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 2477

Cited 0 times in

지지적 간호중재가 가족지지행위와 환자역할 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uthors
 최영희 
Issue Date
1983
Description
간호학과/박사
Abstract
[영문]

[한글]

만성질환 및 장기 가료를 요하는 환자는 그들의 건강문제가 통제는 되지만 완치되지는

못하고, 증상을 항상 야기 시키지는 않으나 신체적 증상이 없는 경우에도 자가간호를 계

속하여야 하는 행동적인 어려움에 직면하여 있다.

이러한 행동적 어려움은 만성질환 환자로 하여금 환자역할과 일상의 역할사이에서 역할

갈등을 일으키며 환자역할 행위로부터 쉽게 이탈하여 질병으로부터 회복을 지연시키거나

건강상태를 악화시킨다. 따라서 이와 같은 이탈된 환자역할 행위는 그들의 질병회복, 건

강의 유지 및 증진을 저해하는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기에 이르렀다.

그러므로 의료인으로부터 의학적 지시 및 권고에 대한 이행행위를 계속 유지하도록 하

기 위해서 최근에 이르기까지 대부분의 건강교육과 환자교육으로 특징짓고 있는 정보제공

전략을 시도하였으나 이것만으로는 이제 충분치 못하다는 사실이 이미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정보제공이라는 일방향적인 환자교육을 수정하여 대상자를 그가 속한 환경의 일부

분으로 간주하여 간호 제공자와 가족으로부터의 지지 정도를 증가시켜주므로서 환자역할

행위를 증가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전략의 개발이 요망된다고 보겠다.

이에 본 연구자는 환자역할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가족지지에 관심을 갖고

환자역할 행위를 증가시키기 위한 지지적 간호중재라는 전략을 고안하여 간호원-환자, 가

족간의 원활한 상호작용을 통한 지지적 간호중재가 가족체제와 간호체제의 기능을 원활히

하게 하여 환자역할 행위를 증가시키며, 환자로 하여금 자신의 장기간호계획에 능동적으

로 참여하도록 이끌어주므로서 만성 및 장기질환 환자의 건강행위 증진을 위한 간호중재

안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환자역할 행위와 환자에 대한 가족지지 행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이라고

가정한 환자교육과 사회적지지로 구성된 지지적 간호중재를 만성질환 환자에게 실시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였다.

연구목적은 환자역할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 가족지지행위와 환자역할

행위에 미치는 지지적 간호중재의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었다.

연구방법은 1983년 5월 5일부터 8월까지 보건소 결핵관리실에 등록된 결핵환자 87명과

그가 의미있고 중요하게 여기는 가족을 대상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가정방문을

통한 면접과 질문지, 보건소 의무기록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문헌조사를 통해 저자가 제작하였고 사전에 신뢰도와 타당도 검정을 거친

주관적 이행행위인 지각된 환자역할행위, 객관적 환자역할행위인 투약지연일수, 가족지지

행위, 지각된 민감성·심각성, 지각된 이익성, 지각된 장애성, 지각된 가족지지, 환자의

성격, 환자의 지식 등의 측정도구와 실험처치를 위해 지지적 간호중재자료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환자역할 행위와 인구학적 제특성, 가족특성 및 매개변수간의 관

계 및 영향의 강도를 확인하기 위해 t검정, 분산분석, ω**2 을 산출하였고 환자역할행위

의 예측인자 확인을 위해 피어선 상관분석, 단계적 중회귀 분석을 하였으며 변수간의 인

과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PATH분석등을 하였다. 지지적 간호중재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

하여 실험군과 대조군간의 매개변수, 인구학적변수, 가족특성변수의 유사성 검정은 t검정

, X**3 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가설검정으로서 지지적 간호중재 전후의 환자역할

행위와 가족지지행위 차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paired-t검정을 이용했으며 실험군과 대조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던 변수는 공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환자역할행위에 영향을 미친 제요인

환자역할행위에 영향을 미친 제요인은 인구학적 특성 9개항과 가족특성 4개항, 매개변

수 7개항을 종속변수인 객관적 이행행위, 주관적 이행행위 각각에 대한 관계를 분석하였

다. 객관적, 주관적 이행행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인구학적 및 가족특성변수는 대상자

의 성별, 가족지지자의 성별이었다. 객관적 이행행위와 상관성이 있는 매개변수는 지각된

가족지지, 환자의 성격특성, 지각된 민감성·심각성, 지각된 이익성, 질병에 관한 지식

이었고 그중 가장 영향력이 큰 것은 지각된 이익성이었다. 주관적 이행행위와 매개변수는

모두 유의한 수준으로 상관성이 있었고,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변수는 지각된 가족지지

였다. 제변수간의 인과관계를 확인한 로정계수 분석결과, 종속변수인 이행행위와 매개변

수와의 인과관계에서는 첫째 환자의 성격이 내적통제위일수록 지각된 이익이 높고 이에따

라 주관적 이행행위는 높았으며, 객관적 이행행위로서 투약지연일수의 감소현상을 나타냈

다. 둘째 내적통제위일수록 지식이 높고 이에따라 객관적 이행행위로서 투약지연일수의

감소현상을 보였다. 셋쩨, 내적통제위일수록 지각된 가족지지가 높았고 이에따라 주관적

인 이행행위가 높았다. 넷째 지각된 민감성·심각성이 높으면 이에따라 주관적인 이행행

위가 높은 현상을 나타냈다. 따라서 내·외적통제위 성격은 이행행위에 직접적인 인과관

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위의 3가지 변수를 통하여 인과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개인의 통제위 성격은 환자역할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수로서 간호원은 먼저 환자

의 내적통제위를 확인한 다음 이에따라 그들이 가진 건강신념중 이익성에 대한 지각을 높

여주고 또한 가족지지에 대한 지각을 높여주며 환자의 지식을 높여주는 간호계획과 간호

수행을 하므로서 바람직한 환자역할로 유도할 수 있음을 나타내주었다.

2) 지지적 간호중재의 효과분석 결과

지지적 간호중재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전후 실험군과 대조군간에 환자역할행

위와 가족지지의 측정치를 비교분석하여 가설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 1 가설인 「지지적 간호중재는 환자역할행위를 증가시킬것이다」는 지지되었다 (객

관적 이행행위 t =4.19, d.f =85, p<.001) 주관적 이행행위 t =16.74, d.f= 85, p<.001).

제 2 가설인 「지지적 간호중재는 가족지지행위를 증가시킬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t=

8.70, d.f=85, p<.001).

제 3 가설인「가족지지 정도가 높을수록 환자의 역할행위의 이행정도는 높을 것이다」

는 지지되었다. (객관적이행행위 r=-.3207, p<.05, 주관적이행행위 r=.7535, p<.001)

실험군과 대조군 두집단간의 유사성 검정에서 차이가 있었던 대상자의 성별, 가족지지

자의 성별, 지각된 민감성·심각성의 이 세변수를 조정하여 다시 가설검정해 본 결과 지

지적 간호중재는 역시 가족지지행위와 환자역할행위를 변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그러므로 지지적 간호중재가 가족지지행위와 환자역할행위를 어느정도 변화시킬 수 있

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간호원은 먼저 대상자 가족의 지지정도를 확인한 다음 간호중재를

통해 가족지지도를 높여주므로 환자역할행위의 이행정도를 높여줄 수 있음을 제시해 주었

다.

지지적 간호중재의 매개변수에 대한 효과분석을 한결과 지지적 간호중재가 환자의 건강

신념, 환자의 지식, 지각된 가족지지등을 어느정도 변화시킬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

라서 대상자의 건강신념과 지식정도를 확인하여 이에따라 지지적 간호중재를 통해 대상자

의 건강신념의 변화를 시도하고 대상자의 질병에 관련된 지식을 증가시켜주므로서 환자역

할행위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유도할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기반으로 만성질환의 만성적인 특성과 대부분의 치료가 가정에서 이루어

진다는 특성때문에 치료에 대한 환자의 요구는 환자의 환경으로서의 간호원에 의한 환자

교육과 사회적지지, 가족내 의미있는 가족에 의한 사회적지지이며 이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론을 내릴수 있다. 또한 환자의 내적통제위성격이 지식습득을 높게하고

이익성에 관한 건강신념을 높이며 가족의 지지를 더높이 지각하게하여 환자역할행위를 잘

수행하도록하는 변수간에 인과관계를 보여주므로서 원인적 요인통제를 가능하게 했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지지적 간호중재의 효과는 3번의 가정방문이 가져오는 attention placebo effect 때

문인가를 보기위해 4 group experimental research를 통하여 간호중재효과를 재확인할 필

요가 있다.

2) 지지적 간호중재가 이행행위에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대상자의 건강결과 (Health ou

tcome)에도 영향을 미치는가를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3) 장기간의 이행행위를 요하는 여러상황에 가족구성원의 지지전략을 적용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4) 다음과같은 질병상태의 환자역할행위 그리고 예방적 건강행위를 위해 지지적 간호중

재 전략을 적용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만성 질병상태 : 궤양, 고혈압상태

예방적 건강행위 : 예방적 치아관리, 혈압 자가검진 등

5) 만성질환 환자를 위한 지지적 간호중재의 개발과 적용이 간호현장에서 충분히 적용

될 수 있어야 겠다.

6) 외적통제위 성격을 갖인 환자의 역할행위를 내적통제위로의 전환을 위한 연구가 요

망된다.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Effects of Supportive Nursing Intervention on Family

Support Behavior and Sick Role Behavior



Choi, Young-Hee

Department of Nursing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irected by Prof. Cho-Ja Kim, Ph.D. in Nursing Scienc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upportive nursing intervention on chronic

patients' sick role behavior. The purpose was to increase patient compliance and

family support.

The study objectives were to determine factors influencing sick role behavior and

the effect of supportive nursing intervention on sick role behavior and family

support.

The subjects, consisting of 87 tuberculosis patients who were registered in the

tuberculosis clinic in a seoul City District Public Health Center and their

significant family member,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to August, 1983 through interviews during home visits,

questionaires and medical records.

The supportive nursing intervention proctocol and the measurement tools were

developed by the investigator from the ilterature review; the instruments to

measure patients' knowledge, percieved family support, barriers and benefits of

health care, susceptibility and severity of illness, family support behavior,

delayed medication days-objective compliance. and percieved sick role

behaviors-subjective compliance, were tested for reliability and validity.

Personality characteristics (Internal and External Locus of control) was measured

by Wallston's Health Locus of Control instrument.

T-test, ANOVA and ω**2 were used in analyzing the data to confirm the intensity

of the influence and the relation between intervening variables and family

characteristic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ick role behavior, Pearson's

corr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o confirm the predictors of sick role

behavior, and PATH analysis and others, to confirm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Family characteristics, demographic and intervening variables were

compaired by means of t-test and X**2-test to confirm the effect of supportive

nursing intervention; paired-t test was used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family support behavior and sick role behavior before and after supportive nursing

intervention; ANOCOVA was used to test for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The results of the study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1) Factors influential on sick role behavior: The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of seve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our family characteristics and seven

intervening variables with subjective and objective compliance, the dependent

variables. The demographic and family characteristic variables which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objective and subjective compliance was the sex of

the subjects and their supportive family members. The intervening variables which

correlated with objective compliance were perceived family support,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patients, perceived susceptibility, severity, perceived benefits

and the knowledge about their disease, of which the most influential was perceived

benefit. Subjective compliance and intervening variables correlated to a

significant degree and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was perceived family support.

Path analysis showed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compliance and intervening

variables: Internal Locus of Control(I.L.0.C) influenced percieved benefit which

increased objective compliance(the decrease of delayed medication days) : I.L.0.C

increased a high degree of knowledge which increased objective compliance : I.L.0.C

increased percieved benefit which increased subjective compliance (the increase of

perceived sick role behavior) : I.L.0.C increased percieved family support which

increased subjective compliance : percieved high susceptibility and severity

increased subjective compliance.

2) Results from analyzing the effect of supportive nursing intervention :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easurement of intervening variabl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o confirm the

effect of the supportive nursing intervention resulted in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all the intervening variables except for the personality of the patient.

A hypothetical test by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easurement of sick role

behavior and family support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o confirm the effect of supportive nursing intervention

resulted in the following :

The first hypothesis that supportive nursing intervention will increase sick role

behavior was supported.

The second hypothesis that supportive nursing intervention will increase family

support behavior was supported.

The third hypothesis that the higher the degree of family support, the higher the

compliance of sick role behavior was supported.

As an additive analysis, the three variables, i.e. the sex of the subjects and

their supportive family members, perceived susceptibility, and severity, which

showed differences in the test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were controled and retested. AS a result, it was shown that supportive nursing

intervention increased family support behavior and sick role behavior, and the

hypotheses were supported.

It was concluded that support by significant family rembers and support by the

nurse are important to patient compliance. Patients need are increased supportive

system.

There is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atient'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sick role behavior. Although there are no direct relationships, there are indirect

causal relationships with most of the intervening variables, of which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s are patient knowledge, percieved benefit and percieved family

support.

Nusing assessment should identify the patient's internal locus of control, then

predict and control the above three variables for improved patient compliance.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5635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84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