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8 639

Cited 0 times in

민항공 객실승무원을 위한 요통예방 프로그램의 개발

Other Titles
 Development of low back pain prevention program for civil airline flight attendants 
Authors
 한현미 
Issue Date
2003
Description
간호학과/박사
Abstract
[한글]



최근 작업 관련성 근골격계 질환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질환의 50% 이상이 요통이다. 특히 민항 객실승무원의 경우 요통으로 인한 병휴가 다발한 것으로 조사되어, 이들에 대한 요통예방 관리는 비용효과 뿐만 아니라 기내 안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요소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민항 객실승무원의 요통발생에 영향을 주는 위험 요인을 규명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문헌고찰과 선행연구를 근거로 연구의 개념 틀을 제시하였고, 단면적 관찰연구를 실시하였다. .

자료수집은 국내 A항공사의 객실승무원을 대상으로 2003년 1월 22일부터 4월 19일까지 질문지와 비디오 촬영을 통한 작업환경측정을 실시하였다. 질문지 조사는 1,764명의 근접모집단을 대상으로 체계적 무작위 표출방법을 이용하여 398명을 선정하였으며 그 중 231매의 질문지를 수거하여 자료분석에 사용하였다. 기내 작업환경 측정은 10시간 이상의 장거리 비행구간(서울↔프랑크푸르트)과 국내선 구간(서울↔목포)에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1.0 for Window 프로그램을 이용하고 t 검정, 카이제곱, 회귀분석 등의 통계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전체 대상자 가운데 요통증상 양성자율은 58.7%이었으며, 여성은 61.2%, 남성은40.7%가 양성자로 나타났다. 25-29세 연령군과 근무경력 37-60개월에서 요통증상 양성자율이 가장 높았다. 주요업무에 따른 요통발생 현황은 일반석 선임 및 기내판매업무 담당자, 일반석 Junior가 높게 나타나, 연령층, 근무경력 및 주요업무의 특성에서 일반석 선임승무원이 요통발생의 위험이 가장 높은 대상자 집단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객실장은 요통발생의 위험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키는 165cm 이상에서 증상 양성자의 비율이 더 높았다.

직무 스트레스의 평균점수를 비교한 결과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특히 직무재량권에 대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요통발생이 많았음을 보여주었다. 대인관계지지에 대한 평균점수는 대인관계에서의 지지가 낮을수록, 특히 상사의 지지가 낮을수록 요통발생이 많았다.

허리 구부림의 정도가 클수록, 허리 움직임의 빈도가 많을수록, 취급 물건의 무게가 무거울수록 요통증상 양성자의 비율이 더 높았으며, 다변량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작업시 허리 구부림의 정도가 20도 이내일 때에 비하여 20-60도일 때 비교위험도가 4.103으로 가장 컸으며, 취급 물건의 무게가 5kg이하일 때에 비하여 20kg이상일 때 비교위험도는 6.437로서 요통발생에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기내작업환경 평가결과 위험요인은 불안전한 자세와 힘으로 파악되었고, 위험요인과 관련된 대표적인 작업활동은 3가지로 확인되었다. 「신문뭉치 들어올리기 작업」,「비행기 출입문 당기기 작업」,「음료 및 식사제공을 위한 카트를 밀고 당기기 작업」등이 이에 속하였다. 「신문뭉치 들어 올리기 작업」의 들기 지수(LI) 결과는 신문묶음 다발을 바닥에서 트레이 보관함에 적재할 때, 신문묶음을 의자 위에 둔 상태에서 승객좌석 위의 보관함에 적재할 때 모두 1이하로 나타나 안전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나 각각 0.85, 0.98로 여성의 경우 위험할 수 있어 신문적재함의 위치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행기 출입문 당기기 작업」은 초기 당기는 힘이 최대 22kg이 가해질 경우 90%의 여성에게 허용될 수 있으나 나머지 10% 정도에서는 위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밀 카트 밀고당기기 작업」분석 결과, 여성의 90%가 안전하게 작업하기 위해서는 밀고당기는 힘이 10kg-12kg 이하가 되어야 하나 측정한 카트는 5.5kg-17kg까지 힘의 변화가 크게 작용하여 기류가 불안정할 때와 좁은 공간에서 카트를 움직이는데 익숙하지 못할 경우 요통발생의 위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에서 확인된 위험요인의 결과를 토대로 요통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내용은 요통발생 위험요인 가운데 중재 가능한 요인을 중심으로 행위적 중재, 행정적 중재, 공학적 중재의 3가지로 분류하였고, 가장 핵심적인 기능은 다양한 부문의 인적자원으로 구성된 요통예방위원회에 두어 이들 중재를 연결시키고 프로그램을 주도적으로 운영하도록 하였다. 프로그램 구성 항목은 작업분석, 작업공정과 작업장 개선 및 운동 등의 8가지 항목이며, 객실승무원에게 요통예방 프로그램을 계획하여 일정한 간격에 따라 규칙적으로 시행할 것을 제언하였다. 그러므로 객실승무원의 요통예방 프로그램은 승무원의 건강향상은 물론 병휴 일수를 감소시킴으로서 신체적, 사회심리적 측면에서의 이점과 경제적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The work 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re increasing continuously recently, especially a more than 50% of work 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 is low back pain in our country. Since the number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that required days away from work have occurred frequently in flight attendants, it is increased by a cost effect important element. Besides, musculoskeletal disorders have a potential risk to affect cabin safety issu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risk factors to affect the low back pain occurrence of civil airline flight attendants, and to present early intervention program to prevent low back pain. The cross sectional observation was used for the research design of this study.

Working environment measuring data was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and video photographing of ''A'' airline''s flight attendants from January 22 to April 19, 2003. By using systematic randomized sampling method to close 1,764 study population, 398 people were select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231 returned questionnaires were used.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11.0 for t-test, chi square and regression.

This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Positive low back pain rate was 58.7% in the whole study group. In these positive rate people, 61.2% was woman and 40.7% was man. The highest positive group was age between 25 to 29 years, and career between 37 to 60 months.

2. According to job position, a risk of the low back pain occurrence was the highest in economy class senior, cabin sales charge and economy class junior group. On the other hand, cabin manager was the lowest risk group.

3. According to an average score of job stress, low job control and low supervisory support were each associated with higher positive rate of low back pain.

4. A degree of being bent was large, and a waist had a lot of frequency of a waist movement, and weight of a thing to treat was heavy showed that positive rate of low back pain was high.

5.According to the in-flight working environment measurement, the risk factors of low back pain were unstable posture and force. Three representative works related to these risk factors were , and . The lifting index (LI) results which measured the work were all appeared with 1 below when an action to prepare newspaper bundling to a tray in a floor and raise a newspaper bundling to over head bin with the passenger seat. However, a newspaper lump need to be loaded between waist and knee height because lifting index appeared in case of woman with each 0.85, 0.98. If the maximum acceptable initial force 22kg are added, initial force to pull can be permitted by a woman of 90%, but appeared with dangerous thing in remaining approximately 10%.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if a woman of 90% work safely it must become or below in 10-12kg. But a variation of 5.5 -17kg forces was large, it appeared with a risk of low back pain if flight attendants are not familiar with their job or turbulence.

Low back pain prevention program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confirmed risk factors. The contents of the program are behavior, administrative and ergonomic intervention. And the low back pain prevention committee, consisted of staff in various fields, will perform a proactive role. This committee plays to connect these interventions and to administer a program. Program configurations are eight items, which is a job analysis, a work process and a worksite improvement, physical strength measurement and exercise, etc. The committee will act to prevent low back pain on the schedule and evaluate its effect. The program will be helpful to improve physical and psychosocial health aspect for flight attendants as well as economic benefit for the company.
Files in This Item:
T007799.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861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