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855

Cited 0 times in

계획된 간호정보가 수면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uthors
 이소우 
Issue Date
1982
Description
간호학과/박사
Abstract
[영문]

[한글]

본 연구외 주목적은 계획된 간호정보( structured information ) 제공이 수면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 연구는 다음의 두가지 연구문제를 가지고 시도 되었다. 즉

첫째, 계획된 간호정보는 수술로 인한 정신적 불안과 신체적 스트레스 때문에 수술전 후

에 생기는 환자외 잠정적 수면장애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계획된 간호정보는 수면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수술전날 밤 상황 불안 ( state anxiety )정도나 수술후 정신

신체적 스트레스로 인한 홀몬 변화 및 수면량과 관련된 행동 변화에도 영향을 미치는가

이다. 이 연구문제를 가지고 수술후 첫날 부터 둘째날 까지 수면을 거의 취하지 못하는

개심술(open heart surgery) 환자를 선택하여 계획된 간호정보를 제공받는 실험군과 계획

된 간호정보를 제공 받지 않는 대조군의 두 집단을 설정하여 이 두 집단간의 상황 불안

정도, 홀몬치 변화 및 행동변화를 비교 분석함으로서 계획된 간호정보와 효과를 규명 하

고저 시도하였다.

본 연구실험을 효과적으로 검중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주가설과 부가설을 설정 하였

다.

주가설 1) 계획된 간호정보를 받은 실험군은 계획된 간호정보를 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

하여 수술 전날 밤 수면량이 많을 것이다.

2) 계획된 간호정보를 받은 실험군은 계획된 간호정보를 받지 않은 대조군에비하여 수

술후 일주일간의 평균 수면량이 많을 것이다.

부가설 1) 계획된 간호정보를 받은 실험군은 계획된 간호정보를 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

하여 수술 전날 밤 상황 불안 정도가 낮을 것이다.

2) 계획된 간호정보를 받은 실험군은 계획된 간호정보를 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수

술후 홀몬변화가 적을 것이다.

3) 계획된 간호정보를 받은 실험군은 계획된 간호정보를 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수

술후 행동변화가 적을 것이다.

연구방법은 유사실험 설계(quasi-experimental design)의 시간연속 방법 (time-series

method)을 이용한 임상실험 연구로서 연구대상 및 연구현장 설정을 위한 사전조사와 연구

도구개발과 설정을 위한 사전 실험, 그리고 실험적 간호 정보 제공 과정 절차를 거치는

방법으로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 시내 1개 종합 병원에서 무작위 선택방법에 의하여 선정된 실험군

과 대조군에 체계적인 방법으로 분배된 53명외 개심술 환자이었다. 26명의 실험군과 27명

외 대조군 두 집단의 유사성 검중을 위하여 수면 형태 조사, 기질 분안 (trait anxiety)

검사, 홀몬 검사, 행동 척도 검사 및 진단명 대조확인 등을 분석한 결과 수면 형태, 심리

상태, 생리 상태 및 질병 정도에서 두 직단이 유사함을 확인 하였다. 실험적 조치이외의

병실 환경 및 간호중재에 있어서는 두 집단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연구 도구로서 사용한 계획된 간호정보는 수술과정과 수면에 연관된 내용을 Roy 의간호

중재 모형을 근거로 하여 생리적 요구, 자아 개념, 역활 기능, 상호의존관계의 적응에

관계된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이렇게 구성한 정보내용을 실험도구로 사용함에 있어서 연

구자와 연구 대상자 사이에서 발생할 수도 있는 주관적 편견을 피하고 정보제공의 형평을

위하여 녹음테이프에 수록하여 사용하였다.

수면형태 및 습관 조사는 선행연구틀 참조하여 설문지를 제작 하였다.

수면량 측정은 객관적인 기준에 의거한 간호원의 관찰과 환자 자신의 보고. 보호자의

확인으로 수면량을 정하여 기록하는 방법을 사용 하였다.

상황불안은 Spielberger의 State Trait Anxiety Inventory(STAI)로 측정하였고 홀몬은

혈장내 cortisol 로 측정 하였으며 행등척도는 Wyatt의 Behavior and Mood Rating Scale

(BMRS) 도구를 사용 하였다.

실험기간은 연구현장 및 연구대상자 선정을 위한'예비탐사기간과 연구 도구 개발 및 설

정에 필요한 사전 실험 기간 2개월을 거쳐 본 실험에 착수하여 연구 대상자 53명을 관찰

한 총 기간은 4개월 이었다.

수집된 자료 분석은 1 ) 연구 도구의 타닥도 및 신뢰도 검중 2) 연구 대상 특성 분석 3

) 가설 검증 순서로 실시 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1 ) 연구 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요인분석 ( factor analysis)

문항분석 ( item analysis )을 하였고 2) 연구대상 특성 분석은 백분율과 t -test로 실험

군과 대조군의 유사성을 검증 하였으며 3) 가설검증은 차 평균치 (mean difference )에

의한 t-test 및 공변량 분석 (analysis of covariance)등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도구 검증결과를 살펴 보면

첫째, 수면형태 및 습관척도는 Spearman-Brown외 Split -half method 를 사용하였는데

신뢰도가 . 86으로서 연구 대상자의 수면 형태를 분석 하는데 알맞은 도구이었다.

둘째, 불안 척도는 Spielberger의 기질 불안 척도와 상황 불안척도를 검증 하였는데 각

각 r=·90 r=·91의 신뢰도를 나타 내었다.

세째, 행동변화 척도는 Wyatt의 행동척도를 요인 분석하여 7개의 요인으로 산출 하였고

각 요인의 누적율(Cumulative percentage ) 은 71.3% 이었다.

연구 대상자의 유사성에 대한 검증 결과를 살펴 보면

첫째, 실험군과 대조군의 수면형태 및 습관은 각각 수면형태 평균치가 10.73, 10.81으

로 유의도 검증에서 (t =. 08, P>.05) 유의한 차가 나타나지 않으므로 유사한 특성을 나

타 내었다.

둘째, 실험군과 대조군의 실험전 수면량은 각각 평균 344분과 363분으로 유의도 검증에

서 (t=.86 P>.05)유의한 차가 나타나지 않으므로 유사한 특성을 나타 내었다.

셋째, 실험군과 대조군의 기질불안은 각각 불안척도 평균치가 46, 44점으로 유의도검증

에서 (t=.70 P>.05) 유의한 차가 나타나지 않으므로 유사한 특성을 나타 내었다.

넷째, 실험군과 대조군의 행동 변화 특성은 각각 행동척도 평균치가 31.76, 30.92점으

로 유의도 검증에서 (t=1.15, P>.05)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으므로 유사한 특성을 나

타내었다l

다섯째, 실험군과 대조군의 홀몬치변화 특성은 홀몬 평균치가 각각 308. 29㎍, 333.41

㎍으로 유의도 검증에서 (t=.26, p>.05)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으므로 유사한 특성을

나타 내었다.

가설검증 결과를 살표 보면

첫째, 주가설 1은 받아 들여지지 않았다.

즉 계획된 간호정보를 받은 실험군의 수술전날 밤 수면량은 282분이고 대조군의 수면량

은 255분으로 실험군외 수면량이 많은 경향을 띄었으나 차 평균치 유의도 검증에서 (t=1.

58, P>.05) 받아 들여지지 않았다.

둘째, 주가설 2도 받아 들여지지 않았다.

즉 수술후 일주일간 계획된 간호정보를 받은 실험군의 수면량 평균치는 297.59분이었고

대조군의 수면량 평균치는 278.57분으로 실험군의 수면량이 많은 경향을 띄었으나 차 평

균치 유의도 검증에서 (t=.35 P>.05) 받아 들여지지 않았다.

세째, 부가설 1도 받아 들여지지 않았다.

즉 실험군과 대조군의 상황불안 평균치는 각각 42.3과 43. 9로 실험군의 상황불안정도

가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도 검증에서 (t=.68 P>.05)받아 들여지지 않았다.

네째, 부가설 2도 받아 들여지지 않았다.

즉 실험군과 대조군의 홀몬치변화 평균치는 각각 338.35㎍, 440.26㎍으로 실험군의 홀

몬 변화 정도가 낮은 경향을 띄었으나 유의도 검증에서 (t=.11 P>.05)받아 들여지지 않았

다.

다섯째, 부가설 3은 받아 들여 졌다.

즉 실험군과 대조군의 행동변화 평균치는 각각 29.60, 31.00으로 실험군의 행동변화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유의도 검증에서 (t=2.30 P>.05)받아 들여 졌다.

이상의 가설 결과를 종합하면 계획된 간호정보의 효과는 수면량, 상황 불안, 홀몬 변화

에는 유의하지 않았고 행동 변화에만 유의하였다.





The Effect of Structured Information on the Sleep Amount of Patients Undergoing

Open Heart Surgery



Lee, So - Woo

Department of Nursing The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Kim, Susi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at the effect of the structured

information on the sleep amount of the patients undergoing open heart surgery.

Thisstudy has specifically addressed to the Following twobasic research questions :

(1) Would the structured in formation influence in the reduction of sleep

disturbance related to anxiety and physical stress before and after the operation?

and (2) what would be the effects of the structured information on the level of

preoperative state anxiety, the hormonal change, and the degree of behavioral

change in the patients undergoing an open heart surgery?

A Quasi-experimental research was designed to answer these questions with one

experimental group and one control group. Subjects in both groups were matched as

closely as possible to avoid the effect of the differences inherent to the group

characteristics. Baseline data were also collected on both groups for 7 days prior

to the experiment and found that subjects in both groups had comparable slee

patterns, trait anxiety, hormonal levels and behavioral level.

A structured information as an experimental input was given to the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only.

Date were collected and compare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on the sleep amount of the consecutive pre and post operative days, on

preoperative state anxiety level, and on hormonal and behavioral changes.

To text the effectiveness of the structured information two main hypotheses and

three sub-hypotheses were formulated is follows:

Main hypothesis 1 :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received structured information

will have more sleep amount than the control group without structured information

in the hight before the open heart surgery.

Main hypothesis 2 : Experimental group with structured information will have more

slee amount than control group without structured information during the week

following the open heart surgery.

Sub-hypothesis 1: The Experimental group with structured information will be

lower in the level of State anxiety than control group without structured

information in the night before the open heart surgery.

Sub-hypothesis 2 : Experimental group with structured information will have lower

hormonal level than control group without structured information on the 5th day

after the when heart surgery.

Sub-hypothesis 3: Experimental group with structured information will be lower in

the behavioral change level than control group without structured information

during the week after the open heart surgery.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a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Korea. The

53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were systematically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hich was divided by random sampling method.

Among 53 subjects, 26 were plac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7 in the control

group.

Instruments;

(1) Structed information : Structured information as in independent variable was

constructed by the researcher on the basis of Roy's adaptation model consisting of

physiolo aic needs, self-concept, role function and interdependence needs as

related to the sleep and operational procedures.

(2) Sleep amount measure :

Sleep amount as main dependent variable was measured by brained nurses through

observation on the basis of the established criteria, such as closed or open eyes,

regular or irregular respiration, body movement, posture, responses to the light

and question, facial expressions and self-report after sleep.

(3) State anxiety measure :

State Anxiety as a sub-dependent variable was measured by pieberger's STAI

Anxiety scale.

(4) Hormornal change measure :

Hormone as a sub-dependent variable was measured by the cortisol level in plasma.

(5) Behavior change measure :

Begavior as a sub-dependent variable was measured by the Begavior and Mood Rating

Scale by Wyatt.

The data were collected over a period of four months, from June to October 1981,

after the pretest period of two months.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and test for

the hypotheses, the t-test with mean differences and analysis of covariance was

used.

(1) STAI measurement for trait and state anxiety as analyzed by Cronbachs alpha

coefficient analysis for item analysis and reliability showed the reliability level

at r = .90 r = .91 respectively.

(2) Behavior and Mood Rating Scale measurement was analyzed by means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echnique. Seven factors retained were anger, anxiety,

hyperactivity, depression, bizarre behavior, suspicious behavior, and emotional

withdrawal. Cumulative percentage of each factor was 71.3%.

The result of the test for hypotheses show as follows;

(1) Main hypothesis, was not supported.

The experimental group has 282 minutes of sleep as compared to the 255 minutes of

sleep by the control group. Thus the sleep amount was higher in experimental group

than in control group, however,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05 level.

(2) Main hypothesis 2 was not supported.

The mean sleep amount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297

minutes and 278 minutes respectively. Therefore, the experimental group had more

sleep amount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05 level. Thus, the main hypothesis 2 was not

supported.

(3) Sub-hypothesis 1 was not supported.

The mean state anxiety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42.3,

43.9 in scores.

Thus, the experimental group had slightly lower state anxiety level than control

group, however,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05 level.

(4) Sub-hypothesis 2 was not supported.

The mean hormonal level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338 Mg

and 440 Mg respectively. Thu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decreased hormonal

level than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05 level.

(5) Sub-hypothesis 3 was supported.

The mean behavioral level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29.60

and 31.00 respectively in score.

Thu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lower behavioral change level than the

control group.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05 level.

In summary, the structured information did not influence the sleep amount, state

anxiety or hormonal level of the subjects undergoing an open heart surgery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however, it showed a definite rends in their

relationships, not least to mention its significant effect shown on behavioral

change level.

It can further be speculated that a great degree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variables such as sleep amount, state anxiety and fluctuation in hormonal level way

partly be responsible for the statistical insensitivity to the experimentation.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5636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75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