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54 1137

Cited 0 times in

체감각 자극이 뇌손상 환자의 뇌기능 회복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s of somatosensory stimulation on functional recovery of patients with brain damage. 
Authors
 김대란 
Issue Date
2003
Description
간호학과/박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임상현장에서 뇌손상으로 의식이 저하되어 있거나 마비가 있는 환자에게 사지를 '주무르거나 관절을 돌리는' 간호행위의 효과와 과학적 근거를 밝히고자 뇌손상으로 인해 전반적으로 뇌기능이 저하된 환자에게 손상초기 체감각 자극을 제공한 후 이것이 뇌손상 후 일어나는 자연적인 회복추세 이상의 회복효과가 있는지를 짝짓기 표출법을 이용한 대조군 반복측정 설계 방법으로 검증한 임상실험

연구이다.

총 연구기간은 12개월로 2002년 1월부터 4월까지 4개월간 체감각 자극 프로토콜을 개발하였으며 동년 5월부터 12월까지 8개월간 실험중재 및 자료수집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W시에 위치한 3차

종합병원 신경외과 중환자실에 입원해 있는 뇌손상 환자로 본 연구의 대상기준에 부합되는 환자 1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군에게는 체감각 자극을, 대조군에게는 전통적인 간호중재만을 준 후 의식수준

과 인지기능은 1주 간격으로 각 5회씩, 그리고 체성감각유발전위는 10일 간격으로 총 3회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1.0을 이용하여 각 측정시점에서의 두 군의 차이는 Mann-Whitney U 검증법으로, 변화추세의 차이는 Repeated ANOVA로, 그리고 각 시점간의 전·후 비교는 Wilcoxon signedranks test로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가설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 1가설: "체감각 자극을 제공받은 실험군이 제공받지 못한 대조군보다 의식 수준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체감각 자극 후 2주(U=10.000, p=.015), 3주 (U=1.500, p=.001), 4주(U=6.500, p=.004)가 되는 시점에서 각각 실험군의 GCS 점수가 대조군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 지지되었다. 또한 의식수준 의 변화추세 검증을 위한 추가분석에서도 두 군의 회복추세에 유의한 차이를 보여(F=4.136, p=.005) 실험군의 의식수준 회복추세가 대조군의 자연 적인 회복추세보다 더 빠르게 나타났다.

2) 제 2가설: "체감각 자극을 제공받은 실험군이 제공받지 못한 대조군보다 인지기능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체감각 자극 후 3주(U=2.000, p=.001), 4 주(U=.000, p=.000)가 되는 시점에서 각각 실험군의 RLA 점수가 대조군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 지지되었다. 또한 인지기능의 변화추세 검증을 위한 추가분석에서도 두 군의 회복추세에 유의한 차이를 보여(F=14.320, p=.000) 실험군의 인지기능

회복추세가 대조군의 자연적인 회복추세보다 더 빠르게 나타났다.

3) 제 3가설: "체감각 자극을 제공받은 실험군이 제공받지 못한 대조군보다 감각 유발전위검사상 나타나는 파형이 정상에 가까울 것이다"는 체감각 자극 3주 후 실험군의 체성감각유발전위 파형점수가

대조군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 지지되었다(U=6.390, p=.017). 그러나 체성감각경로의 통합성의 변화추세 검증을 위한 추가분석에서는 두 군의 회복추세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F=2.193, p=.133).



이상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마사지와 관절운동으로 구성된 체감각 자극은 뇌손상 환자의 의식수준과 인지기능, 그리고 체성감각경로의 통합성 등 뇌기능 회복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의식이 저하된 뇌손상 환자에게 제공하는 간호중재로서의 체감각 자극의 적용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체감각 자극 프로토콜은 환자의 회복을 돕는 효과적인 중재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자의 건강회복 과정에 동참하기를 원하는 가족들에게도 유용한 교육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a 3-week somatosensory stimulation program on functional recovery in the neuroplasticity of patients with brain damage.

The sample consisted of two groups of patients with brain damage: 8 patients with a mean age of 54.6 years who were treated with somatosensory stimulation, and 8 patients with a mean age of 55.0 years matched for Glasgow Coma Scale (GCS) scores and age, who were not treated with somatosensory stimulation. A repeated measures matched-control group design with matched sampling method was used to assess functional recovery of the brain.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GCS developed by Teasdale & Jennett, 1974) for consciousness level, RLA (Rancho Los Amigos Scale of Cognitive Function) developed by Rancho Los Amigos Medical Center for cognitive function, and SEP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 a neurophysiological parameter, for the integrity of the somatosensory pathway.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to December, 2002 at a tertiary hospital in W city. The data collection time points were matched for both groups, at admission, and during the 3-week somatosensory stimulation program at four 1-week intervals for GCS and RLA, and at two 10-day intervals for SEP.

The data were analys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Mann Whitney U test, repeated ANOVA, and Wilcoxon signed ranks test with SPSS/WIN 11.0.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Hypothesis 1 that “Patients with brain damage who were treated with the somatosensory stimulation program will show higher GCS scores than the non-treatment group.”was supported (2nd week.: U=10.000, p=.015; 3rd week.: U=1.500, p=.001; 4th week.: U=6.500, p=.004). Additional repeated measures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covery trends between the groups (F=4.136, p=.005).



·Hypothesis 2 that “patients with brain damage who were treated with the somatosensory stimulation program will show higher RLA scores than the non-treatment group.”was supported (3rd week.: U=2.000, p=.001; 4th week.: U=.000, p=.000). Additional repeated measures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covery trends between the groups (F=14.320, p=.000).



. Hypothesis 3 that “Patients with brain damage who were treated with the somatosensory stimulation program will show higher SEP wave form scores than the non-treatment group.”was supported (3rd week.: U=6.390, p=.017). Additional repeated measures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covery trends between the groups (F=2.193, p=.133).



In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a somatosensory stimulation program is very effective in promoting recovery of consciousness level, cognitive function, and the integrity of the

somatosensory pathway of patients with brain damage.
Files in This Item:
T007314.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812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