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45 1105

Cited 0 times in

제 1단계 심장재활 프로그램을 받은 개심술 환자의 자기효능감과 자가간호 이행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self-care behavior in open heart surgery patients who received phase I c 
Authors
 임지영 
Issue Date
2004
Description
간호학교육 전공/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제 1단계 심장재활 프로그램을 받은 개심술 환자의 자기효능감과 자가간호 이행 정도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퇴원한 개심술 환자에게 실제로 자가간호 이행을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심장재활 프로그램을 적용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시도된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일개 대학병원에 입원하여 개심술을 받고 간호사, 영양사에 의해 제 1단계 심장재활 프로그램의 교육을 받은 후 퇴원하여 수술 경과기간이 6개월 이내인 개심술 환자 32명이었다.

연구 도구로는 일반적 특성 15문항, 자기효능감 측정 26문항, 자가간호 이행 측정 32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본 연구에서의 자기효능감 측정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값 .9214이었고, 자가간호 이행 측정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값 .9374 이었다.

자료 수집은 2004년 1월 4일부터 5월 28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백분율, 산술평균, independent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남자가 62.5%로 많았고, 평균 연령은 52.34세 (SD=13.48)이였다. 대다수가 기혼(81.3%)이었고, 직업상태는 무직(40.6%)이 많았으며, 학력은 고졸이하가 34.4%로 가장 많았고, 종교는 50%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장질환과 관련된 생활습관에서는 흡연습관의 경우 ‘현 재도 피움’이 6.3%이었고, 음주는 43.8%가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물성 지방섭취는 ‘많이 먹는 편임’이 9.4%로 나타났고, 운동습관의 경 우도 ‘전혀 운동을 하지 않음’이 21.9%로 나타나 특별히 위험인자 교정을 위한 생활습관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질병력은 고혈압 31.3%로 가장 많았고, 심장수술은 판막치환술과 관상동 맥 우회술이 각각 40.6%이었다. 심장재활 관련 자가간호 학습요구는 식이 요법에 관한 내용을 가장 많이 알고 싶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가 인지한 자기효능감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평점 4.14(SD=0.57)로 나타나 대상자가 인지한 자기효능감 정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영역별로 분석해 보면 투약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4.81(SD=0.49)로 가장 높 았으며, 운동 영역 4.72(SD=0.57), 금연 영역 4.63(SD=1.10), 일상활동 영역 4.21(SD=0.69), 식이 영역 4.17(SD=0.70), 심리적 적응능력 영역 4.05 (SD=0.84), 일반적 자기효능감 3.88(SD=0.82)의 순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자가간호 이행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평점 4.20(SD=0.59)으로 자가간호 이행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를 영역별로 분석해 보면 투 약에 관한 자가간호 이행이 최대 5점에 4.57(SD=0.46)로 가장 높았고, 금연 영역 4.56(SD=1.13), 추후관리 영역 4.41(SD=0.59), 식이 영역 4.19(SD=0.68), 일상생활 조절의 영역 4.02(SD=0.76), 운동 영역 3.72(SD=0.93)의 순으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자기효능감과 자가간호 이행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순상관관 계를 보여(r=.671, p=.000)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자가간호 이행정도는 높 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영역별 자기효능감 정도와 자가간호 이행 정도 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금연 영역의 자기효능감을 제외한 식이 (r=.585, p=.000), 일상활동(r=.533, p=.002), 투약(r=.504, p=.003), 심리적 적응능력(r=.498, p=.004), 운동(r=.352, p=.048) 영역의 자기효능감은 전체 자가간호 이행 정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자기효능감이 자가간호 이행의 중요한 예측인자로 작용하므로 퇴원 후 개심술 환자의 자가간호 이행을 높이기 위한 효과적인 심장재활 프로그램에 자기효능감을 강화시키는 전략을 강구하여 적용하면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심장질환의 위험인자와 관련한 생활양식의 변화가 어려운 자가간호 영역에 중점을 두어 지속적인 행동변화를 유도할 수 있도록 퇴원한 개심술 환자를 대상으로 개별적이고, 체계적이며 지속적인 상담과 지도를 효율적으로 해나가기 위한 효과적인 심장재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리라 생각한다.





[영문]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self-behavior in open heart surgery patients who received phase I cardiac rehabilitation program and to observe the effectiveness to raise the self-care behavior.

We designed a prospective study from January 4th to May 28th in 2004. The study was performed on 32 patients who were discharged from a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Kyeonggi-Do, Korea after phase I cardiac rehabilitation program from nurse and dietitian, and not passed 6 months after open heart surgery. Informed consent was obtained from the patients.

Data was obtained from 15 general characters questionnaire, 26 self-efficacy questionnaires and 32 self-care behavior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PC, version 11.0 statistical program. Such as frequency, independent t-test &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values were expressed as mean±SD.



The important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patients consisted of 62.5% male and 37.5% female, and mean age was 52.34(SD=13.48) year, and most of them were married state(81.3%). 40.6% had no job, the highest education was high school graduates(34.4%), and 50% had religion. Life style related cardiac disease were drinking 43.8%, smoking 6.3%, meal with high animal fat 9.4%, and no exercise 21.9%.

Patient past history, hypertension was the most by 31.3%, valve replacement and coronary-bypass surgery were each 40.6%. Self-care behavior studying demand related with cardiac rehabilitation was the most dietary treatment.



2. Self-efficacy degree that subject recognizes was 4.14(SD=0.57) in 5 points score. If analyze this by territory, self efficacy for prescription was the highest by 4.81(SD=0.49), and exercise territory 4.72(SD=0.57), non-smoking territory 4.63(SD=1.10), daily activity territory 4.21(SD=0.69), diet territory 4.17(SD=0.70), psychological adaptation ability territory 4.05(SD=0.84), order of general self-efficacy 3.88(SD=0.82) in the order.



3. Self-care behavior degree that subject performed was the highest by 4.20(SD=0.59) in 5 points score. If analyze this by territory, self-care behavior for prescription was the highest by 4.57(SD=0.46), and non-smoking territory 4.56(SD=1.13), after administration territory 4.41(SD=0.59), diet territory 4.19(SD=0.68), daily life control territory 4.02(SD=0.76), and motion territory 3.72(SD=0.93) in the order.



4. The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self-care behavior(r=.671, p=.000). The correlations between self-care behavior and self-efficacy by sub rank territory were as follows: diet(r=.585, p=.000), daily activity(r=.533, p=.002), prescription(r=.504, p=.003), psychological adaptation ability(r=.498, p=.004), exercise(r=.352, p=.048).



In conclusion, self-efficacy is the important predictive factor of self-care behavior. It seems to be necessary to enforce the self-care behavior to improve effective cardiac rehabilitation program for open heart surgery patients. And this study could be basic data to develop systematic and effective cardiac rehabilitation program.
Files in This Item:
T008323.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6778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