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71 2638

Cited 0 times in

응급전문간호사의 직무 개발 연구

Other Titles
 Role development of emergency nurse practitioner 
Authors
 이현심 
Issue Date
2004
Description
응급간호전공/석사
Abstract
[한글]

응급전문간호사는 응급분야에서 일반간호사의 수준을 능가하는 전문적인 교육을 받은 상급전문가로서 우리나라에서도 응급전문간호사 제도가 도입되었다. 그러나 응급전문간호사의 구체적인 직무의 범위와 자율성 수준이 정해지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응급전문간호사의 직무 수행 자율성 수준에 대하여 응급실에 근무하는 의사와 간호사의 의견 비교, 응급전문간호사에 대한 인지여부에 따른 의견 비교, 의사간호사의 응급전문간호사에 대한 인지여부에 따른 의견 비교와 직무 자율성 수준에 대한 의견 일치 정도를 확인하여 우리나라 응급의료관리체계에 적합한 응급전문간호사의 직무를 개발하였다.

연구도구는 응급전문간호사의 직무 내용이 우리나라에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기 때문에 아래 4개의 문헌고찰을 근거로 우리나라 응급의료 실정에 맞도록 연구자가 작성하였고 도구의 내용타당도는 간호대학원 응급전문간호 과정의 담당교수 2인, 응급진료센터 응급실장 1인으로부터 자문을 받아 내용을 수정, 보완하였다.

1. Roberts & Hedges(1998)의 Clinical Procedures in Emergency Medicine에서 71항목의 활동과 절차를 분류한 도구

2. Cole & Ramirez(2000)가 미국 응급전문간호사에 의해 수행되는 활동과 절차를 조사한 연구에서 응급실에 근무하고 있는 미국 응급전문간호사 72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자료를 분석하여 응급전문간호사의 50% 이상이 수행하고 있는 35개 항목과 응급전문간호사의 직무로 50% 이상이 중요하다고 응답한 56개 항목

3. 미국 응급간호사협회((ENA, 2001)의 응급전문간호사의 실무표준(Standards of Practice for the Nurse Practitioner in the Emergency Care Setting)

4. Houston의 University of Texas Health Science Center 교과과정(2004)

연구대상은 응급실에 근무하는 의사와 간호사 214명으로 제주도를 포함한 전국의 응급의학과 레지던트 36명과 전공의 52명을 포함한 응급의학과 의사 88명과 서울 지역의 2개 대학 병원과 1개의 종합병원, 경기 지역 1개 병원의 응급실 간호사 12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04년 응급분야회 학회가 시행된 서울 L호텔에서 4월 29일-30일 2일간과 5월 10일-21일 12일간 이루어졌다.

자료분석은 SPSS/WIN 12.0을 이용하여 전산 통계 처리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응급실에 근무하는 의사와 간호사의 직종 간 직무수행 자율성 수준 비교에서 50% 이상이 의사만의 직무로 보는 항목은 응급의학과 의사의 경우 Tracheostomy 시행, Diagnostic peritoneal lavage 시행, Lumbar puncture 시행, Cricothyrotomy 시행, Chest tube 삽입, Joint aspiration 시행, Long bone(예. femur) 골절에 대한 reduction 시행, Abscess의 incision & drainage 시행, 중심 정맥관 삽입 및 관리, 치료적 복수천자나 흉곽천자 시행, Nerve blocks 시행의 11개 항목이었는데 비해 응급실에 근무하는 간호사는 Tracheostomy 시행 1개 항목만 의사만의 직무로 보고하였다.

2. 응급전문간호사에 대해 알고 있는 그룹은 응급간호사의 자율성을 높이 평가하였다.

3. 응급전문간호사의 직무 수행의 자율성 수준의 의견 일치 정도

(1) 응급실 의사와 간호사의 직종 간 직무 수행의 자율성 정도가 일치하는 항목은 55개 항목 중 Endotracheal intubation 시행, Needle thoracotomy 시행, Aterial line 삽입 및 관리, 진단적 복수천자나 흉곽천자 시행, Neck collar를 이용한 C-spine 고정, Splint 적용, Nail removal / Nail trephination 시행, 상처의 무균적 소독 실시, 눈의 이물질 제거를 위한 생리식염수 세척 시행, 연구 실시 및 발표(논문, 학회)의 10개 항목이었다.

(2) 응급전문간호사에 대한 인지여부에 따른 직무 수행 자율성 정도의 일치 항목은 37개 항목이었다.

(3) 응급의학과 의사는 응급전문간호사에 대한 인지여부에 상관없이 55개 항목 중 가장 많은 50개 항목에 대해 의견이 일치하였고 응급실 간호사는 응급전문간호사에 대한 인지여부에 상관없이 39개 항목에 대해 의견이 일치하였다.

5. 응급전문간호사의 직무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전문적 간호 실무 내용은 기존의 의사의 역할이므로 우리나라 응급전문간호사의 직무는 응급의학과 의사의 의견을 반영하여 의사의 직무로 답한 11개 항목, 즉 Tracheostomy 시행, Diagnostic peritoneal lavage 시행, Lumbar puncture 시행, Cricothyrotomy 시행, Chest tube 삽입, Joint aspiration 시행, Long bone(예. femur) 골절에 대한 reduction 시행, Abscess의 incision & drainage 시행, 중심 정맥관 삽입 및 관리, 치료적 복수천자나 흉곽천자 시행, Nerve blocks 시행을 제외한 44개 항목으로 제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통하여 응급전문간호사제도의 도입 초기 단계에서 응급전문간호사의 전문적 간호 실무의 범주에 해당하는 직무의 대부분이 그동안 응급의학과 의사 만에 의해 수행된 처치가 대부분이므로 직무의 중복을 방지하고 질적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응급의학과 의사들과의 협조적이고 원활한 의사소통을 통한 법적제도의 정착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응급전문간호사의 역할 정립을 위해서는 응급전문간호사의 직무와 관련된 프로토콜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며 직무 내용과 관련된 체계적인 실습 프로그램과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영문]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role of nurse practitioners in emergency care settings. The research design employed for the study was survey using a questionnaire, which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based on following instruments: 71 activities and procedures obtained from clinical procedures in emergency medicine by Roberts and Hedges(1998); activities and procedures performed by nurse practitioners by Cole and Ramirez(2000): the standards of practice for nurse practitioner in the emergency care settings by ENA(2001); and the curriculum content of the ENP(Emergency Nurse Practitioner) at the University of Texas Health Science Center at Houston(2004).



The survey-participants were 214 nurses and 88 doctors in the emergency care setting.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29 to 30, 2004 at the site of the annual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in Seoul. And additional data from emergency nurses from May 10 to 21, 2004 at four hospitals in Seoul and Kyonggi Province.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Win 12.0 statistical pack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Doctors identified 11 activities for doctors only; tracheostomy, diagnostic peritoneal lavage, lumbar puncture, cricothyrotomy, insertion of chest tube, joint aspiration, reduction of fractures of long bone(e.g. femur), incision and drainage of an abscess, insertion and management of central venous catheter, therapeutic paracentesis and thoracentesis and nerve blocks, while nurses identified tracheostomy as the only activities done by doctors.



2. The subjects aware of ENP gave higher autonomy scores than the subjects who did not know much about ENP regardless of their occupation.



3. Over 50 percent of the doctors responded that 11 activities listed on the questionnaire as procedures performed by doctors only and 44 activities as nurse role with various autonomy.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t is proposed that the curriculum for ENP education should include the contents regarding those procedures. Al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tocols and clinical pathway of 44 activities identified in this study.
Files in This Item:
T008313.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677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