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1286

Cited 0 times in

복막 투석 환자에서 이차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의 경구 칼시트리올 치료 반응에 관여하는 요인

Other Titles
 Factors affecting on the response to oral calcitriol therapy in CAPD patients with secondary hyperparathyroidism 
Authors
 유태현 
Department
 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교실) 
Issue Date
1999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영문]

[한글]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이차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중이 흔히 발생되며, 이의 조절을 위

하여 칼시트리올 투여가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복막 투석 환자에서 칼시트리

올의 치료 반응에 관여하는 요인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연구자는 지속성

외래 복막 투석(CAPD)을 시행 중인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경구 칼시트리올 치료 반응에

관여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1986년부터 1998년 12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신장

내과에서 3개월 이상 CAPD를 하고있는 환자중 혈중 부갑상선 호르몬 수치가 200pg/ml이상

인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칼시트리올은 경구로 매일 투여하였고, 고칼슘

혈증 등의 합병증이 없는 범위에서 치료 반응에 따라 단계적으로 칼시트리올의 용량을 증

량하였다. 부갑상선 호르몬은 칼시트리올 치료 전과 치료 3개월, 6개월 후에 측정하였고,

혈청 칼슘, 인, 알카라인 포스파테이즈, 알부민, BUN, 크레아티닌, 혈색소, 총 이산화탄

소 농도를 치료 전과 치료 후 1개월, 3개월, 6개월에 측정하였다. 부갑상선의 크기와 결

절 여부의 확인을 위해 경부 초음파 검사를 선별적으로 시행하였다. 치료 후의 부갑상선

호르몬 수치가 치료 전에 비해 30%이상 감소한 경우를 반응군, 30%미만의 만응을 보인 경

우를 비반응군으로 비교 분석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총 92명의 대상 환자 중 남녀비는 45:47이었7, 평균 연령은 46.5±11.3세(20-75세)

였고, 평균 복막 투석 기간은 50.3±39.4개월 이었다. 만성 신부전의 원인으로는 만성 신

장염 31예, 고혈압 19예, 당뇨병 19예, 기타 질환 23예였다. 치료 전 부갑상선 호르몬 농

도는 평균 564.8±385.9pg/ml 이었으며, 3개월 동안의 일일 평균 칼시트리올 용량은 0.43

±0.22㎍ 이었고, 6개월 동안의 일일 평균 칼시트리올 용량은 0.48±0.24㎍이었다. 치료

3개월과 6개월 후 부갑상선 호르몬 농도는 각각 400.8±473.5pg/ml 및 388.9±490.Opg/ml

이었다.

2. 3개월 치료 후 부갑상선 호르몬 수치를 검사하였던 81예의 환자 중 51예(63.0%)가

반응군이었고,30예(37.0%)는 비반응군 이었다. 6개월 치료 후부갑상선 호르몬 수치를 검

사하였던 79예의 환자중 54예(68.4%)가 반응군이었고,25예(31.6%)는 비반응군이었다.

3. 3개월과 6개월 동안 칼시트리올 투여시 비반응군은 반응군에 비해 경부 초음파상 결

절을 형성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부갑상선의 직경이 길었으며, 총 복막 투석 기간이 길었

고, 치료 전 부갑상선 호르몬 농도가 높았다.

4. 3개월 치료 후 반응군과 비반응군의 반응 예측 인자에 대한 분석 결과 부갑상선 호

르몬 농도가 470pg/ml 이상(kappa 0.577, p value<0.01), 부갑상선의 직경이 10.0mm 이상

(kappa 0.641,p value<0.01), 결절의 수가 2개 이상인 경우, 복막 투석 기간이 50개월 이

상(kappa 0.411, p value<0.01)인 경우 두 군간의 가장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있었다.

5. 6개월 치료 후 반응군과 비반응군의 반응 예측 인자에 대한 분석 결과 부갑상선 호

르몬 농도가 500pg/ml 이상(kappa 0.429, p value<0.01), 부갑상선의 직경이 9.Omm 이상(

kappa 0.678, p value<0.01), 결절의 수가 2개 이상인 경우, 복막 투석 기간이 55개월 이

상(kappa 0.524, p value<0.01)인 경우 두 군간의 가장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이차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중이 있는 복막 투석 환자에서 경구 칼시트리

올 투여시 반응 예측 인자는 부갑상선의 크기와 결절형성 유무, 치료 전 부갑상선 호르몬

의 농도, 총 복막 투석 기간이며, 특히 부갑상선 직경이 10.Omm 이상, 다발성 결절을 형

성한 경우, 치료 전부갑상선 호르몬 농도가 500pg/ml 이상, 복막 투석 기간이 55개월 이

상인 경우 칼시트리올의 반응이 불량하였다.





Factors affecting on the response to oral calcitriol therapy in CAPD patients with

secondary hyperparathyroidism



Tae Hyeon Yoo

Deparment of Medicine,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Ho Yung Lee)



Calcitriol therapy is an important treatment for the prevention and control of

secondary hyperparathyroidism in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CAPD)

patients. However, this of ten has been limited by the associated hypercalcemia and

hyperphosphatemia due to increase in intestinal calcium and phosphorus absortion.

Many studies reported that these limitations could be avoided by changing routes,

frequency and dose of calcitriol treatment. But, there are still controversy about

each methods and the results on the PTH response to conventional calcitriol

treatment in CAPD patient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factors

affecting on the response to oral calcitriol in CAPD patients. A retrospective

study was done in 92 CAPD patients with secondary hyperparathyroidism (intact PTH

level>200pg/ml) on oral calcitriol treatment. After baseline study of serum

calcium, phosphorus, alkaline phosphatase, BUN, creatinine and intact PTH,

calcitirol therapy was begun via oral route, daily. Senun calcium, phosphorus,

alkaline phosphatase, BUN, creatinine, intact PTH and other biochemical markers

were checked at 3-month, 6-month after treatment. Parathyroid gland ultrasonography

was performed to detect parathyroid hypertrophy and nodule and to measure the

diameter of parathyroid gland. All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percent reduction of i-PTH {(initial PTH-PTH after 3, 6 months)

x100/initial PTH(%), ΔPTH} during oral calcitriol therapy for 3 and 6 months

(group I; ΔPTH>30%, group ll; ΔPTH<30%).

Result:

1. All 92 patients(mean age 46.5±11.3yr, M:F 45:47, mean CAPD duration

51.3±39.4months) were administered oral calcitriol, daily. Mean calcitriol dose

during 3month was 0.43±0.227㎍ and during 6month 0.48±0.24㎍. Underlying causes

of ESRD were chronic glomerulonephritis(n=31), diabetes mellitus(n=19),

hypertension(n=19), other diseases(n=23).

2.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sex, dose of calcitriol, use of

phosphate binders(CaC03 or Amphogel), peritoneal membrane transport characteristics

by peritoneal equilbration test, serum calcium, albumin, hemoglobin, total CO2 and

underlying disease between two groups.

3. After 3-month treamen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itial i-PTH,

the diameter of parathyroid gland, initial phosphorus, intial total alkaline

phosphatase and duration of CAPD between group I and ll(406.7±196.5 vs.

871.0±478.4pg/ml, 6.2±2.6 vs. 13.1±5.2 mm, 5.0±1.3 vs. 5.7±1.3 mg/dl,

93.7±48.1 vs.171.9±137.6IU/L, 40.1±34.9 vs.73.5±37.8 months, p<0.05,

respectively).

4. After 6-month treamen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itial i-PTH,

the diameter of parathyroid gland, intial total alkaline phosphatase and duration

of CAPD between group I and II(474.1±266.6 vs.889.7±485.4 pg/ml, 6.4±2.7

vs.14.5±5.1 mm,107.9±80.1 vs.180.7±121.5 IU/L, 40.5±32.9 vs.81.8±35.3months,

p<0.05, respectively).

5. Th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shown between ΔPTH and the duration

of peritoneal dialysis, the diameter of parathyroid gland, initial PTH level and

PTH response during 3-month oral calcitriol treatment(R value=-0.308,-0.478,

-0.314, P<0.05, respectively).

6. Th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shown between ΔPTH and the duration

of peritoneal dialysis, the diameter of parathyroid grand, initial PTH level and

PTH response during 6-month oral calcitriol treatment(R value=-0.528, -0.654,

-0.362, P<0.05, respectively).

The response to oral calcitriol is poor when initial i-PTH level is more than

500pg/ml(kappa 0.429, P value
10.0 mm(kappa 0.641, P value <0.01) and the duration of CAPD more than

55months(kappa 0.524, P value <0.01). These data can be suggested that initial

i-PTH level, the diameter of parathyroid gland and the duration of CAPD were

independent risk factors of the response to oral calcitriol therapy in CAPD

patients with secondary hyperparathyroidism.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5946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교실) > 2. Thesis
Yonsei Authors
Yoo, Tae Hyun(유태현) ORCID logo https://orcid.org/0000-0002-9183-4507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36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