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79 1775

Cited 0 times in

한국판 보스톤이름대기검사(K-BNT)의 대체 검사방법

Other Titles
 (An) alternative method of test administration of the Korean version-Boston naming test 
Authors
 방지원 
Issue Date
2008
Description
언어병리학 협동과정/석사
Abstract
[한글]

한국판 보스톤이름대기검사(Korean version-Boston Naming Test, 이하 K-BNT)는 현재 성인을 대상으로 임상적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대면이름대기검사(confrontation naming test)이다. 이름대기 검사는 성인 환자들의 언어평가에 반드시 포함되는데 이는 중추신경계 손상 시 이름대기 결함이 흔하게 관찰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K-BNT의 60개 문항 전체를 시행하기에는 검사시간이 오래 걸려 집중력을 유지하기 어렵다는 한계점이 지적되어왔다. 이에, 최근에 개발된 아동용 한국판 보스톤이름대기검사(K-BNT-C)에서는 기초선과 최고한계를 적용한 점수체계를 도입한 바 있다.본 연구에서는 성인용 K-BNT에서도 기초선과 최고한계를 적용하는 다음의 세 가지 검사방법 중에 60개 전체 문항 시행의 대체 검사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선정해 보고자 하였다. 제시된 검사방법으로는 첫째, 연속 8개 문항에서 정반응을 보였을 때를 기초선, 연속 6개 문항에서 오반응을 보였을 때를 최고한계로 설정하는 방법(이하 K-BNTb8-c6), 둘째, 연속 8개 문항에서 정반응 보였을 때를 기초선, 연속 8개 문항 중 6개에서 오반응을 보였을 때를 최고한계로 설정하는 방법(이하 K-BNTb8-c6/8), 그리고 셋째, 연속 3개 문항에서 정반응 보였을 때를 기초선, 연속 3개 문항에서 오반응을 보였을 때를 최고한계로 설정하는 방법(이하 K-BNTb3-c3)이었다.본 연구를 위해 장·노년층 정상성인 30명과 실어증 환자 30명, 총 60명을 대상으로 K-BNT를 실시하였다. 실시한 결과자료를 바탕으로 60개 전체문항을 실시했을 때의 총점과 위의 세 가지 새로운 검사방법으로 실시했을 때의 총점간의 오차점수를 산정하여 유의하게 작은 점수 차이를 보이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또한, 효율적인 검사방법임을 증명하기 위해 각 검사방법에 따른 실시문항수를 살펴보았다.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세 가지 검사방법 중에 60개 전체문항을 실시했을 때의 총점과의 오차점수가 유의하게 작은 검사방법들은 K-BNTb8-c6과 K-BNTb8-c6/8이었으며, 이 두 방법 간에는 총점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효율적인 검사방법임을 증명하기 위하여 각 검사방법에 따른 실시문항수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K-BNTb8-c6은 평균 38문항, K-BNTb8-c6/8이 평균 35문항으로 전체 60문항과 비교했을 때 현저하게 적은 수의 문항으로 나타났으며, 이 두 방법 간의 문항 수에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정상군과 환자군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을 때에도 동일하였다. 또한, 이 두 방법 중에 검사실시방법의 간편성을 고려하여 K-BNTb8-c6이 가장 좋은 검사방법인 것으로 선정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 제시한 새로운 세 가지 검사방법 중 가장 효율적인 검사방법은 K-BNTb8-c6이라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이는 K-BNT-C에서 검증되어 사용되고 있는 검사방법과 동일하였다.본 연구는 K-BNT검사를 실시하는데 있어서 60개 전체문항을 시행해야만 검사결과를 낼 수 있었던 기존의 검사방법의 비효율성을 보완하여 새로운 검사방법을 제시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 검사방법은 향후 임상현장 및 연구에서 손쉽게 사용할 수 있으리라 기대해본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검사 시작점 선정에 대한 타당성 제시가 부족했다는 것이었으므로 이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Korean version-Boston Naming Test (hereafter, K-BNT) i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confrontation naming tests. Since word-finding difficulty is a frequent complaint among elderly patients, assessment of naming skills is an important part of the language test battery. However, the test is time-consuming and thus is difficult to administer.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n alternate method that is more efficient, by comparing three different administration methods with the current administration method of 60-item K-BNT(hereafter, K-BNT60). The three methods were as follows: 1) applying a discontinuation rule of baseline upon 8 consecutive successes and a discontinuation rule of ceiling upon 6 consecutive failures(hereafter, K-BNTb8-c6); 2) applying a discontinuation rule of baseline upon 8 consecutive successes and a discontinuation rule of ceiling upon 6 consecutive failures out of 8 test items(hereafter, K-BNTb8-c6/8); and 3) applying a discontinuation rule of baseline upon 3 consecutive successes and a discontinuation rule of ceiling upon 3 consecutive failures(hereafter, K-BNTb3-c3).The subjects were 30 normal controls and 30 aphasic patients both groups over the age of 55 and K-BNT was administered to each subject. Each test score of the three different methods was compared with the 60-item test score. The administration method with the least score difference from K-BNT60 was K-BNTb8-c6. Although the number of test items required to administer was the least in K-BNTb3-c3, the method was disregarded because it generated the largest score difference from K-BNT60. Therefore, K-BNTb8-c6 was found to be the most efficient administration method among the three methods.This research introduced an alternative method of efficient test administration. We can apply this method in research as well as in clinical settings. A further study is recommended to explore the test-starting point of test administration.
Files in This Item:
T010169.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14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