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2 358

Cited 0 times in

학령전 아동의 대화유창성 및 의사소통 회복전략 평가

Other Titles
 Assessment of preschoolers' conversational fluency and communicative repair strategy 
Authors
 권혜주 
Issue Date
2009
Description
언어병리학 협동과정/석사
Abstract
[한글]

언어능력 중 화용영역은 언어규칙을 실제로 사용하는 능력으로, 실생활에서의 언어사용 능력을 알아볼 수 있는 지표이다. 화용영역은 대부분의 언어장애 아동들에게 큰 문제가 되고 있으며, 반드시 정확한 평가와 중재가 필요한 영역이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화용능력을 측정하는 표준화된 검사도구는 없으며, ‘이야기 다시말하기’가 다양한 연령을 대상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있어, 비공식적인 평가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청자와의 상호간의 의사소통을 고려한 대화평가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대화평가에서 관찰되는 대화유창성과 의사소통 단절시 회복전략은 화용능력을 측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해외에서는 많은 연구에 활용되어 왔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아동의 의사소통과 관련된 연구가 미미할 뿐 아니라, 대화유창성에 관련된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3, 5, 7세 정상발달 아동을 대상으로 대화유창성과 의사소통 단절시 회복전략에 대하여 살펴보아, 그 발달 과정 및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남아 58명(3세 18명, 5세 19명, 7세 21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내용은 처음 대면하는 여자 성인과 단둘이 대화를 하는 것으로, 그림 컷을 한 장씩 뽑아서 대화주제를 도입하였다. 여자 성인 실험자는 실험 목적을 알려주지 않고 실험에 임하도록 하였다. 대화 주제를 도입하는 부분은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정형화 하였다. 모든 실험은 비디오 녹화 되었으며, 실험 후 연구자가 전사하여 100차례의 대화구간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먼저, 대화유창성을 측정하는 요소로 1) 전체 발화 중 의사소통 단절의 횟수, 2) 전체 발화 시간 중 의사소통 단절 후 회복까지 걸린 시간, 3) 전체 발화시간 중 침묵이 차지하는 시간, 4) 검사자가 느끼는 아동 발화의 정보력정도, 그리고 5) 새롭게 도입된 대화 주제의 수를 측정하고, 또한, 의사소통 단절과 관련하여서는, 1) 의사소통 단절 회복전략과 2) 회복 성공 비율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이 증가할수록 침묵구간이 차지하는 비율, 청자가 느끼는 아동의 어색한 침묵구간은 유의하게 줄어들어, 침묵에 대한 변인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발달하는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청자가 느끼는 아동의 일방적인 발화정도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줄어들었고, 유용한 정보교환의 양은 늘어났다. 따라서 연령이 증가할수록 청자가 느끼는 대화유창성도 유의하게 좋아짐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의사소통 단절 횟수와 단절 회복에 사용된 시간의 비율도 줄어들어, 연령이 증가할수록 단절에 대한 요소도 발달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런데, 의사소통 단절 회복에 성공한 비율은 5세와 7세가 3세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 5세와 7세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단절 성공은 3세에서 5세까지 유의하게 발달하는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단절 회복 시 사용한 전략의 종류에는, 3세와 5세 아동은 수정유형보다 반응유형을 더 많이 사용하였으나, 7세 아동은 두 유형 간 차이가 없었다. 반응유형 중에서는, 3세 아동은 단순반복을 7세보다 유의하게 많이 사용하여 연령이 어릴수록 단순반복 전략을 사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부적절한 반응을 3세 아동이 유의하게 많이 사용하여, 3세 아동이 대화 수정에 덜 유창함을 알 수 있었다. 수정 유형 중에서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부정확한 구어 반응이 많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한국 아동의 대화유창성 발달을 수치적으로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또 아동의 의사소통 단절 회복전략 발달을 살펴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도 큰 의의를 갖는다.





[영문]
Files in This Item:
T011005.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30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