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46 1119

Cited 0 times in

제 1단계 심장재활 프로그램을 받은 개심술 환자의 자기효능감과 자가간호 이행에 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임지영-
dc.date.accessioned2015-12-24T09:56:21Z-
dc.date.available2015-12-24T09:56:21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6778-
dc.description간호학교육 전공/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본 연구는 제 1단계 심장재활 프로그램을 받은 개심술 환자의 자기효능감과 자가간호 이행 정도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퇴원한 개심술 환자에게 실제로 자가간호 이행을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심장재활 프로그램을 적용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시도된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일개 대학병원에 입원하여 개심술을 받고 간호사, 영양사에 의해 제 1단계 심장재활 프로그램의 교육을 받은 후 퇴원하여 수술 경과기간이 6개월 이내인 개심술 환자 32명이었다. 연구 도구로는 일반적 특성 15문항, 자기효능감 측정 26문항, 자가간호 이행 측정 32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본 연구에서의 자기효능감 측정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값 .9214이었고, 자가간호 이행 측정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값 .9374 이었다. 자료 수집은 2004년 1월 4일부터 5월 28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백분율, 산술평균, independent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남자가 62.5%로 많았고, 평균 연령은 52.34세 (SD=13.48)이였다. 대다수가 기혼(81.3%)이었고, 직업상태는 무직(40.6%)이 많았으며, 학력은 고졸이하가 34.4%로 가장 많았고, 종교는 50%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장질환과 관련된 생활습관에서는 흡연습관의 경우 ‘현 재도 피움’이 6.3%이었고, 음주는 43.8%가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물성 지방섭취는 ‘많이 먹는 편임’이 9.4%로 나타났고, 운동습관의 경 우도 ‘전혀 운동을 하지 않음’이 21.9%로 나타나 특별히 위험인자 교정을 위한 생활습관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질병력은 고혈압 31.3%로 가장 많았고, 심장수술은 판막치환술과 관상동 맥 우회술이 각각 40.6%이었다. 심장재활 관련 자가간호 학습요구는 식이 요법에 관한 내용을 가장 많이 알고 싶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가 인지한 자기효능감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평점 4.14(SD=0.57)로 나타나 대상자가 인지한 자기효능감 정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영역별로 분석해 보면 투약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4.81(SD=0.49)로 가장 높 았으며, 운동 영역 4.72(SD=0.57), 금연 영역 4.63(SD=1.10), 일상활동 영역 4.21(SD=0.69), 식이 영역 4.17(SD=0.70), 심리적 적응능력 영역 4.05 (SD=0.84), 일반적 자기효능감 3.88(SD=0.82)의 순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자가간호 이행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평점 4.20(SD=0.59)으로 자가간호 이행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를 영역별로 분석해 보면 투 약에 관한 자가간호 이행이 최대 5점에 4.57(SD=0.46)로 가장 높았고, 금연 영역 4.56(SD=1.13), 추후관리 영역 4.41(SD=0.59), 식이 영역 4.19(SD=0.68), 일상생활 조절의 영역 4.02(SD=0.76), 운동 영역 3.72(SD=0.93)의 순으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자기효능감과 자가간호 이행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순상관관 계를 보여(r=.671, p=.000)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자가간호 이행정도는 높 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영역별 자기효능감 정도와 자가간호 이행 정도 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금연 영역의 자기효능감을 제외한 식이 (r=.585, p=.000), 일상활동(r=.533, p=.002), 투약(r=.504, p=.003), 심리적 적응능력(r=.498, p=.004), 운동(r=.352, p=.048) 영역의 자기효능감은 전체 자가간호 이행 정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자기효능감이 자가간호 이행의 중요한 예측인자로 작용하므로 퇴원 후 개심술 환자의 자가간호 이행을 높이기 위한 효과적인 심장재활 프로그램에 자기효능감을 강화시키는 전략을 강구하여 적용하면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심장질환의 위험인자와 관련한 생활양식의 변화가 어려운 자가간호 영역에 중점을 두어 지속적인 행동변화를 유도할 수 있도록 퇴원한 개심술 환자를 대상으로 개별적이고, 체계적이며 지속적인 상담과 지도를 효율적으로 해나가기 위한 효과적인 심장재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리라 생각한다. [영문]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self-behavior in open heart surgery patients who received phase I cardiac rehabilitation program and to observe the effectiveness to raise the self-care behavior. We designed a prospective study from January 4th to May 28th in 2004. The study was performed on 32 patients who were discharged from a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Kyeonggi-Do, Korea after phase I cardiac rehabilitation program from nurse and dietitian, and not passed 6 months after open heart surgery. Informed consent was obtained from the patients. Data was obtained from 15 general characters questionnaire, 26 self-efficacy questionnaires and 32 self-care behavior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PC, version 11.0 statistical program. Such as frequency, independent t-test &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values were expressed as mean±SD. The important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patients consisted of 62.5% male and 37.5% female, and mean age was 52.34(SD=13.48) year, and most of them were married state(81.3%). 40.6% had no job, the highest education was high school graduates(34.4%), and 50% had religion. Life style related cardiac disease were drinking 43.8%, smoking 6.3%, meal with high animal fat 9.4%, and no exercise 21.9%. Patient past history, hypertension was the most by 31.3%, valve replacement and coronary-bypass surgery were each 40.6%. Self-care behavior studying demand related with cardiac rehabilitation was the most dietary treatment. 2. Self-efficacy degree that subject recognizes was 4.14(SD=0.57) in 5 points score. If analyze this by territory, self efficacy for prescription was the highest by 4.81(SD=0.49), and exercise territory 4.72(SD=0.57), non-smoking territory 4.63(SD=1.10), daily activity territory 4.21(SD=0.69), diet territory 4.17(SD=0.70), psychological adaptation ability territory 4.05(SD=0.84), order of general self-efficacy 3.88(SD=0.82) in the order. 3. Self-care behavior degree that subject performed was the highest by 4.20(SD=0.59) in 5 points score. If analyze this by territory, self-care behavior for prescription was the highest by 4.57(SD=0.46), and non-smoking territory 4.56(SD=1.13), after administration territory 4.41(SD=0.59), diet territory 4.19(SD=0.68), daily life control territory 4.02(SD=0.76), and motion territory 3.72(SD=0.93) in the order. 4. The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self-care behavior(r=.671, p=.000). The correlations between self-care behavior and self-efficacy by sub rank territory were as follows: diet(r=.585, p=.000), daily activity(r=.533, p=.002), prescription(r=.504, p=.003), psychological adaptation ability(r=.498, p=.004), exercise(r=.352, p=.048). In conclusion, self-efficacy is the important predictive factor of self-care behavior. It seems to be necessary to enforce the self-care behavior to improve effective cardiac rehabilitation program for open heart surgery patients. And this study could be basic data to develop systematic and effective cardiac rehabilitation program.-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제 1단계 심장재활 프로그램을 받은 개심술 환자의 자기효능감과 자가간호 이행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self-care behavior in open heart surgery patients who received phase I c-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Yim, Ji Yeoung-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