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10 634

Cited 0 times in

청·장년층의 최대발성시간, 조음교대운동속도 및 표준문구발화속도

Other Titles
 Maximum phonation time and articulation diadochokinetic rate, speech rate of standardized passage in the healthy Korean youths and middle-agers 
Authors
 김부영 
Issue Date
2008
Description
언어병리학 협동과정/석사
Abstract
[한글]운동구어능력의 평가에 있어 첫째, 최대발성시간(maximum phonation time, 이하 MPT), 둘째, 교대운동속도(alternating motion rate, 이하 AMR)와 일련운동속도(sequential motion rate, SMR)를 포함하는 조음교대운동속도(articulation diadochokinetic rate, 이하 DDK), 그리고 셋째, 표준문구읽기를 통한 발화속도는 여러 가지 말-운동장애의 감별진단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위의 평가 과제들과 관련하여 여러 선행연구들에서 수행력과 연령 및 성별에 따른 차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지만, 대상자수가 매우 적었으며 연령군이 제한적이었고 성별 및 연령군에 속하는 대상자의 비율이 고르게 분포하지 못하여 정상 수행력으로 참고하여 사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5~54세에 해당하는 정상 청·장년층 남?녀 총 240명을 대상으로 남녀 각각 네 연령군(15~24세, 25~34세, 35~44세, 45~54세)으로 나누어 연령과 성별에 따른 평균 수행력과 수행력의 변화에 대한 경향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MPT 수행력은 나이가 듦에 따라 증가한 후 남자는 39세부터, 여자는 37세부터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남자가 여자에 비하여 MPT 수행력이 높았다.

둘째, DDK의 경우, AMR은 남녀 모두 나이가 듦에 따라 증가하다가 40세를 전후하여 감소하였고, SMR은 연령에 따른 변화가 없었다 . AMR의 경우에는 남녀차이가 없었지만, SMR에서는 여자의 수행력이 높았다.

셋째, 표준문구발화속도는 남?녀 모두 본 연구대상의 첫 연령대인 15세부터 감소하였다. 여자가 남자에 비하여 빠른 속도로 발화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15~54세에 해당하는 정상 청·장년층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수행력의 평균을 제시하고 수행력의 변화에 대한 경향성을 제공함으로써 MPT, DDK, 표준문구발화속도 측정의 표준화를 이루는 근간을 마련하였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앞으로 본 연구를 바탕으로 MPT 과제에 영향을 미치는 폐활량과 MPT수행력의 관계에 관한 연구와 환자군과 정상군 간의 비교연구, 성장기 아동에 대한 후속연구들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영문]Maximum phonation time(MPT), articulation diadochokinetic rate(DDK), which comprise alterative motion rate(AMR) and sequential motion rate(SMR), and speech rate of standardized passage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differential diagnosis of various motor speech disorders in evaluating performance of speech tasks.

Regarding the testing of these items, there have been reports which showed differences in performance with age and gender. In these reports, however, the sample size was small and the age group was limited. Also, the sample of the study was not distributed properly by the gender and age groups. That could be the reason why such research may not be useful as reference for normal population.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measure the performance of MPT, DDK and speech rate of standardized passage according to their age and gender after dividing 240 healthy Korean youths and middle-age people into four groups (aged 15~24, 25~34, 35~44 and 45~54).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MPT was long before the age of 39, but was short thereafter.

2. In DDK, AMR increased with age in both male and female. But it began to decrease by the age of 40 in male, and by the age of 37 in female.

3.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MR between two genders, but the female group showed better performance in SMR.

4. Speech rate of standardized passage decrease by the age of 15. Female did better performance than male.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standardization of the measurement of MPT, DDK, and speech of standardized passage by surveying the performance with age and gender in normal population. Hence, this report could be helpful in clinical use.
Files in This Item:
TA01088.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612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