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504

Cited 0 times in

양성비특이적 기관지과민성의 예측에 관여하는 인자

Other Titles
 A Study of Predictive Factors for the Presence of Nonspecific Bronchial Hyperreactivity 
Authors
 이용찬 
Issue Date
1990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영문]

[한글]

Methacholine은 천식환자에서 기관지수축을 일으킬 수 있으며 methacholine 예민도는

기도의 과민성을 측정하는데 널리 쓰이는 유용한 검사방법이다. Methacholine 검사는 기

관지천식외에도 알레르기성 비염환자와 만성기침을 호소하는 환자에서도 양성반응을 보이

는 것으로 보고되어왔다.

알레르기성 비염환자의 일부에서 기관지천식이 동반되거나 경과중 병발한다는 보고가

있으며 기관지천식의 진단에 methacholine 검사의 중요성이 제시되고 있다. 또한 만성적

으로 기침등의 호흡기증상을 호소하는 환자의 일부에서 methacholine에 양성반응을 관찰

할 수 있는데 임상적으로 어떤 인자가 양성 methacholine반응 예측에 관여하는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기관지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만성적으로 기침을 호소하는 환자들에서

methacholine 검사를 시행하고 그들의 기저 폐기능 검사와 임상상을 조사하였으며 설문지

에 답하게 하여 성별, 연령, 주증상, 알고있는 진단명, 알레르기력, 흡연력, 코알레르기

증상, 기침, 가래등의 호흡기 증상 및 발현시기와의 관계를 조사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

과를 얻었다.

1. 총 266예의 환자중 193예 (72.5%)가 methacholine 양성반응을 보였으며, methacholi

ne 양성군은 음성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기관지천식의 과거력이 있는 경우, 호흡

곤란, 천명의 자각경험력, 연탄까스에 호흡기 자극증상을 경험하였던 경우가 많았다.

2. Methacholine 양성군과 음성군사이에 IgE, nasal eosinophil count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총호산구수(total eosinophil Count;이하 TEC)와 sputum eosinophil count가

높은 경우에 유의하게 양성율이 높았으며 기저 폐기능검사상 FEVI, FEE25-75% PEFR 모두

의의있는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FEE25-75%가 methacholine 예민도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

를 나타냈다.

3. Methacholine 양성은 기관지천식환자중 148예중 143예 (96%), 알레르기성 비염은 83

예중 34예 (41%), 만성기침을 호소한 환자(이하 만성기침군)는 35예중 15예 (43%) 로 천

식이 알레르기성 비염과 만성기침군에 비해 높은 기관지 과민성을 나타냈으나 알레르기성

비염과 만성기침군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기관지천식을 알레르기 피부반응검사와 RAST양성유무에 따라서 알레르기군, 경계(bo

rderline)군, 비알레르기군으로 나누어 3군사이에 methacholine 예민도를 비교하였으나

의의있는 차이가 없었으며 천식증상의 중후도와 PC20사이에는 일부 의의있는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

5. Former asthmatics와 current asthmatica사이에 TEC, IgE, FVC, FEVl, PEFR은 의의

있는 차이가 없었으나 current asthmatics가 former asthmatics 에 비해 FEF25-75와 PC20

가 의의있게 낮았다.

6. 알레르기성비염중 methacholine양성인 환자가 음성인 환자보다 연령이 의의있게 높

았으나 그 외의 예측인자는 찾을 수 없었다.

7. 만성기침군중 임상상이나 실험실검사상 methacholine양성유무를 예측할 수 있는 예

측인자는 없었으나 PEFR이 90% 이하인 환자는 모두 methacholine 양성이었다.

이상의 결과로써 양성비특이적 기관지천식의 병력, 호흡곤란, 천명 및 자극깨스에 대한

호흡기증상의 경험과 높은 총호산구수, 비정상기저폐기능 검사소견 (특히 FEF 25-75)등

을 들 수 있으며 알레르기성 비염에서는 놓은 연령이 양성예측인자로 나타났다. 그러나

알레르기성 비염과 만성기침군에서 양성 비특이적 기관지과민성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에

관해서는 보다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 Study of Predictive Factors for the Presence of Nonspecific Bronchial

Hyperreactivity



Yong Chan Lee

Department of Medical Science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irected by Asociate Professor Chein-Soo Hong M.D.)



One of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bronchial asthma (BA) is the presence of

nonspecific bronchial hyperreactivity to physical, chemical and pharmacological

stimuli. Nonspecific bronchial hyperreactivity also presents in some patients of

allergic rhinitis (AR) and patients with complaint of chronic cough (CC) but its

clinical significance is still unclear. In order to find the factors predicting the

presence of bronchial hyperreactivity and its significaned, we studied methacholine

challenge response in 148 patients of BA, 83 patients of AR and 35 patients of CC.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193 of 266 patients (72.5%) showed the positive response to methacholine. The

presence of history of bronchial asthma, complaint of dyspnea, wheezing and chest

symptoms to smell of irritant gas in positive methacholine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negative group.

2. There was no difference in IgE and nasal eosinophil but TEC and nasal

eosinophil count were significantly heigher in positive group. FEVl, FEF 25-75 and

PEFR were significantly lower in positive methacholine group. The most significant

correlation was noted between FEF 25-75 and methacholine sensitivity.

3. Of 266 patients, 143 of 148 BA (96%), 34 of 83 AR(41%) and 15 of 35 CC were

positive to methacholine test. PC20 of methacholine of BA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CC and AR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noted between AR and CC.

4. PC20 of methacholine of BA, Divided into 3 groups according to reactivity of

allergic skin test and RAS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ree groups.

However some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noted between severity of symptoms and

methacholine PC20.

5. FEF 25-75 of former bronchial asthma(free of aattack more than 12 month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urrent bronchial asthma.

6. Ages of AR with positive methacholine group was significantly older than

negative group but there was no other factors significantly predicting the presence

of bronchial hyperreactivity.

7. All patients with CC in below 90 percent of PEFR of pulmonary function test

showed positive methacholine challenge test. There was no specific histories and

symptoms predicting the presence of bronchial hyperreactivity.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5992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교실) > 2. Thesis
Yonsei Authors
Lee, Yong Chan(이용찬) ORCID logo https://orcid.org/0000-0001-8800-6906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41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