수록(β=.214, p=.006), 가족기능이 높을수록(β=.511, p=.003) 긍정적 대처가 높았으며,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스트레스 지각 정도와 가족기능은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3) 학령기 군인자녀의 가족기능이 높을수록(β=.337, p<.001),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β=.421, p<.001) 낙관성이 높았으며,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4) 학령기 군인자녀의 적응유연성은 긍정적 대처가 높을수록(β=.240, p<.001), 낙관성이 높을수록(β=.228, p=.001), 가족기능이 높을수록(β=.150, p=.035),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β=.174, p=.011) 높았으며, 이 변수들은 적응유연성의 37.3%를 설명하였다. 스트레스 지각 정도와 방어적 대처는 적응유연성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5) 학령기 군인자녀의 적응유연성이 높을수록(β=.588, p=.015) 안녕감이 높았으며,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긍정적 대처와 낙관성이 학령기 군인자녀의 적응유연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령기 군인자녀의 적응유연성을 높이기 위해서 긍정적 대처와 낙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교 보건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군인가족 및 자녀의 건강과 안녕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군은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이들을 위한 군 보건의료정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8087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