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73 1426

Cited 0 times in

직장인 유방암 환자의 외상 후 성장 증진 프로그램 개발

Other Titles
 Development of a posttraumatic growth promoting program for working breast cancer patients 
Authors
 배가령 
Degree
박사
Issue Date
2017
Description
간호학과
Abstract
암 진단은 죽음의 공포와 함께 생존에 심각한 위협을 주는 외상 사건의 하나로 암 진단 단계에서부터 치료 이후의 삶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암 이전 수준의 적응 단계를 초월하는 변화인 외상 후 성장을 가져오기도 한다. 외상 후 성장 증진은 심리적 적응, 삶의 질 향상, 생존률 향상 등 긍정적 효과를 나타내므로, 외상 후 성장 증진 프로그램을 통해 외상 경험으로 고통받는 암환자의 긍정적 변화를 돕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Tedeschi와 Calhoun의 외상 후 성장 모델에 근거하여 직장인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외상 후 성장 증진 예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임상적용 타당도를 평가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최종 프로그램을 확정하였다. 예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먼저 선행연구 분석 및 온라인 커뮤니티를 활용한 유방암 환자의 경험을 이해하고, 직장인 유방암 환자의 심층면담으로 프로그램 요구도를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 외상 후 성장 모델에 기반을 두어 자기노출 증진으로 침투적 반추를 감소 시키고, 사회적 지지 그룹의 상호작용 증진으로 의도적 반추를 증진 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여 8회기의 외상 후 성장 증진 예비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예비 프로그램은 전문가 집단의 내용 타당도 검증을 통해 모든 회기가 면대면으로 구성되면서 8회기의 내용이 집중 제공되는 총 4회기 프로그램으로 수정보완하였다. 암 치료 이후 생활관리, 운동, 심리, 영양, 외모관리 내용을 자기노출을 할 수 있는 말하기, 글쓰기를 통한 그룹 및 개별중재로 제공되고, 의료인과 자조그룹의 사회적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강의, 실습, 경험 나누기 등의 그룹중재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임상 적용 타당도 확인을 위해 단일군 전후설계로 S시 소재 1개 대학병원에서 2016년 11월 5일부터 24일까지 평일반, 주말반 두 그룹으로 나누어 직장인 유방암 환자 15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프로그램의 임상 적용 타당도 평가를 위해 프로그램 제공 전, 제공 직후, 종료 한달 후 외상 후 성장, 반추(침투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 고통(불안과 우울)에 대해 구조화된 설문지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최종 13명의 자료를 paired t- test를 통해 검정하였다. 그 결과 프로그램 종료 직후에 프로그램 제공 전보다 외상 후 성장, 의도적 반추가 증가하고 침투적 반추, 불안과 우울이 감소하였고, 종료 한달 후에는 프로그램 제공 전보다 외상 후 성장, 의도적 반추는 증가하고 불안과 우울은 감소하였으나 침투적 반추는 증가하였는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은 외상 후 성장과 불안이었다. 프로그램 임상 적용 타당도 검증 결과 외상 후 성장 증진 프로그램이 직장인 유방암환자의 외상 후 성장을 증진시키고 불안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침투적 반추를 감소시키고 의도적 반추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대상자의 생각을 바꾸도록 자극하는 것이 더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프로그램 제공기간을 4회기에서 8회기로 변경하였고, 시간이 가장 부족하였던 1,3회기의 프로그램 제공시간을 30분씩 늘려 구성하였다. 최종 개발된 외상 후 성장 프로그램을 추후 동일한 대상자군에게 적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는 실험군, 대조군 연구가 필요하다.
Files in This Item:
T014564.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59968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