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94 1188

Cited 0 times in

보건진료소의 고혈압 예방 및 관리사업 평가

Other Titles
 Evaluation of hypertension prevention and management programs in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 posts 
Authors
 권명순 
Issue Date
2003
Description
간호학과/박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보건진료소에서의 고혈압 예방 및 관리사업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통해 현행 보건진료소의 고혈압 예방 및 관리사업을 평가 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첫 번째, 평가도구 개발에서는 문헌고찰과 4개의 보건진료소 현지방문 및 그곳의 보건진료원과의 심층면담을 이용한 방법론적인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두 번째, 실제 현장에서의 고혈압 예방 및 관리사업을 평가하기 위해서 개발된 평가도구를 전국의 보건진료소를 모집단으로 비례층화추출법에 의해 700개소를 선정하여 자가보고식 우편설문지조사를 하였다. 자료는 총 215부 회수되었고, 이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PC+ WIN 1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적 통계, 교차분석, 일원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평가도구는 4개 영역, 12개 항목, 41개 세부평가항목으로 구성되었다. 4개의 영역은 고혈압 예방사업, 고혈압 관리사업, 사업여건조성, 자체평가로 나누어졌고, 고혈압 예방사업 영역에는 보건교육, 고혈압환자 조기발견이 항목으로 구성되었고, 고혈압 관리사업 영역에는 고혈압환자 등록 및 관리사업, 교육 및 상담, 고혈압환자 치료 및 추구관리가 항목으로 포함되었다. 사업여건조성 영역에는 지역주민의 접근성, 보건교육자료의 비치, 홍보가 항목으로 포함되었고, 자체평가에는 사업계획서 수립, 사전평가, 중간평가, 결과평가가 포함되었다.

2. 평가도구에 배점처리는 전문가의 타당도 검정을 통해 총 100점 만점에서 영역별로 고혈압 예방사업 35점, 고혈압 관리사업 40점, 사업여건조성 10점, 자체평가 15점으로 구성되었다.

3. 영역별 평가결과에 따르면 고혈압 예방사업은 평균 23.44±4.49/35점, 고혈압 관리사업은 평균 28.81±4.35/40점, 사업여건조성은 평균 4.29±1.81/10점, 자체평가는 5.10±3.68/15점로 총점은 평균 61.65±10.67/100점을 나타냈다.

4. 평가결과를 점수에 따라 상위, 하위, 중위그룹으로 분류하였으며, 상위그룹과 하위그룹이 모두 낮은 점수를 나타낸 평가내용은 보건교육을 위한 교육매체 보유, 공식적인 연계망, 고혈압 사업의 여건조성을 위한 물리적환경조성, 사업결과에 대한 평가로 나타났다.

5. 고혈압 예방 및 관리사업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은 지역사회의 참여와 관련된 운영협의회와 마을건강원인 것으로 밝혀졌다. 즉, 운영협의회에서 고혈압관련사업이 거론되었던 경우와 마을건강원이 고혈압 사업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할수록 사업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업을 효율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의 참여를 활성화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엿볼 수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평가도구의 현장적용에 따라 도출된 결과를 통해 결정요인으로 판명된 것을 강화 혹은 개선함으로써 보건진료소에서의 효과적인 고혈압 예방 및 관리사업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ffective evaluation tool for evaluation of hypertension prevention and management programs in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 posts, and to evaluate the hypertension prevention and management programs of current community health posts and through this evaluation, identify related factors



The preliminary evaluation tool was developed from the results of a literature review, field visits, and the in-depth interviews with the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The preliminary evaluation tool was verified twice by specialists in the field. The completed evaluation tool was a self reported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during the period from October 1, 2002 to March 13, 2003, and the survey results were analyzed using SPSS program, version 11. Analysis was done with 215 questionnaire, which represent fully completed questionnaires returned from a random sample of 700 nurses in community health post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1.The evaluation tool for evaluation of hypertension prevention and management programs in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 posts is composed of 4 categories, 12 items and 41 evaluation details.

2.The weighted values given to the 4 categories were as follows. Hypertension prevention program 35, hypertension management program 40, composition of conditions for program 10, self-evaluation 15. The weighted values totaled 100.

3. The average score for the total questionnaire was 61.65¡3/410.67. The average score for hypertension prevention was 23.44¡3/44.49, for hypertension management, 28.81¡3/44.35, for composition of conditions for program, 4.29¡3/41.81 and self-evaluation, 5.10¡3/43.68.

4. The factors which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hypertension prevention and management programs in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 posts were degree of support from community health workers and discussion of the hypertension program in working committees



In conclusion, the application of this evaluation tool allows the practitioner to carry out an effective program by using evaluation outcomes to plan, organize, direct and control the quality of the program
Files in This Item:
T007563.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837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