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42 950

Cited 0 times in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최대발성지속시간과 파열음 산출 시 조음시간 특성 비교

Other Titles
 (The) maximum phonation time and temporal aspects in Korean stops i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Authors
 정진옥 
Issue Date
2006
Description
언어병리학 협동과정/석사
Abstract
[한글]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말 장애는 마비말장애가 가장 대표적으로, 호흡, 발성, 공명, 조음을 위한 말 기제의 운동과 협응이 원활하지 못하여 말소리 산출에 많은 오류를 보인다. 이러한 뇌성마비 아동의 말 특성은 음향음성학적 분석을 통하여 청지각적 평가를 보완할 수 있으며, 호흡과 발성 시 운동 속도와 시간적인 협응 측면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최대발성지속시간은 호흡과 발성 능력을 감별 진단하기 위한 과제이며, 파열 자음의 폐쇄 구간 및 기식 구간 길이와 음소 대립별 차이를 통해서는 음소 대립 자질의 변별적 산출 정도와 조음 기관들의 시간적 조절 특성을 살펴 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말 특성은 뇌성마비 아동의 신경근육적 마비 정도와 양상, 중증도에 따라 많은 변이성을 지닌다.따라서 본 연구는 만 5세에서 9세 사이의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을 GMFCS levels에 따라 Group Ⅰ(levels Ⅰ~Ⅲ, 고기능군), Group Ⅱ(levels Ⅳ~Ⅴ, 저기능군)로 분류하고 이 두 그룹과 정상 아동 간에 나타나는 호흡과 말 소리의 시간적 특성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모음 /아/ 연장 발성을 통하여 최대발성지속시간을 측정하고, 음향분석에서는 모음 /아/와 결합한 어중 초성 위치에서 9개 파열 자음 /ㅂ, ㅃ, ㅍ, ㄷ, ㄸ, ㅌ, ㄱ, ㄲ, ㅋ/의 폐쇄 구간 길이와 기식 구간 길이, 조음 방법(연음, 경음, 격음)과 조음 위치(양순, 치조, 연구개)에 따른 폐쇄 구간 및 기식 구간 차이를 살펴 보았다.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뇌성마비 아동 두 그룹은 정상 아동에 비하여 모음 /아/ 최대발성지속시간이 유의미하게 짧고 범위가 넓었다. 이는 뇌성마비 아동의 부적절한 호흡 조절 능력을 나타내 줄 수 있다. 둘째, 폐쇄 구간 길이에서 뇌성마비 아동은 모든 조음 위치와 모든 조음 방법에서 정상 아동에 비하여 긴 폐쇄 구간을 나타냈으며, 특히 Group Ⅱ 아동이 /아바, 아빠, 아파, 아다, 아따, 아타, 아카/에서 정상 아동에 비하여 유의미하게 폐쇄 구간이 길었다. 기식 구간 길이에서는 뇌성마비 아동이 정상 아동에 비하여 긴 기식 구간을 나타내는 양상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차이는 /아빠, 아까/에서만 나타나 정상 아동과의 전반적인 차이는 크지 않았다. 이를 통해 뇌성마비 아동의 말 운동 속도와 협응이 정상 아동에 비해 느리며, 같은 유형에서도 중증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또한 정상 아동과의 차이는 기식성의 측면보다는 긴장성의 측면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셋째, 한국어 3중 대립을 변별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긴장성과 기식성의 자질에 대한 변별적 산출 정도를 살펴 본 결과, 긴장성의 측면에서는 뇌성마비 Group Ⅰ 아동과 정상 아동은 동일하게 경음과 격음의 폐쇄 구간이 연음에 비하여 유의미하게 길게 나타나 변별적 산출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Group Ⅱ 아동의 경우 양순 위치에서 격음-연음 대립이 취약하게 나타나 뇌성마비 그룹 간의 차이를 볼 수 있었다. 기식성을 나타내는 기식 구간 길이에서는 뇌성마비 Group Ⅰ 아동은 정상 아동과 동일하게 격음이 경음과 연음에 비하여 유의미하게 기식 구간이 길게 나타나 기식성에 따른 변별적 산출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Group Ⅱ 아동의 경우 양순 위치와 치조 위치에서 조음 방법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특히 격음-경음의 대립이 취약하였다. 넷째, 조음 위치에 따른 폐쇄 구간과 기식 구간의 차이는 어느 정도의 경향성은 보였으나 정상 아동, 뇌성마비 아동 두 그룹 각각 위치 별 차이에 대한 통계적인 유의미한 차이가 적게 나타나, 파열음의 폐쇄 구간 및 기식 구간에 조음 위치가 미치는 영향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본 연구의 결과는 뇌성마비 아동과 정상 아동 간, 뇌성마비 아동의 중증도에 따른 그룹 간에 어중 초성 파열음의 산출 능력이 차이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Group Ⅰ 아동에 비해 Group Ⅱ 아동이, 기식성에 비해 긴장성이, 조음 방법에 있어서는 격음의 산출이 긴장성 및 기식성 측면에서 모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나 중증도에 따른 접근과 시간 조절 양상에 대한 분석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This study evaluated the respiratory capacity of spastic cerebral palsy children, who were grouped by GMFCS(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levels, and identified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stops, which are needed for the temporal coordination of larynx and supra-larynx, in these children. Thirty-two children with dysarthrias due to spastic cerebral palsy were divided into two subgroups: 14 children classified at GMFCS levels Ⅰ~Ⅲ were placed in Group Ⅰ and 18 classified at GMFCS levels Ⅳ~Ⅴ were placed in Group Ⅱ, and 18 children with normal speech were selected and placed in the control group. /a/ prolonged phonation and nine Korean VCV(where V was a vowel /a/ and C was stop consonants /p, p*, ph, t, t*, thh, k, k*, kh/) syllables were used. Examined acoustic characteristics were maximum phonation time(MPT), and closure duration and aspiration duration according to manner(lax, tense, aspirated) and place(bilabial, alveolar, velar) of articulation, which were calculated by the Praat program.The results were as follows;1. The MPTs of the cerebral palsy(CP) groups, both Group Ⅰ and Group Ⅱ, were significantly shorter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2. The closure durations of the two CP groups were longer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 for all 9 target syllables. Especially, the closure duration of CP Group Ⅱ was significantly longer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 for /apa, ap*a, apha, ata, at*a, atha, akha/.3. The aspiration durations of the two CP groups were longer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 but the difference of the mean was subtle. Only the aspiration duration of /ap*a, ak*a/ which was produced by the CP group, was significantly longer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4. The closure duration of the normal and CP Group Ⅰ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ense, aspirated and lax. However, CP Group Ⅱ showed weak contrast aspirated with lax in the bilabial place.5. The aspiration duration of the normal and CP Group Ⅰ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aspirated, tense and lax. However, CP Group Ⅱ showed weak contrast aspirated with lax in the bilabial and dental places.6. The mean differences of both closure durations and aspiration durations according to the place of articulation were subtle in all three groups. Therefore, the place of articulation had less influence than manner of articulation on closure and aspiration duration.These results show that the respiratory capacity and temporal coordination ability in speech production of the CP group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normal group, and can be differentiated into CP groups by their severity.
Files in This Item:
TA00694.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74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