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62 1260

Cited 0 times in

모유 후각자극이 미숙아의 생리적 반응, 구강수유 진행 및 체중에 미치는 영향

Authors
 이은지 
Issue Date
2016
Description
간호대학/박사
Abstract
아기는 환경으로부터 적절한 자극을 받으면서 정상적인 성장 발달을 한다. 그러나 미숙아는 자궁 내에서 충분히 성장하지 못하고 조기에 출생, 어머니와 분리되어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 장기간 치료와 간호를 받기 때문에 어머니의 체취나 모유냄새와 같은 후각자극을 받지 못하고 성장한다. 이에 본 연구는 모유 후각자극 제공이 미숙아의 생리적 반응(맥박 수, 산소포화도 및 호흡 수), 구강 수유 진행(잔유량, 완전 구강수유 전환 시기) 및 체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본 연구 대조군은 2014년 1월부터 2015년 6월까지, 실험군은 2015년 7월부터 2015년 12월까지의 기간 동안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미숙아들 중 재태기간 28주에서 32주 사이에 출생한 건강한 미숙아 전수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조군은 16명, 실험군은 12명의 총 28명이었다. 실험군은 월경 후 연령 32주 0일부터 34주 0일까지 주 3회, 하루 2회(오전 9시, 낮 12시)의 총 12회 동안 모유 후각자극을 제공받았으며, 생리적 반응은 매 중재 시 마다 중재 제공 2분 전부터 5분후까지 총 7분간, 잔유량은 중재 제공 3시간 후인 낮 12시, 오후 3시 장관영양 제공 직전에 측정하였다. 또한 완전 구강수유 도달시기와 중재를 제공한 2주 동안의 체중 증가량은 전자 의무기록을 통해 수집하였다. 대조군은 모유 후각자극 중재 없이 실험군과 같은 방법으로 전자 의무기록을 통한 후향적 자료수집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9.0을 이용하여 두 집단간 생리적 반응과 잔유량의 종단적 자료분석은 Linear Mixed Model을, 생리적 반응의 각 시간별 반응 차이는 Mann-Whitney U test를 실시하였고, 실험군 내의 잔유량 비교는 Wilcoxon signed-rank test를, 완전 구강수유 도달 시기와 2주간 체중증가량은 Mann-Whitney U test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유 후각자극에 대한 산소포화도의 집단(F=0.07, p=.787), 시간(F=0.53, p=.782), 집단과 시간의 교호작용(F=1.31, p=.248)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모유 후각자극 제공 시작부터 1분 후까지의 시점과(U=10631.50, p=.044), 모유 후각자극 2분 후부터 3분까지의 시점(U=9876.00, p=.004)의 산소포화도 변화량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 두 집단 간 잔유량은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F=4.41, p=.015), 중재횟수(F=1.03, p=.418), 집단과 중재횟수의 교호작용(F=0.78, p=.749)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실험군 내에서 모유 후각자극을 제공했던 날의 잔유량은 평균 0.61, 모유 후각자극을 제공하지 않았던 날의 잔유량은 평균 2.40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Z=-2.39, p=.017). 그 외 맥박 수, 호흡 수, 완전 구강수유 도달 시기, 2주간 체중 증가량은 두 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모유 후각자극은 미숙아에게 스트레스를 유발하지 않으므로, 임상 현장에서 수유 전 미리 미숙아에게 모유 후각자극을 제공하다면, 소화 기능에 도움을 주어 잔유량을 감소시키고, 위장기능 미숙으로 인한 합병증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Files in This Item:
T013893.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4893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