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38 726

Cited 0 times in

실독증 환자들의 한자어와 고유어 소리내어 읽기 비교

Other Titles
 Reading aloud of Chinese-derivative words and pure Korean words in aphasia with dyslexia 
Authors
 백여정 
Issue Date
2004
Description
언어병리학 협동과정/석사
Abstract
[한글]우리말 어휘는 한자어와 고유어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그런데 선행연구들은 한자어와 고유어가 서로 다른 방식으로 심상어휘집에 저장되어 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즉, 한자어는 음절별로 의미가 있어 분절화가 쉽기 때문에 음절별로 저장되어 있고, 고유어는 반대로 분절화가 쉽지 않아 단어별로 심상어휘집에 저장되어 있을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가설은 한자어와 고유어간의 읽기 정반응 수와 오류양상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검증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실어증을 동반한 실독증 환자 11명을 대상으로 하여 한자어와 고유어의 소리내어 읽기 과제를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자어의 정반응 수가 고유어의 정반응 수보다 더 많았다.

2. 음소단계와 음절단계의 오류를 비교하였을 때 고유어에서는 음소단계의 오류가 음절단계의 오류보다 더 많았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한자어에서는 음절단계의 오류가 더 많았다. 전체 오류 중에서 가장 많은 오류 유형은 한자어에서는 다른 음절로 대치하여 비단어로 읽는 오류였으나, 고유어에서는 다른 음소로 대치하여 비단어로 읽는 오류였다.

본 연구 결과, 한자어와 고유어간의 정반응 수와 오류 유형이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한자어의 저장 및 인출은 음절단위로 이루어지고, 고유어의 경우는 단어전체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우리말을 구성하는 중요한 어휘유형인 한자어와 고유어가 심상어휘집에 서로 다른 방식으로 저장되어 있을 가능성을 지지하는 결과를 보여 주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Korean vocabulary mostly consists of Chinese-derivative words and pure Korean words. Previous studies suggested that the mental lexicon of Chinese-derivative words is segregated from that of pure Korean words. Each syllable of Chinese-derivative words carries its own meaning and thus the words are easily segmented into syllables. On the contrary, pure Korean words do not carry their meaning at the syllable level and each word must be stored as a whole in the mental lexicon.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hypothesis of segregation of mental lexicon by investigating, when aphasics with dyslexia read aloud, 1)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number of correct responses between Chinese-derivative words and pure Korean words, and 2)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error patterns between the two types of Korean vocabular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Reading aloud ability in the aphasics with dyslexia was better in Chinese-derivative words than in pure Korean words.

2. There were more errors at the syllable level in Chinese-derivative words, whereas more errors were found in the phoneme level in pure Korean words. In the former, the most common errors were nonword errors by replacing a syllable, whereas in the latter they were nonword errors by substituting a phonem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torage and retrieval of Chinese-derivative/words are processed in syllable units while those of pure Korean words are processed as whole words.

Thus, this study supports the hypothesis for the segregation of these two kinds of Korean vocabulary in the mental lexicon.
Files in This Item:
TA00948.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98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