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19 1490

Cited 0 times in

프리셉터와 신규간호사간의 업무수행평가 비교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between self evaluation and preceptor evaluation in new graduate nurses on nursing performance 
Authors
 김창경 
Issue Date
2008
Description
간호학 전공/석사
Abstract
[한글]본 연구는 예비교육 후 프리셉터와 신규간호사의 업무수행평가를 비교하고 업무수행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프리셉터의 지도유형과 신규 간호사의 학습유형으로 분석한 비교 연구이다.

본 연구는 수술실을 제외한 Y의료원의 간호단위에서 2008년 3월부터 5월 까지 일반병동은 5주간, 중환자실은 9주간의 예비교육을 받은 신규간호사 78명과 프리셉터 78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2008년 4월부터 5월까지 2개월간 신규간호사의 일반적 특성과 학습유형, 업무수행능력에 대한 자가평가와 프리셉터의 일반적 특성과 지도유형, 신규간호사에 대한 업무수행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지도유형과 학습유형은 Kolb(1984)의 이론으로 Sanno대학에서 만든 도구를, 업무수행평가 도구는 한국간호평가원(2008)에서 개발한 신규간호사 만족도를 수정한 업무수행평가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신규간호사와 프리셉터간 평가 차이는 pair ed t-test 분석, 학습유형과 지도유형별 평가 차이는 paired t-test, AN OVA 분석, 업무수행평가에 미치는 추가적 요인분석은 2-way ANOVA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신규간호사의 자가평가 총점평균은 54.20점, 평균은 2.58점이고 업무영역별로는 자기계발 2.73점, 전문직관 2.68점, 책임감 및 윤리적 태도 2.59점 의사소통 및 협조 2.57점, 간호수행 및 문제해결 능력 2.53점의 순이고, 학습유형은 논리형이 41명(61%) 이었다.

2) 프리셉터의 신규간호사 업무수행평가는 총점평균 52.93점, 평균 2.52점이고, 영역별로는 자기계발 2.53점, 간호수행 및 문제해결 능력과 의사소통 및 협조 2.523점, 책임감 및 윤리적 태도 2.52점, 전문직관 2.50점이고, 지도유형은 지원형이 56%이었다.

3) 신규간호사의 자가평가와 프리셉터 업무수행평가의 차이 분석결과 t=2. 754, p=.012로 전체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영역별 평균은 전문직관(t=2.951, p=.004)과 자기계발(t=2.555, p=.013)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4) 신규간호사의 학습유형별 신규간호사의 자가평가와 프리셉터의 업무수행평가의 차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 프리셉터의 지도유형별 신규간호사의 자가평가와 프리셉터의 업무수행평가의 차이는 지도유형이 논리-주도형인 경우 자가평가는 58.6점, 프리셉터 평가는 51.9점으로 t=2.485, p=.02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6) 논리-주도형의 지도유형은 분석이 가능했던 학습유형중 논리-독립형을 제외한 논리-지원, 감각-지원형의 학습유형에서는 평가 차이가 컸으나 학습유형과 프리셉터의 지도유형별 그룹에서 자가평가와 업무수행평가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7) 자가평가와 프리셉터 업무수행평가 모두에서 학습유형이 감각-독립형이고 지도유형이 감각-지원인 경우 총점이 총점평균보다 3.6점정도 높게, 학습유형이 논리-독립형이고 지도유형이 감각-지원형인 경우는 총점이 총점평균보다 3점정도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8) 중환자실에서 교육받은 신규간호사와 일반병동에서 교육받은 신규간호사의 자가평가와 프리셉터 업무수행평가는 t=14.049, t=16.928, p=.000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프리셉터수가 3명이하인 경우와 4명이상인 프리셉터의 신규간호사 업무수행평가는 t=7.373 p=.008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신규간호사의 자가평가와 프리셉터의 업무평가에는 전문직관 영역과 자기계발 영역에서 차이가 있음과 차이는 신규간호사의 학습유형보다는 프리셉터의 지도유형에서 기인함이 규명되었다.



[영문]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and find factors making the differences between self evaluation and preceptor's evaluation on nursing performance in new graduate nurses after orientation program.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78 new graduate nurses who were educated 5-9 weeks according to their fields and 78 preceptors at Y. University Medical Hospital in Seoul.

The data were collected for Nurses's performance evaluation and learning style, teaching style from April to May in 2008.

The data were analysed using percentages, t-test, One-way ANOVA and 2-way AN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1. Total score of new graduate nurse's self evaluation was 54.20 and the average score was 2.58. Self-development recorded 2.73, professionalism 2.68, responsibility and ethical attitudes 2.59,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2.57 and nursing performance and problem solving 2.53 on a 4-point Likert scale, 61%(41) of Learning style was judgemental.

2. Total score of preceptor's evaluation was 52.93 and the average was 2.52. Self-development recorded 2.53, nursing performance and problem solving 2.523,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2.523, responsibility and ethical attitudes 2.52 and professionalism 2.50 on a 4-point Likert scale, 56% of Teaching style was supportive.

3.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bout performance between self and preceptor's evaluation(p=.012), especially in professionalism (p=.004) and self-development(p=.013).

4.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learning style.

5. According to the teaching style, Judgement-Initiative ha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elf(58.6) and preceptor's performance evaluation (51.9)(p=.025).

6.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 evaluation and preceptor's evaluation between general ward and intensive care unit, respectively (p= .000). According to the number of preceptors(between 3 and more), preceptor's evaluation scor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8).

According to this result, the evaluation of new graduate nurses and preceptors had difference in the area of professionalism and self- development. Preceptor's teaching style had more impact on the differences.
Files in This Item:
TA01101.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613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