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622 5063

Cited 0 times in

남자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 성정체감, 성고정관념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s among satisfaction in major, gender identity, and gender stereotypes of male nursing students 
Authors
 이동재 
Issue Date
2004
Description
간호학교육 전공/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직업에 대한 성고정관념이 강한 한국 문화 속에서 여성 주류의 학문인 간호학을 전공하는 남자 간호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를 확인하고 그들의 성정체감, 성고정관념과의 관련성을 규명하려는 탐색적 연구이다.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 소재 4개 간호대학과 지방 소재 16개의 3,4년제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남자 간호대학생으로 총 94명이었으며 자료 수집 기간은 2003년 10월부터 2004년 4월까지였고, 질문지를 통한 자가 보고식과 우편법으로 자료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전공만족 도구는 하혜숙(2000)이 개발한 학과(학부)만족 도구 31문항 중 18문항, 성정체감 도구는 정진경(1990)이 개발한 한국 성역할 검사(KSRI) 60문항 중 40문항, 성고정관념 도구는 김동일(1993)이 개발한 성고정관념 사정 도구 33문항을 사용하였다. 채택된 자료는 SPSS WIN. Program V. 11.5를 이용하여 전산처리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남자 간호대학생의 간호학 전공 만족도는 가능점수 범위 1~5점 중 3.73(±.53)으로서 대체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정체감 유형 분포의 우선순위는 미분화 유형이 30명(32.0%)으로 가장 많았고, 양성성 유형 28명(29.8%), 남성성 유형 18명(19.1%), 여성성 유형 18명(19.1%) 순으로 나타났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공만족 차이는 24세 미만 집단이 24세 이상 집단보다(t=2.194, p<.05), 학제와 관련해서는 3년제 재학생 집단이 4년제 재학생 집단보다 더 전공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2.418, p<.05).

3. 남자 간호대학생의 성고정관념과 전공만족의 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계수 r=-.048(p=.648)이었다. 하부요인별로 보면, 성고정관념이 높을수록 교과만족이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r=.252, p<.05), 특히 지적 성고정관념(r=.253, p<.05), 심리적 성고정관념(r=.248, p<.05), 가정적 성고정관념(r=.247, p<.05)과 낮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직업/외형적 성고정관념이 높을수록 전공만족이 약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r=-.207, p<.05).

4. 남자 간호대학생의 성정체감 유형에 따른 전공만족의 차이는 양성성 유형3.94(±.34), 남성성 유형 3.76(±.42), 여성성 유형 3.70(±.67), 미분화 유형 3.52(±.57)의 순으로 나타났는데, Scheffe''s post hoc test 결과 양성성 유형군이 미분화 유형군보다 전공에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3.25, p<.05).

5. 남자 간호대학생의 성정체감 유형에 따른 성고정관념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남자 간호대학생들의 성정체감은 미분화 유형이 가장 많았고, 양성성 유형군이 미분화 유형군보다 전공만족도가 유의하게 높음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남자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을 돕기 위하여 입학시부터 미분화 유형을 위한 특별지도 방안이 개발되어야 하는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영문]An increasing number of male students are coming to nursing, a profession traditionally dominated by women. However, there is a lack of information on how male nursing students are affected by gender identity and gender stereotyp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satisfaction in major, gender identity, and gender stereotypes of male nursing students. Convenience sampling was done to recruit 94 male nursing students from 20 nursing colleges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2003 to April, 2004 by mailed survey. Instruments were 18 items on satisfaction in major developed by H. S. Ha(2000), 40 items on gender identity developed by J. G. Jeong(1990), and 33 items on gender stereotypes developed by D. I. Kim(1993).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OVA, and Scheffe&'s post-hoc test were generated by SPSS WIN. Program V. 11.5 for data analysis.



Study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average score of male nursing students'' satisfaction in major 3.73(±.53) from a possible score of 1~5. The pattern of gender identity was mainly undifferentiated (32%), followed by bisexual-type (29.8%), and maleness(19.1%) and femaleness(19.1%) in order. The average score of gender stereotypes was 2.74(±.45) among a possible score of 1~5, suggesting that the higher score means more gender stereotypes.

2. The difference of nursing major satisfac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features showed that male students younger than 24 years-old appeared to be more satisfied more than those older than 24 years-old(t=.219, p<.05). Male nursing students attending three-year junior colleges were more satisfied in their major than baccalaureate students attending four-year colleges(t=2.41, p<.05).

3.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in major and gender stereotypes appeared to be weakly correlated with course satisfaction(r=.252, p<.05), especially for familial(r=.247, p<.05), psychological(r=.248, p<.05), and intellectual gender stereotypes(r=.253, p<.05). On the contrary, occupational/external gender stereotypes appeared to have a weak negative correlation with satisfaction in major(r=-.207, p<.05).

4. Male nursing students'' satisfaction in major in relation to the pattern of gender identity appeared to differ between groups. The results of Scheffe's post-hoc test showed that the bisexual-type group was more satisfied than the undifferentiated group(F=3.25, p<.05).

5. The difference of gender stereotypes according to the pattern of gender identity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In conclusion, study findings indicate that male nursing students with an undifferentiated gender identity have the lowest satisfaction in their major. Developing a special program for male nursing students to identify those with undifferentiated gender identity attitudes, as well as offer counseling and education may increase satisfaction in major and adjustment.
Files in This Item:
T008278.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676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