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58 1577

Cited 0 times in

한국아동의 음운인식발달

Other Titles
 (The) development of phonological awareness in Korean children 
Authors
 홍성인 
Issue Date
2001
Description
언어병리학 협동과정/석사
Abstract
[한글]음운인식이란 구어에서 사용되는 단어 속에 들어 있는 여러가지 소리의 단위와 유형들을 지각하고 아는 것이다. 예를 들어 말소리는 개별적인 단어들로 이루어졌고 이 단어들은 운율을 가지고 있으며, 분절될 수 있다는 것을 아는 것이다. 더 나아가 단어는 음절과 음소단위로 나뉘어 질 수 있다는 것을 아는 언어의 소리구조에 대한 외적 지식을 말한다. 음운인식은 단어인식, 음절인식, 음소인식으로 발전해 가며 초기읽기인 단어재인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고 밝혀져 있다. 특히 학령전 음운인식능력은 언어능력이나 인지능력보다도 읽기능력을 예측할 수 있는 제1의 예측변수라고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활연령이 4, 5, 6세인 정상아동 72명을 대상으로 음운인식의 발달을 살펴보았고, 음운인식과 단어재인, 무의미음절재인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령이 증가하면서 음운인식 점수도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4세아동은 단어인식에서 50%의 정반응을 보였으며, 음절인식에서 34%의 정반응을 보였고 음소인식에서 8%의 정반응을 보였다. 5세아동은 단어인식에서 75%의 정반응을, 음절인식에서 67%의 정반응을, 음소인식에서 13%의 정반응을 보였다. 6세아동은 단어와 음절인식에서 95%이상의 정반응을 보였고 음소인식에서 51%의 정반응을 보였다.

2. 연령에 따라, 탈락, 합성, 변별 즉 과제종류에 따라, 또한 단어, 음절, 음소 즉 과제수준에 따라서 수행률이 조금씩 다르게 나타났다. 과제종류의 경우 생활연령이 4, 5세인 아동에게서는 변별음운점수가 다른 과제에 비해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생활연령이 6세인 아동에게서는 변별음운과 탈락음운점수가 비슷한 반면에 합성음운점수가 다른과제에 비해 다소 낮게 나타났다.

과제수준에서보면 단어수준과 음절수준에서는 4, 5, 6세가 연령별로 차이를 두고 음운인식이 발전해 가는데 반해 음소수준에서는 4, 5세간 연령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즉 생활연령이 4, 5세인 아이들의 음소인식 수준은 미비하였으며 거의 연령간 차이가 나지 않았다.

3. 단어재인과 무의미음절재인과제 에서도 연령에 따라 유의미하게 정반응률이 증가함을 보였다. 단어재인의 수행률(59.5%)이 무의미음절재인(40%)의 수행률보다 높게 나타났다.

4. 단어재인과 무의미음절재인을 합한 재인총점과 음운인식과의 상관계수는 .907이었으며, 재인총점과 어휘력간에는 .447의 상관관계가, 재인총점과 지능간에는 .393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재인총점과 가장 상관관계가 높은 것은 음운총점임을 알 수 있었다.

5. 음운인식과제종류와 재인총점의 상관관계를 보면 탈락과제와 재인총점과는 .892의 상관관계가, 합성과제와는 .866의 상관관계가, 변별과제와는 .783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각각의 과제와 음운총점과의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우리나라 아동에게서도 음운인식은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단어, 음절, 음소수준으로 발전하며, 음운인식 과제별로 음운인식 수준별로 수행률이 각 연령에서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관관계분석을 통해서 보면 음운인식은 초기읽기인 단어재인과 높은 상관관계를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단어재인과 음운인식의 상관관계는 단어재인과 어휘력이나 지능점수의 상관관계보다 더 높음을 알 수있다. 즉 음운인식능력은 초기읽기인 단어재인을 가장 잘 예측할 수 있는 변인인 것이다. 이러한 결과로서 학령전 아동에게 음운인식검사를 통해 음운인식 점수가 낮은 아이들을 읽기장애에 처해있는 아동으로 예측할 수 있으며, 이들에게 미리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줄 수있다는 점을 시사해 준다.



[영문]Phonological awareness refers to recognizing the speech-sound units and its form in a word in spoken language. For example, reconizing that a speech sound is composed of individual words, that they have rhymes, that they can be splited into segments of differents words.

As well as, recognizing that words are divisible into syllabic and phonemic units. This explicit knowledge about the sound structure of a language is referred to as phonological awareness. Phonological awareness progress into word awareness, syllable awareness and phonemic awareness by step and is highly correlated with word reading which is the first step of reading. Especially phonological awareness has been identified as the primary predictor for reading rather than language ability or intelligent a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velopment of phonologcal awreness of 72 normal korean children between 4-6 years old, and to see whether this phonological awareness influence word reading and nonsense syllable reading abil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more increased age, the more increased score in phonological awareness were shown. Four-year-old children showed correct response of 50% in word awareness, of 34% in syllable awareness, and of 8% in phonemic awareness. Five-year-old children showed correct response of 75% in word awareness, of 67% in syllable awareness, and of 13% in phonemic awareness. Six-year-old children showed correct response of 95% or more in word, and syllable awareness, and of 51% in phonemic awareness

2. The score of phonological awareness changed depending on age, type of phonological awareness tasks (deletion, blending, categorization), and level of phonological awareness tasks(word, syllable, phonemic). In the second case above four and five-year-old children showed higher score in categorization and six-year-old children showed lower score in blending task. In the third case above, four and five-year-old children showed similar score in phonemic levels, meaning that phonemic awareness in four and five-year-old children is rarely developed.

3. The more increased age, the more increased score in word reading ability and nonsense syllable reading ability was shown. The score in word reading (59.5%) were higher than the score of nonsense syllable reading(40%).

4. Reading and phonological awareness correlation score was .907, reading and PPVT-K correlation score was .447, and reading and KEDI-WISC correlation score was .393. The highest score obtained was the correlation between reading achivement and phonological awareness.

5. The correlation score between deletion task and reading task was .892, that between blending score and reading task was .866, and that between categorization score and reading task was .783. The score between deletion task and reading score was the highest.

This result may indicate that the phonological awareness in korean children is developed in order of word level, syllable level, and phonemic level with the age.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s that phonological awarenes is highly correlated with early reading rather than PPVT-K or KEDI-WISC. Phonological awareness may be primary predictor for early reading development rather than language ability or intelligent ability in korean children. Through this analysis in phonological awareness, it was possible to predict a preschool children with a low score in phonological awareness as a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y. And thanks to this process, an early identification and remediation in reading disability was possible.
Files in This Item:
T006584.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67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