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 791

Cited 0 times in

의료종사자의 직무관련 혈액매개성 질병 노출 예방 모형 개발 및 효과 분석

Other Titles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 prevention model of bloodborne disease exposure among health care workers 
Authors
 김옥선 
Issue Date
2004
Description
간호학과/박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병원에 근무하는 의료종사자들의 혈액매개성 질병 노출 예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중심으로 혈액매개성 질병 노출을 예방 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고, 모형에 근거한 예방 관리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혈액매개성 질병 노출 예방 모형은 병원정책, 성격유형, 의사소통의 3개의 외생변인과 지식, 위험지각, 이행의 3개의 내생변인들로 구성되었다.

모형검증을 위한 자료수집은 2003년 8월 1일부터 8월 22일까지 전국 10개 병원의 의료종사자를 대상으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고, 331부를 최종 분석에 이용하였다.

가설적 모형의 검증결과 수정이 필요하였으며, 수정과정을 거쳐 채택된 모형은 자료와 잘 부합하였다. 본 연구 결과 혈액매개성 질병 노출 예방을 위한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지식, 위험지각, 의사소통, 병원정책이었고, 이 중 지식, 의사소통, 위험지각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지식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또한 병원정책은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들 예측변인들의 이행 설명력은 68%였다.

검증된 모형과 문헌고찰을 기본으로 혈액매개성 질병 노출 예방 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혈액매개성 질병 노출 예방 관리 프로그램은 지식을 높이기 위한 중재인 교육을 중심으로, 의사소통의 중재 방법으로 피드백 제공, 위험지각을 높이기 위한 안내문 제공, 병원정책을 위한 중재 방법으로 혈액매개성 질병 전산 경고 시스템 구축, 주사바늘통 확대 비치, 소위원회 활동으로 구성되었다.

혈액매개성 질병 노출 예방 관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1개 3차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직원을 대상으로 비동등 대조군 전후설계를 시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을 위한 자료수집은 1개 3차 의료기관의 의료종사자를 대상으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2003년 8월 1일부터 8월 16일까지 사전조사를 실시하였고, 2003년 10월 20일부터 11월 30일까지 사후조사를 위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668부를 최종 분석에 이용하였다. 관리 프로그램 적용 결과, 혈액매개성 질병 노출 빈도는 관리 프로그램 적용 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혈액매개성 질병 노출과 감염 예방 지식, 위험지각, 이행도 모두에서 관리 프로그램 적용 후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검증된 혈액매개성 질병 노출 예방 모형을 중심으로, 모형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모형에서 가장 중요한 변수인 지식을 중심으로 의사소통, 위험지각, 병원정책 변수를 포함한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이를 적용한 결과 혈액매개성 질병 노출 예방을 이행하기 위해서는 지식을 높여주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 또한 혈액매개성 질병 노출 예방 이행을 위해서는 지식을 높이기 위한 중재 이외에 의사소통, 위험지각, 병원정책과 관련한 중재를 포함하는 것이 프로그램의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검증된 모형에서 도출된 요인들을 중심으로 한 반복 연구가 필요하며, 관리 프로그램 적용 기간을 1년 이상의 장기간의 효과 분석을 위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영문]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test the structural model of bloodborne disease exposure among health care workers for duties. The conceptual framework was built around six constructs. Exogenous variables included in this model were communication, hospital policy and type of personality. Endogenous variables were perception of risk, knowledge and compliance.

Empirical data for testing the hypothetical model was collect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from August 1 to September 9, 2003. 331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Data for testing the program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from August 4 to August 14, 2003(pre-test) and October 20 to November 30, 2003(post-test). 668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overall fit of the hypothetical model to the empirical data was not good. The modified model was found to have improved much compared to the hypothetical model and was found to fit well with the empirical data. Knowledge, perception of risk, communication, hospital policy were also significantly related with compliance. Overall, the model accounted for 68% of the variance in compliance.

A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e modified model and by reviewing the literatures. The program was composed of focus on education, and included feedback, guidance panel, computer warning system for bloodborne disease, expanded use of the needlebox, and activities of the committee.

The program application resulted in a significant decrease in bloodborne disease exposure incidence with 67 cases per 10,000 health care workers after intervention, exposure incidence with 779 cases per 10,000 health care workers at the pre-intervention period and 712 cases per 10,000 health care workers at the post-intervention period. Knowledge, risk perception, compliance, report rate were shown to have improved significantly after interven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rogram for prevention of bloodborne disease exposure should focus on knowledge, and for greater efficacy, the program should also include risk perception, communication, hospital policy influencing compliance. Further studies are warranted with an extended study period.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58208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878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