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28 694

Cited 0 times in

지역사회 노인의 회복력, 사회적 지지,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계

Authors
 안지영 
Issue Date
2015
Description
간호학과/석사
Abstract
본 연구는 지역사회 노인의 회복력, 사회적 지지, 건강관련 삶의 정도를 측정하여 그 특성을 파악하고, 그들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건강관련 삶의 질 향상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본 연구는 지방 중소도시C시에 위치한 복지관과 경로당을 이용하는 65세 이상의 지역사회 노인 22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면접조사로 시행되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Conner-Davidson Resilience Scale(CD-RISC), The Medical Outcomes Study Social Support Survey(MOS-SSS), EuroQol-5dimension-3level(EQ-5D-3L)이며,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평균검정, 분산분석, 상관분석, 다중선형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1. 응답자의 평균 연령은 72.8세였으며, 59.5%가 여성이었고, 35.7%가 고등학교 졸업 이상의 교육수준을 나타냈다. 응답자 중 73.8%는 배우자가 있었으며, 66.2%는 배우자와 단둘이 살고 있었다. 생활수준이 보통 혹은 넉넉한 편이다라고 응답한 노인이 87.6%였으며, 85.2%의 노인은 지각된 사회활동 정도가 보통 혹은 많은 편이다라고 응답했다. 한편 질병 유무에 관련해서는 92.9%의 노인이 하나 이상의 질병이 있다고 응답하였다.2. 지역사회 노인의 회복력의 평균은 100점 만점 74.6점이었다. MOS-SSS의 구조적 지지 평균은 3.3명이었고, 기능적 지지 평균은 100점 만점 63.7점 이었다. 기능적 지지의 4가지 항목 중 애정적지지 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물질적지지 점수가 가장 낮았다. EQ-5D-3L 중 EQ-5D Index 점수는 0.95점 만점 0.8점 이었고, EQ-5D VAS 평균은 100점 만점 71.6점 이었다.3. EQ-5D

Index는 연령(t=9.12, p=.000), 교육수준(F=16.03, p=.000), 배우자 유무 (t=3.20, p=.002), 동거유형(F=6.54, p=.002), 생활수준(F=3.54, p=.031), 질병유무(t=-7.07, p=.000), 지각된 사회활동 (F=47.50, p=.000)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4. EQ-5D Index는 회복력(r=.311, p=.000), 구조적 지지(r=.145, p=.038), 기능적 지지(r=.276, p=.000)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5. 지역사회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β=-.212, p=.001), 연령(β=-.124, p=.034), 질병 유무(β=.116, p=.047), 지각된 사회활동(β=.349, p=.000), 회복력(β=.191, p=.003)으로 나타났고, 본 모델의 총 설명력은 38.8%였다. 그러나 사회적 지지는 건강관련 삶의 질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결론적으로, 지역사회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회복력, 일반적 특성 중 성별, 연령, 질병유무와 지각된 사회활동 정도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사회적 지지보다 사회활동이 지역사회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의미하고 있다. 따라서, 지역사회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지역사회 노인의 성별, 연령과 질병을 고려하여 사회활동과 회복력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본다.
Files in This Item:
T013449.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4563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