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52 1643

Cited 0 times in

장루보유자의 대처양상과 삶의 질

Other Titles
 Coping and quality of life in ostomates with rectal cancer : 직장암 환자 대상으로 
Authors
 이윤진 
Issue Date
2006
Description
종양간호전공/석사
Abstract
[한글]본 연구는 직장암 진단 후 치료적 목적이거나 고식적 목적으로 수술 후 장루 형성술을 시행 받은 장루보유자의 대처양상과 삶의 질을 파악하고 그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서 효과적인 대처능력을 증진시켜 궁극적으로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된 횡단적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연구대상자는 직장암 수술 후 장루형성술을 시행 받은 장루보유자로서 2006년 4월 1일부터 6월 7일까지 서울에 소재에 있는 3차 의료기관인 S병원 대장암 전문 클리닉에 항암치료를 받기 위해 방문하였거나 항암치료를 목적으로 암센터에 입원한 경우, 치료 종결 후 추후 관리를 위해 외래에 방문한 장루보유자 86명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처 양상은 Moorey, Frampton과 Greer(2003)가 개발한 암 대처 질문지를 김종남 등(2004)이 수정 번안한 한국판 암 대처 질문지를 이용 하였고, 삶의 질 평가 도구는 EORTC-QOL-C30, EORTC-QLQ-CR38을 이용 하였다.수집된 자료는 SPSS 12.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적 통계, ANOVA,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1. 장루보유자의 대처 양상은 ‘개인 내 대처’ 중 앞으로의 삶에 대한 낙관적인 생각을 묻는 ‘긍정적 재구조화’ 문항인 ‘앞 날에 대해 긍정적 이고 낙관적인 방향으로 생각하였다.’가 3.02점으로 제일 높은 점수를 나타냈고, ‘대인 간 대처’ 중 ‘배우자(또는 동거가족)가 어떤 생각을 하는지 짐작하기보다는 직접 물어 보았다.’가 2.09점으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2. 장루보유자의 ‘개인 내 대처’는 2.49점, ‘대인 간 대처’는 2.59점 이었다.3. 성별과 연령, 종교와 배우자 유무에 따른 대처양상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4. 직업유무에 따른 대처양상은‘개인 내 대처’ 중‘적극적 대처’(F=4.484,p <.05)가 직업이 있는 경우 2.64점, 직업이 없는 경우 2.33 점으로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5. 장루보유자의 가족력 유무에 따른 대처양상은 ‘개인 내 대처’(F=7.886, p<. 05) 중 ‘계획세우기’(F=8.119, p<.05)가 가족력이 있는 경우 1.78점, 가족력이 없는 경우 5.52점으로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6. 장루보유자의 수술종류 별 대처양상은‘계획 세우기’(F=3.365, p<.05)가 하트만술식의 경우 1.69점, 저위전방절제술과 일시적 회장루술을 받은 대상자가 2.56점, 복회음절제술을 받은 대상자가 2.39점, 최저위전방 절제술과 대장항문 문합술 후 일시적 회장루술을 받은 대상자가 2.00점, 전결장직장절제술 후 회장루술을 시행 받은 대상자가 2.44점으로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7. 장루보유자의 전반적인 삶의 질은 100점 만점 중 59.40점 이었다.8. 성별에 따른 장루보유자의 삶의 질 중 기능영역에서는 ‘미래에 대한 인식’ (t=3.772, p< .001), ‘신체상’(t=3.621, p< .001), ‘정서기능’’(t=2.048, p< .05))과 ‘인지기능’(t=2.039, p<.05), 성생활과 관련된 ‘성기능’(t=2. 329, p< .05>)과‘성적 즐거움’(t=2.274, p<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하게 남성이 여성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증상영역에서는 ‘장루관련 문제’(t= -3.536, p<.001)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남성이 여성보다 낮은 점수를 보여 높은 삶의 질을 나타냈다.9. 수술종류 별 삶의 질은 기능영역 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는 없었 으며 증상영역 면에서는 ‘설사’(F: 3.577, p< .01)로 전결장직장절제술 후 회장루 술을 시행 받은 대상자가 44.44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여 낮은 삶의 질을 나타냈다.10. 수술 후 경과기간에 따른 삶의 질은 ‘역할기능’(t=-3.435, p<.001)에서 6개월 미만이 60.28점, 6개월 이상이 78.21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신체기능’(t=-2.369, p<.05)에서도 6개월 미만이 66.95점, 6개월 이상이 77.44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11. 장루보유자의 ‘전반적 삶의 질’과 대처양상 중 ‘긍정적 재구조화’(r= .253, p< .05)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 ‘개인 내 대처’(r= .222, p<.05)와 유의한 긍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신체기능’은 ‘적극적 대처’(r=. 275, p< .01), ‘계획세우기’(r=.292, p<.01), ’긍정적 재구조화’(r=.295, p<.01)와 유의한 긍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정서기능’은 ‘긍정적 재구조화’ (r=25, p<.05)와 긍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역할기능’은 ‘대인 간 대처’(r=.24 p<.05)와 ‘인지기능’은 ‘긍정적 재구조화’(r=.272, p<.05)와 긍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신체상’은 ‘긍정적 재구조화’ (r= .259, p<.05)와 긍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미래에 대한 인식’도 ‘긍정적 재 구조화’ (r=.299, p<.01)와 긍정적 상관관계를 보여 ‘개인 내 대처’총점 (r=.258, p<.05)과도 긍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따라서 장루보유자의 대처양상이 삶의 질과 유의한 관계가 있음을 설명함에 따라 간호실무에서 장루보유자의 효과적인 대처전략을 증가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무에 적용, 평가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영문]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ping and quality of life in ostomates with rectal cancer. This study employed a descriptive correlational cross-sectional survey design.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1 to June 7, 2006.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86 ostomates with rectal cancer who were recruited from the colorectal cancer clinic in one university hospital by convenience sampl-ing, Informed consent was obtained from each participant.The Korean Cancer Coping Questionnaire (K- CCQ) was used to evaluate level of coping. It developed from the Cancer Coping Questionnaire (CCQ) by Moorey, Frampton, & Greer (2003) which was translated and modified with the addition of 10 items by Kim et al. (2004). The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Quality of Life Core 30 (EORTC-QOL-C30) and Colorectal Cancer-specific Core Questionnaire (EORTC-QLQ-CR38) were used to measure QOL.ANOVA,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1. The mean score for ‘Make sure you thought of some of the positiveaspects of your life’ in the area ‘Positive Reframing’ on the Total Individual Scale had the highest score for the K- CCQ. The mean score for‘Ask your partner what (s)he was thinking rather than making assumptions?’ on the Interpersonal Scale was the lowest.2. The mean score for the Total Individual Scale was 2.49 points andfor the Interpersonal Scale, 2.59 points.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ping scores according to sex, age, religion, or spouse.4. The scores for Coping in ‘Active Coping’ (F=4.484, p<.05) werehigher in group with a job than those who were unemployed.5. The scores for Coping in ‘Planning’ (F=8.119, p<.05) on the Total Individual Scale were higher in group without a family history of cancer than for those with a family history of cancer.6. The scores for Coping in ‘Planning’ (F=3.365, p<.05) on the Total Individual Scale were higher in patients in the group which underwent total proctocolectomy with ileostomy than for patients in other treatment groups.7. The score for QOL in ‘Global quality of life’ was 59.40 points.8. The scores for QOL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men than women for ‘Future Perspective’ (t=3.772, p<.001), ‘Body Imaging’ (t=3.621, p<.001), ‘Sexual Functioning’ (t=2.329, p<.05), ‘Sexual Enjoyment’ (t=2.274, p<.05), ‘Emotional Functioning’ (t=2.048, p<.05), and ‘Cognitive Functioning’ (t=2.039, p<.05). The scores for QOL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women than men for ‘Stoma Problems’ (t=-3.536, p<.001).9. The scores for QOL were higher in the patient group which underwent total proctocolectomy with ileostomy for ‘Diarrhea’ (F:3.577, p<.01)compared to other patient treatment groups.10. The scores for QOL were higher in group with six month or longer follow-up period after ostomy formation for ‘Role Functioning ‘(t=-3.435, p<.001), and ‘Physical Functioning’ (t=-2.369, p<.05) compared to those with a shorter period11. ‘Global Quality of Life’ of ostomate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ositive Reframing’ (r=.253, p<.05). ‘Physical Functioning’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ctive Coping’ (r=.275, p<.01), ‘Planning’ (r=.292, p<.01) and ‘Positive Reframing’ (r=.295, p<.01).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Emotional Functioning’ and ‘Positive Reframing’ (r=.25, p<.05), and between ‘Role Functioning’ and Coping in the Interpersonal Scale (r=.24 p<.05), ‘Cognitive Functioning’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ositive Reframing’(r=.272 p<.05). ‘Positive Reframing’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Body Imaging’ (r=.259, p<.05) and ‘Future Perspective’ (r=.299, p<. 01).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otal Individual Scale (r=.258, p<.05) and ‘Future Perspective’.This study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coping and quality of life in ostomates with rectal cancer. The study result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coping and quality of life. Therefore targeted tailored nursing interventions are required to develop effective coping and improved quality of life, and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evaluate and apply interventions to ostomates with rectal cancer.
Files in This Item:
T009453.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01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