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2 1130

Cited 0 times in

한국어-영어 이중언어사용아동의 품사별 오류유형 분석

Other Titles
 Error types of word-class analysis in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 
Authors
 임동선 
Issue Date
2001
Description
언어병리학 협동과정/석사
Abstract
[영문]

[한글]

점차적으로 국가간의 인적인 교류가 확대되고 외국에서의 생활의 기회가 증가함에 따라

이중언어-문화적 환경의 영향을 받은 아동의 수가 증가한다. 우리나라는 한국어-영어 이

중언어사용아동의 수가 다른 이중언어사용아동의 수보다 많다. 이러한 이중언어사용아동

을 위한 언어병리학에서의 접근은 정확한 진단을 통해 언어차이와 언어장애를 구분하여

올바른 중재로 이끈다는 것이다. 정상이중언어사용아동의 언어적 특징인 오류패턴을 분석

하면 아동의 언어발달수준을 측정할 수 있고 언어장애와 언어차이의 구분이 가능하다. 이

중언어사용아동은 아동간에 각 언어에 노출된 시기 및 문화에 적응된 정도 등 여러 가지

가 통제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5,6,7세 30명의 정상 이중언

어사용아동을 총 오류수와 상관관계가 가장 높았던 그림어휘력 검사결과인 한국어 점수가

높은 아동16명과 낮은 아동 14명으로 나누어 아동간의 다양성을 체계화하였다. 아동들은

그림책을 보고 이야기하기를 하였고, 이를 통해 품사별 오류유형을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품사유형별 오류율은 그룹간의 차이 없이 관계언에서 가장 많이 보였고 그 다음으로

체언, 용언, 수식언, 독립언의 순서였다. 세부적으로 보면, 체언에서는 명사에서, 용언에

서는 동사에서 오류가 많이 나타났고, 오류위치를 고려하였을 때 어미에서 가장 많은 오

류를 보였다. 관계언에서는 격조사에서 오류를 많이 보였고 그 중 주격, 부사격, 목적격

에서 주로 오류를 보였다. 그 다음으로는 관형격에서 오류가 나타났다.

2. 오류유형에서는 한국어 점수가 높은 아동그룹이 대치를 많이 하고 한국어 점수가 낮

은 아동그룹이 생략을 많이 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국어 점수가 높은 아동은 대치 중 격

간대치오류와 의미대치오류를 많이 보였고 한국어 점수가 낮은 아동은 영어대치 오류가

많았다. 또한 두 그룹 모두 이중적 오류를 계속 보였다.

3. 품사에 따른 오류유형 분석 결과 첫째, 명사는 영어로 대치를 많이 하였고 한국어 점

수가 낮은 아동에서 더욱 그러하였다. 둘째, 동사 중 오류발생위치에서는 동사전체와 어

간에서 대치를, 어미에서는 생략과 첨가 그리고 기타가 많았다. 이때 한국어 점수가 높은

아동은 의미대치를, 낮은 아동은 영어대치를 하였다. 셋째, 목적격과 부사격에서 대치오

류가 매우 높았고 주격에서는 생략오류를 많이 보였다. 격간 대치는 주격 및 목적격에서

보였고, 격내 대치는 주격과 부사격에서 보였다. 한국어 점수가 낮은 아동은 주격에서 격

내 대치를 많이 보였는데 이것은 조사 이형태간의 대치였고 이 아동들은 부사격에서도 해

석하기 힘든 대치 및 기타 역시 많이 보였으며 주격에서 이중적 사용을 계속 보였다. 넷

째, 부사에서는 영어대치 및 부정어 오류를 보였고, 다섯째, 감탄사에서는 한국어 점수가

낮은 아동이 영어로 대치하는 오류를 보였다.

본 논문에 따르면 이중언어사용아동이 단일언어사용아동과 유사한 품사별 오류형태를 보

이는 동시에 이중언어사용아동에게만 나타나는 오류형태를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중언어사용아동에게 늦게까지 나타나는 오류유형도 있고 단일언어사용아동에게는 보이지

않는 특이한 오류유형도 있다. 이는 정상 이중언어사용아동의 언어적 특징으로 이중언어

사용아동의 언어발달을 측정하고 언어장애와 언어차이를 구분할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후속연구에서는 개인마다 이중언어에 노출된 시기 및 문화에 적응된 정도 등 여러

가지 영향조건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이중언어사용아동의 조건을 고려하여

야 할 것이다.







Error Types of Word-Class Analysis in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



Dong Sun YIM

Graduate Program in Speech Pathology

Yonse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Lee Ik Hw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rror types of word class in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 In recent years, a great number of people have

opportunity to learn and experience various languages and cultures. Their

experiences have resulted in the emergence of a bilingual population. In Korea,

there are much more bilingual population who uses Korean-English than any other

languages. One of the primary job of the speech-language pathologists in dealing

with children from culturally different backgrounds is to accurately diagnose

language disorders and distinguish them from language differences. To do so,

analysis of error patterns, one of the normal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normal

bilingual children is needed. Groups of bilingual individuals are heterogeneous in

terms of socioeconomic status, length of time in the country, and degree of

acculturation. Therefor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high-score group,

low-score group) to systemize the variability of every bilingual child. The score

on the picture-vocabulary test in Korean was used to make the group for it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total number of errors. In this study, 30 bilingual

children aged 5,6,7 years were shown two short picture books and were asked to tell

the story. After having gathered the spontaneous speech, the error types of

word-class were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high-score group - low-score group).

The linguistic level of high-score group was at the upper aged level in monolingual

children, therefore the linguistic level of low-score group was at the lower aged

level. This suggest that bilingual children have similar linguistic development as

monolingual children and they also have similar linguistic error patterns as

monolingual. In addition, the variability in bilingual children was shown in this

result. However, the error types of word class were still found in bilingual

children group which had to be developed earlier. Furthermore, there were unusual

error types of word-class in bilingual children group which were hard to find in

monolingual children. This late development of error types of word-class and

unusual patterns are the normal bilingual's linguistic characteristics. These

normal error types of word-class could be helpful to make an unbiased and accurate

assessment of bilingual children. For there are many environmental influences in

bilingual children, differences of each child should be considered in further

research.
Files in This Item:
TA00842.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87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