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26 1347

Cited 0 times in

베르니케실어증과 브로카실어증 환자들의 명사와 동사 인출 비교

Other Titles
 Retrieval of nouns and verbs in Broca's and Wernicke's aphasia 
Authors
 현정문 
Issue Date
2003
Description
언어병리학 협동과정/석사
Abstract
[한글]베르니케실어증과 브로카실어증 환자의 공통적인 특징 중의 하나는 사물의 이름이나 동작을 적절한 단어로 쉽게 표현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단어인출의 어려움은 모든 단어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단어의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는데, 선행 연구들은 실어증 유형에 따른 명사와 동사의 인출 차이에 대해 각기 다른 실험 결과를 발표하였다. 즉, 베르니케실어증 환자는 동사보다 명사인출에 어려움을 보이는 반면, 브로카실어증 환자는 명사보다 동사인출에 어려움을 보여 동사인출의 장애가 비유창성실어증에 국한된다는 주장과, 이와는 달리 브로카실어증과 베르니케실어증 모두가 동사인출에 더 어려움을 보인다는 주장이 맞서고 있다. / 또한, 병소부위에 따라 명사와 동사인출의 어려움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주장과, 이와 반대로 뚜렷한 연관관계가 없다는 상반된 보고들이 발표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그림이름대기 과제를 이용하여 베르니케실어증과 브로카실어증 환자에게 있어 명사와 동사의 인출 차이가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알아보았다. 또한, 이러한 명사와 동사의 인출 차이가 병소부위에 따라 어떠한 관련성을 보이는가를 함께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환자군간 비교에서, 베르니케실어증 환자군은 브로카실어증 환자군에 비해 명사의 정반응수가 유의하게 적었으나, 동사의 정반응수에는 두 환자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환자군내 비교에서, 베르니케실어증 환자군은 동사의 정반응수가 명사의 정반응수보다 적었으나 유의한 차이가 없이 두 품사 모두에서 정반응이 적었다. 반면에, 브로카실어증 환자군은 동사의 정반응수가 명사에 비해 유의하게 적었다. //2. 동사와 명사의 정반응수에 따라 베르니케실어증과 브로카실어증 환자군 각각을 네 군(명사손상, 동사손상, 명․동사손상, 그리고 기타)으로 구분해 보았다. 그 결과, 명사손상과 명․동사손상 환자군은 중․하부측두엽의 손상과 밀접한 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동사손상 환자군의 경우는 병소부위와의 관련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브로카실어증 환자가 동사의 손상을 보이는 반면, 베르니케실어증 환자는 명사와 동사 모두에서 인출장애를 보였으므로, 두 환자군에 대한 명사와 동사의 이중해리(double dissociation) 현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명사손상이 뚜렷하게 관찰되는 환자들에게서 특정한 병소부위와의 관련성을 규명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영문]It is often observed that Broca''s aphasics have more difficulties in processing verbs than concrete nouns. On the contrary, Wernicke''s aphasics have more difficulties in processing concrete nouns than verbs. However, these results are often inconclusive and anecdotal. Some investigators have found that both types of aphasic patients were more impaired in producing verbs than nouns. / However, different cerebral localizations of lesions for noun vs. verb impair- ments have been suggested. Patients with a selective disorder for noun usually have lesions centered in the left temporal lobe. Conversely, verb deficits have been associated with left frontal lobe. However, not all the data support the claim for neural specialization of nouns and verbs. Thus, the objectiv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ascertain whether verb or noun deficits are associated with a particular type of aphasia, and to ascertain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sites of brain damage. The results were as follows:/1. The mean naming performance obtained by Broca''s and Wernicke''s aphasia groups on verbs was lower than their performance on nouns. However, only Broca''s aphasics were significantly more impaired on verb than noun naming. And Wernicke''s noun naming was significantly poorer than Broca''s noun naming.//2. All of the patients with severe noun deficits have lesions in the left middle-inferior temporal lobules, but patients with verb deficits did not reveal common lesions. //Thus, verb deficits were not unique features for Broca''s aphasia and significant noun deficits were found only in Wernicke''s aphasia. /It is noteworthy that all of the patients with noun deficits had lesions essentially involving the left middle-inferior temporal lobule, indicating neuroanatomical correlates of noun processing. /There are restrictions on limited subjects and tasks in this study, therefore studies considering types and severities of aphasic patients should be followed.
Files in This Item:
TA00296.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38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