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6 772

Cited 0 times in

유착 방지 재료인 Sodium hyaluronate의 재료 형태별 효능 평가

Other Titles
 Evaluation of potential antiadhesive agent, sodium hyaluronate (HA), according to forms of material in rats 
Authors
 이창목 
Issue Date
2004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복부 수술 후 유착은 대부분의 환자군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임상적으로 장폐색증, 만성통증, 성기능 장애, 불임 등의 원인이 되며, 유착으로 인해 합병증 발생 시 막대한 의료비 지출의 요인이 되고 있다. 최근 들어 여러 가지 고분자재료를 이용한 물리적인 장벽들이 유착 방지에 효과적이라고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유착방지제 중에서 alginate, carboxy methyl cellulose(CMC), sodium hyaluronate(HA), polyethylen glycol, Poloxamer 등의 수용성 고분자 물질에 대한 유착방지 효과에 대하여 발표된 결과 생체유래물질인 HA와 cellulose의 변성재료인 CMC가 우수한 유착방지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CMC의 경우 염증반응이 일부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기초 연구를 토대로 유착 방지제의 개발을 위해서, 여러 가지 고분자 재료 중 생체 적합성과 유착 방지 효능에 있어서 가장 우수한 결과를 보인 HA를 선택하였다. HA는 재료 형태에 따라 사용 방법, 유착방지 효과 등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를 비교 하고자, 용액, 분말, 필름, 스폰지의 여러 형태별로 제조하여 유착방지 효능을 평가하였다. 용액형 HA는 0.5%로 제조하여 사용하였으며. 분말형은 0.03g을 사용하였다. 또한 필름형과 스폰지형은 수용성 가교제인 EDAC(1-ethyl-3-dimethyl aminopropyl carbodiimide)로 가교 후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복부 유착 동물 모델로 Sprague-Dawley rat을 사용하였으며, 정중 개복 하에 맹장과 내부 복벽에 bone burr를 이용하여 1×2cm2크기로 장막과 복막에 손상을 준 후, 손상 부위 주위로 3군데 봉합을 시행하여 맞닿은 두 면에 유착이 생성되도록 하였다. 대조군(N=40)의 경우에는 별다른 조치 없이 2주가 경과 한 후 개복을 시행하였으며, 실험군(N=67)에서는 각각의 재료를 손상 부위 주변에 투여하고 2주 후에 개복하여 유착 정도를 평가하였다. 유착의 정도(0에서 5단계)와 세기(1에서 4단계)는 육안적으로 평가하였으며, 유착의 면적도 함께 측정하였다. 대조군에서는 유착의 정도 및 세기가 각각 평균 4.8과 3.9를 나타내었으나, 실험군에서는 용액형이 각각 3.4와 2.4, 분말형은 2.7과 1.9, 필름형은 3.0과 2.3, 스폰지형은 2.6과 1.0을 나타내었다. 또한 유착면적의 측정 결과에서도 유착정도 및 유착세기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HA 재료 형태별 유착방지 효과는 분말형과 스폰지형이 우수하였으며, 특히 스폰지형이 다른 형태에 비하여 유착방지 성능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영문]Postoperative adhesions can occur after all types of operations, resulting in serious clinical complications. A variety of approaches have been investigated for prevention of postoperative adhesions. Of them, sodium hyaluronate (HA) as a physical barrier appeared to be the best candidate for prevention of postoperative adhesions. HA can beformulated in four types, solution, powder, sponge,and film, and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which form of HA is most effective as an antiadhesive agent. Four-week-old female Sprague-Dawley rats (Sam:TacN(SD)BR, Samtako Co., Seoul, Korea) were used. A 2-cm2 area of the cecal serosa and adjacent peritoneal wall were abraded with a bone burr, and the two injured surfaces were attached together by using 3-point sutures coated with one of the four forms (0.5% solution, 0.03 g of powder, 2 cm2 of sponge, and film) of HA (experimental groups, n=67) or without any HA (control group, n=40). The degree (0-5 grades), the strength (1-4 grades), and the area (cm2) of adhesion were assessed 14 days after the operation. There was no operative mortality and no postoperative weight loss. The grades of adhesion degree and strength were higher in the control group (mean 4.8 and 3.8) than in any of the four experimental groups (p<0.05). Among the four experimental groups, the grades of adhesion degree and strength were lower in the powder and the sponge groups than in the other two groups.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associated with the differences in the sizes of the adhesion area. The coating with four forms of HA can reduce postoperative adhesion formation. Among the four forms, the powder type and the sponge type of HA showed better antiadhesive effects than the solution type or the film type.
Files in This Item:
T007924.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873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