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6 467

Cited 0 times in

시청각 회환(Feedback) 방법이 기본 심폐소생술 교육 시 피로도와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audio-visual feedback system on the participants' fatigue and accuracy during basic cardiopulmonary resu 
Authors
 진미덕 
Issue Date
2007
Description
응급간호/석사
Abstract
[한글]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은 얼마나 빨리, 얼마나 적절한 심폐소생술이 시행되느냐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데, 특히 효과적인 흉부압박은 심정지 환자에 있어서 순환을 유지하는 핵심이며 심폐소생술 동안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알려지고 있다. 하지만 심폐소생술의 훈련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심폐소생술이 실시되는 경우 흉부압박이 부적절하고 느리게 시행되고 있음이 보고되었고, 수행자의 피로도가 증가되어 정확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고 한다. 따라서 기본 심폐소생술 교육 시 심폐소생술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적절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시청각 회환(Feedback) 방법을 사용하여 기본 심폐소생술 교육 시 피로도와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연구 대상은 일개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로 2005년 기본 심폐소생술 교육 과정을 통과하여 자격을 취득하고, 계속 교육을 받는 자로서 본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42명이다. 본 연구는 실험군 21명과 대조군 21명으로 무작위 할당 실험 설계로 2007년 4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시행하였다. 대상자들은 기도삽관이 시행된 실습용 마네킨을 사용하여 5분간 지속적인 흉부압박을 시행하도록 하였고, Q-CPR 장비를 이용하여 대조군은 시청각 기능을 끄고 시행하였으며, 실험군은 시청각 기능을 켜서 수행하며 자료를 수집하였다.자료 분석은 SPSS/WIN 12.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Chi-Square test와 Mann-Whitney U test, 그리고 Repeated-measure ANOVA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아래와 같다.1. ‘시청각 회환 방법을 이용하여 교육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기본 심폐소생술의 시행에 있어 피로도가 낮을 것이다’는 가설은 피로도 측정으로 사용한 평균 심박동수(p=0.23), 호기 말 이산화탄소분압의 차이(p=0.74), 피로도 점수(p=0.41)의 결과로 실험군과 대조군의 피로도 점수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2. ‘시청각 화환 방법을 이용하여 교육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기본 심폐소생술의 정확도가 높을 것이다'는 가설은 흉부압박의 정확도 평점(p=0.02)으로 가설은 지지되었다. 세부 항목으로 흉부압박의 횟수 및 속도는 90%의 정확도를 보였으며, 흉부압박의 적정깊이는 시간의 경과에도 적정깊이를 유지하는 것(p=0.03)으로 나타나 실험군이 대조군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시청각 회환 방법을 이용하여 교육을 받은 군이 그렇지 않은 대조군보다 기본 심폐소생술 수행 시 피로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기술 점수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여 시청각 회환 방법을 이용한 교육이 효과적이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앞으로 시행되는 기본 심폐소생술 교육에 시청각 회환 방법을 이용한다면 기본 심폐소생술 술기의 정확도를 증진시키고 술기를 유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으리라 본다.



[영문]How fast and accurately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is carried out on cardiac arrest patients has direct impacts on their survival rates. Especially, effective chest compression is the key to maintaining the circulation of the patients. However, chest compression was administered improperly and slowly during CPR despite training and it could lead to increase in fatigue of the resuscitator and further decrease in his or her accuracy. There should be more effective training methods to improve the quality of basic CPR education. Thus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audio-visual feedback system on the resuscitator's fatigue and accuracy during basic CPR training.The 42 nurses working at one university affiliated hospital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e subjects were certified for basic CPR in 2005 and they needed update their certification.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each group with 21 nurses.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from April 1 to April 30, 2007. The subjects in both groups were asked to continue chest compression for five minutes on a practice mannequin with intubation. While the control group had the audio-visual feedback functions off on the Q-CPR equipment, the experiment group had them on during the compression.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WIN 12.0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1. The hypothesis I which states "The experiment group using the audio-visual feedback system will experience less fatigue during the CPR than the control group" was not supported.2. The hypothesis II which states "The experiment group using the audio-visual feedback system will show more accuracy during the CPR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The accuracy scores of chest compression(p=0.02) and succeeded in maintaining proper depth of chest compression with time passage(p=0.03) were significant higher in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The participants who received the audio-visual feedback performed basic CPR more accurately than the participants who did not receive the feedback. It is suggested to use more interactive teaching methods in many basic nursing skills education including CPR training.
Files in This Item:
T010040.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118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