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75 1651

Cited 0 times in

밤번고정근무 간호사와 3교대근무 간호사의 피로도, 직무만족도, 간호업무수행 정도 비교

Other Titles
 Comparison of fatigue, job satisfaction and nursing performance between fixed night nurses and rotating shift nurs 
Authors
 이성자 
Issue Date
2001
Description
간호학교육전공/석사
Abstract
[영문]

[한글]

본 연구는 일개 종합병원에서 시작한 밤번고정근무 운영에 초점을 맞춰 3교대근무간호사

와의 피로도, 직무만족, 업무수행수준을 비교하여 임상에서의 간호사 근무 형태의 변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조사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서울시내에 소재한 일

개 대학부속 종합병원에 재직하고 있는 간호사로 밤번고정근무를 희망하여 6개월 째 시행

하고 있는 밤번고정근무간호사 51명과 밤번고정근무간호사가 있는 병동의 3교대근무간호

사 148명으로 총 199명이었다. 자료는 2001년 2월 10일부터 3월 10일까지 1개월에 걸쳐서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도구는 1967년가 제

안하고 1970년 동 협회에서 확정한 피로자각 증상표(일본노동과학연구소발행, 1970)와 St

amps외 3인(1978)이 개발하여 박성애등(1992)이 번안한 직무만족 도구와 이병숙(1983)이

개발한 임상 간호사의 간호업무수행 평가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를 이용

하여 백분율, t-test, x² test, 및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설 1 :

'밤번고정근무간호사와 3교대근무간호사의 피로도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의 가설을 검

정한 결과 총 3일간의 피로도의 평균값이 밤번고정근무군은 13.72, 3교대근무군은 14.82

로서, 3교대근무자의 피로도가 더 높았으나 두 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t= -1.09, p= .28). 그러나 밤번고정근무군의 밤근무 후의 신체적 피로도의 평균은 6.36

이고, 3교대근무군의 밤근무 후 호소한 신체적 피로도의 평균이 7.18로서, 밤번고정근무

군에 비해 3교대근무군의 신체적 피로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t= -2.14, p= .03

). 두 군 모두 구성영역별 피로도의 평균점수는 신체적 증상에 의한 피로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이 신경감각적 증상이었으며, 정신적 피로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2) 가설 2 :

'밤번고정근무간호사와 3교대근무간호사의 직무만족도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의 가설

을 검정한 결과 밤번고정근무군과 3교대근무군 간의 직무만족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 .91, p= .36). 직무요인별 직무 만족도의 평균점수는 밤번고정근무군과 3교대근무군

모두 전문직수준, 자율성, 상호작용, 행정, 보수등의 순으로 높았다.

3) 가설 3 :

'밤번고정근무간호사와 3교대근무간호사의 간호업무수행 정도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의

가설을 검정한 결과 밤번고정근무군과 3교대근무군간의 간호업무수행 정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 .30, p= .77).

본 연구에서 조사한 밤근무 후 피로도, 직무만족도, 간호업무수행 정도는 밤번고정근무

군이 교대근무군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밤번고정근무자 모

두는 교대근무를 경험하였고, 교대근무 기간이 밤번고정 근무기간보다 길므로 교대근무

경험시의 피로도, 직무만족도나 간호업무수행 정도가 영향을 미쳤으리라 생각한다. 그러

나 피로도 영역 중 가장 먼저 나타나는 경향이 있는 신체적 피로도가 밤번고정근무군이 3

교대근무군보다 유의하게 낮은 결과를 나타낸 것은 밤번고정근무 적응측면에서 볼 때 긍

정적인 효과라고 볼 수 있겠다. 일부 피로항목, 직무만족, 간호업무수행 항목에서도 밤번

고정근무군이 3교대근무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보이기는 하였으나 두 군간의 유의

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뚜렷한 차이점을 찾기는 어려웠다. 그러나 개인의 동기화 된 선택

으로 시행된 밤번고정근무 제도를 지속하고 그 효과를 얻으려면 개인의 동기 요인, 직무

만족 요소에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고 이에 대한 보상이 주어진 철저한 피드백 관리가 필

요하다고 하겠다. 또한 밤번고정근무가 리듬의 적응을 최대화시키지만 우리나라 실정에서

교대근무자의 불편을 덜어주면서도 효 과적인 근무패턴이 될 수 있는 지는 장기적인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Comparison of Fatigue, Job Satisfaction and Nursing Performance Between Fixed

Night Nurses and Rotating Shift Nurses



Lee, SungJa

Dept. of Nursing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Yonsei University



This study was done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fatigue, job satisfaction, and

nursing performance between fixed night nurses and rotating shift nurses. The

design was a survey and 199 subjects were selected at one university affiliated

hospital. For fixed night nurses, 51 nurses who have voluntarily been working for

six months as fixed night nurses were chosen. For rotating shift nurses, 148 nurses

who work at the same wards as fixed night nurses were chosen.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10, February, 2001 to 10, March, 2001. As instruments, signs of

perceived fatigue, job satisfaction questionnaire and nursing performance

questionnaire were used. Data were analyzed as percentages, t-test, x² test and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Hypothesis 1 that 'fatigue between fixed night nurses and rotating shift nurses

will show a difference' were rejected(t= -1.09, p= .28). But the score of fatigue

sign in rotating shift nurses show higher tendency than the one in fixed night

nurses. Especially in terms of physical fatigue, the score of fatigue sign in

rotating shift nurse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than the one in fixed night

nurses (t= -2.14, p=.03). In all groups, physical fatigue was the most prevalent

one and the next was neurosensory fatigue. The least one was psychological fatigue.

2. Hypothesis 2 that 'job satisfaction between fixed night nurses and rotating

shift nurses will show a difference.' were rejected (t= .91, p= .36).

3. Hypothesis 3 that 'nursing performance between fixed night nurses and rotating

shift nurses will show a difference.' were rejected(t= -.30, p= .77).

In conclusion, even though job satisfaction and nursing performance showed no

differences between fixed night nurses and rotating shift nurses, physical fatigu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So it represents that fixed night shift would be a

better choice in terms of circadian adaptation aspect.
Files in This Item:
TA00839.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87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