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 487

Cited 0 times in

입원초기 환자 간호원의 촉진적 관계와 환자의 자기노출 및 반응에 관한 연구

Authors
 이선옥 
Issue Date
1987
Description
간호학과/박사
Abstract
[영문]

[한글]

건강문제를 가진 환자가 의료기관을 이용할 때 심리적으로 편안하고 만족스러운 치료를

받도록 배려해야 하는 것은 의료인으로서 가장 기본적인 의무라 할 수 있다. 특히 최근

에는 의료기관의 규모가 커지고 업무의 분업화로 인하여 환자는 여러 종류의 의료요원과

관계를 가지게 되므로 병원 내에서의 대인관계가 점차 어려워진다고 할 수 있다.

의료기관 내에서 환자의 입원생활 전체를 통하여 진료과정에 대한 설명이나 환자의 요

구를 사정하는데 가장 밀접하게 관련되는 간호원은 환자와의 대인관계 자체가 간호활동외

중요한 부분으로서 강조되어 왔다. 환자에 대한 간호원의 대인관계가 치료적인 효과를

기하기 위하여 「촉진적 관계일 때」 가장 효율적이라는 문헌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입원초기 환자와 간호원외 촉진적관계 정도와 환자의 자기노출, 담당간호원에 대한 반응

과의 관계를 분석하는 서술적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를 시도하혔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환자-간호원 상호관계에서의 촉진적관계 정도를 알아보며 촉진적관계

와 환자의 자기노출이나 반웅과의 관계를 분석해 보며 촉진적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을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수집은 1986년 3월부터 약 3개월간 서울 시내 대규모 종합병원중

환자의 입원이 낮근무시간 중에 이루어지고 있어 자료수집이 용이한 S대학교 병원에서 이

루어졌다. 특수병동을 제외한 23개 일반병동의 입원환자를 모집단으로 하여 84명의 입원

환자와 담당간호원에 관한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촉진적관계를 측정하는 Carkhuff의 대인관계 기능 평가척도를 이용하였으

며 간호상황에서도 측정이 가능하도륵 내용을 수정했다. 환자의 반응척도는 사전조사를

통하여 연구자가 개발하였으며,환자의 자기노출 측정은 역시 Carkhuff의 척도를 이용하였

다. 간호원의 일반적 특성은 병록지나 기록을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연구변인의 분포에 대한 빈도, 백분률, 평균, 표준편차 및 범위

를 산출하였으며 촉진적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환자의 자기노출이나 반응에 대한

관련요인의 분석은 상관계수와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1. 입원초기 환자-간호원의 촉진적관계 점수는 총 15점 만점에서 입원면담시 평균이 9.

4점,오후방문에서 평균 8.7점이었으며 상호작용시간은 입원면담시 평균 14.7분이었으며

오후면담시는 4.1분이었다. 환자의 자기노출은 총 5점만점에서 입원면담시 평균 3.6점,

오후면담시에 평균 3.1점이었다. 환자의 반웅은 총 70점 만점에서 입원면담시평균 52.8점

오후면담시 평균 50.0점이었다.

2. 촉진적관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변인은 상호작용시간( r=0.32),환자의 자기노

출 ( r = 0.63), 환자반응( r = 0.15)이었으며 상호작용시간은 환자의 자기노출( r = 0.3

7)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3.환자의 자기노출에 대한 관련 요인은 촉진적 관계가 가장 중요한 요인이었으며, 상호

작용시간, 환자교육 정도, 간호원의 교육 정도, 환자의성, 환자의 연령 순이었다.

4. 환자의 반응에 대한 관련요인은 환자의 교육정도,촉진적관계였다.

5. 입원초기 환자의 입원면담시 촉진적관계의 관련요인은 환자의 성,연령, 교육과 간호

원의 경력 및 상호작용 시간이었으며 오후면담시 촉진적 관계에 관련되는 요인은 간호원

의 경력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입원면담시 환자-간호원의 촉진적관계, 환자의 자기노출과 반응정도는 오후면담

시 보다 높았다.

둘째,촉진적관계 정도는 환자의 자기노출이나 환자반응과 정적 상관관계가 확인되었으

며 의미있게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입원초기환자와 촉진적관계를 형성하는 것

은 환자에 관한 자료수집을 위한 환자의 자기노출을 유도하거나 간호원에 대한 긍정적이

고 호의적인 반응을 얻는데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세째, 촉진적관계에 대한 관련요인은 입원면담시에는 환자의 일반적 특성, 간호원의 경

력 및 상호작용 시간이었으며 오후 면담시에는 간호원 경력이었으나 전체적으로 변인의

설명력이 낮았으므로 본 연구에서의변인 이외에 새로운 변인의 개발이 필요하다.





A Study on the Facillitative Relationships of Patient-Nurse and Patient's Self

-disclosure / Response in Early Stage of Admission.



Lee, Sun Ock

Department of Nursing he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Directed by Prof. Kim, Soyaja, ph.D.)



A Nurse is a professional helper who usually practice within the health care

system. A nurse works by becoming involved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

people requiring help and their significant others. All helping occurs through the

medium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How fan we conduct our professional

relationships so that the helping process can be most effective?

Primary conditions for helping in early stage of interaction are empathy,

respect, genuineness of relationship. These are called facilitative relationship.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obtain an objective measure of level of

facilitative relationship, duration of interaction, patient's self - disclosure /

response. 2)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facilitative relationship and

patients self-disclosure / response and 3)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the

facilitative relationship. Data were gathered from 84 patient's who were admitted

from one general hospitals in Seoul.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Carkhuff's scales for assessment of

interpersonal function revised by the researcher and patient's response scale

developed by the researcher. All instruments were found to have reasonable validity

and reliability.

Interrator reliability was used to measure the facilitative relationship and the

patient's self-disclosure, Chronbach's alpha coefficients to examine the patient's

response instrument. The results of study are summerized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facilitative relationship was 9.4 in admission interview and

8.7 in afternoon interview. The mean time of duration of interaction was 14.7min in

admission interview and 4.1min in 2nd interview. The mean score of patient's

self-disclosur was 3.6 in admission interview and 3.1 in afternoon interview. The

mean score of patient's response was 51.9.

2.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facilitative relationship and patient's

self-disclosure / response was positively correlated.

3. The factors influences on the patient's self-disclosure were the level of

facilitative relationships duration of interaction, nurse's education level, sex

and age of patient.

4. The factors influences on the patientls response were patientislevel of

education, the level of facillitative relationship.

5. The factors related to the facillitative relationship in admission interview

was identified as patient's sex, age and level of education, nurses clinical

experience and duration of interaction. The factors related to the facilitative

relationship in 2nd interview was indentified as nursers clinical experience.

In conclusion the level of facilitative relationship influences on the patient's

self-disclosure and patient's response in early stage of admission.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5631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75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