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15 1079

Cited 0 times in

성희롱 성폭력 예방교육프로그램의 효과분석

Other Titles
 (The) effects of a child sexual abuse prevention program in rural elementary school children. : 일개 농촌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Authors
 김현아 
Issue Date
2002
Description
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교육인적자원부에서 2001년에 초등학교 고학년(4∼6학년)을 대상으로 제작한 성희롱·성폭력 예방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성폭력에 대한 지식의 변화를 살펴보고 연구대상자들의 프로그램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와 프로그램 진행과정에서 보고된 대상자들의 반응을 내용분석하여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방법은 단일군전후실험설계를 이용하였고 내용분석연구를 병행하였다.

자료수집 대상과 절차는 경기도에 소재한 일개 농촌 초등학교 고학년(4∼6학년) 전체 49명을 대상으로 2002년 4월 9일과 12일에 사전조사를 실시한 뒤 4월 9일부터 5월 3일까지 해당 학교 보건교사가 학년별로 매주 40분씩 4차시에 걸쳐 성희롱·성폭력 예방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종료 1주 후인 5월 7일과 10일에 사후조사를 하였고 프로그램에 대한 소감문을 작성하도록 하여 내용분석을 위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도구는 앞서 언급한 대로 교육인적자원부에서 제작한 성희롱·성폭력 예방교육프로그램이며, 이 프로그램은 성폭력 개념과 현상의 이해, 성폭력 예방과 대처, 성적 욕구와 이성 관계에 대한 바른 태도, 올바른 성문화와 성윤리의 4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측정도구는 해당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퀴즈를 토대로 간호학 교수 3인과 보건교사 1인의 자문과 예비조사를 거친 후 구성된 총 17개 문항의 설문지와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들의 주관적인 느낌을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자가 고안하고 동일 간호학 교수 3인과 보건교사 1인의 자문을 거쳐 수정·보완한 총 8문항의 개방형 질문지인 소감문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 Program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paired t-test, Independent t-test, ANOVA등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성희롱·성폭력 예방교육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1) 가설 검증 결과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성폭력에 대한 지식 점수는 성희롱·성폭력 예방교육프로그램 실시 전보다 성희롱·성폭력 예방교육프로그램 실시 후에 높을 것이다''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t=-4.629, p=.000).

2) 프로그램 전후 대상자의 성별에 따른 성폭력에 대한 지식 점수의 변화를 검증한 결과, 남학생의 경우 성폭력에 대한 지식 점수의 평균이 10.17점에서 12.48점으로 2.31점 유의하게 높아졌고(t=-4.307, p=.000), 여학생의 경우 성폭력에 대한 지식 점수의 평균이 11.54점에서 13.58점으로 2.04점 유의하게 높아졌다(t=-2.874, p=.008).

3) 프로그램 전후 대상자의 학년별에 따른 성폭력에 대한 지식 점수의 변화를 검증한 결과, 5학년의 성폭력에 대한 지식 점수가 프로그램 전 평균 11.35점에서 프로그램 후 평균 13.65점으로(t=-2.748, p=.014), 6학년의 성폭력에 대한 지식 점수가 프로그램 전 평균 11.40점에서 프로그램 후 평균 15.50점으로(t=-5.156, p=.001)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졌으나 4학년의 성폭력에 대한 지식 점수는 프로그램 전 평균 10.32점에서 프로그램 후 평균 11.50점으로(t=-1.964, p=.063) 높아졌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2. 성희롱·성폭력 예방교육프로그램 후 대상자의 주관적인 평가에 대한 내용분석

1) 프로그램의 전체적인 느낌에 대해서 85.7%가 ''유익했다'', ''재미있었다''라고 응답했다. 또한, 77.6%가 프로그램의 기간과 시간의 적절성에 대해 만족스럽다고, 53.1%가 프로그램이 흥미로웠다고, 81.6%가 프로그램이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2) 프로그램 이후 가장 기억나는 내용에 대해서는 성폭력에 대한 사례 52.9%, 성폭력에 대한 예방 19.6%, 성폭력에 대한 개념 7.8%, 성폭력의 가능한 가해자 5.9%, 성폭력에 대한 대처방법 3.9%, 성폭력의 후유증 2.0%순으로 응답하였다.

3) 프로그램을 통하여 성희롱·성폭력을 예방하기 위해 스스로 취할 수 있는 대처방안으로 알게 된 것에 대해 ''몸을 보호한다'' 35.7%, ''낯선 사람을 주의한다'' 21.4%, ''성폭력이 발생할 수 있는 가능한 장소와 상황을 피한다'' 21.4%, ''보고 및 신고를 한다'' 8.9%, ''옷차림을 조심한다'' 5.4%순으로 나타났다.

4) 프로그램 진행시 좋았던 수업방법에 대해서는 역할극 35.3%, CD-ROM보기 25.5%, 편지쓰기 25.5%, 토의하기 11.8%순으로 응답하였다.

5) 성희롱·성폭력 예방교육프로그램을 통해 더 배우고 싶은 내용에 대해 73.5%가 ''충분하다''로 응답하였고, 기타로 사춘기의 변화, 성희롱·성폭력의 전체적인 내용, 성폭력의 원인, 이성교제의 예절, 성폭력의 예방법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일회적인 교육을 탈피하여 4차시에 걸쳐 실시되고 대상자의 발달단계를 고려하고 다양한 학습활동과 매체를 사용한 본 성희롱·성폭력 예방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4-6학년)의 성폭력에 대한 지식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이며, 전반적으로 대상자들에게 만족스러웠던 것으로 나타나, 앞으로 교육인적자원부에서 제작한 본 성희롱·성폭력 예방교육프로그램이 적극 활용되었으면 한다. 아동성폭력 예방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아동을 대상으로 한 다른 기존의 성희롱·성폭력 예방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는 연구나 다양하고 급변하는 대상 아동들의 수준에 맞는 새로운 성희롱·성폭력 예방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발달단계에 맞는 보조자료 개발을 위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하겠다.



[영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a child sexual abuse prevention program develop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 2001. Rur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Changes in level of knowledge about sexual abuse were examined. Their subjective evaluation of the program and the process of the program were also analyzed. The study design was a one-group pretest & posttest combined with content analysis.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were 49 students in the fourth to sixth grades of a rural school in Kyunggi Province. The child sexual abuse prevention program was carried out by the school nurse in the school. Each session was 40 minutes and given once a week for 4 consecutive weeks between April 9 and May 3, 2002. The students were tested before and one week after completion of the program to assess changes in their level of knowledge about sexual abuse. Also, they were asked to describe their impressions of the program. The program was a child sexual abuse prevention program develop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nd consisted of four categories: comprehension of the concept and phenomenon of sexual abuse, sexual abuse prevention and management, right attitude to sexual need and

sexual relationships, and appropriate sexual culture and ethics./The instruments were a questionnaire based on the quiz contained in the program and composed of 17 questions, and an evaluation paper developed by the researcher and composed of 8

open-ended questions. The statistical analysis using real numbers, percentages, averages and standard deviation, and paired t-test, Independent t-test, and ANOVA was done with the SPSS/PC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1. Effectiveness of the child sexual abuse prevention program 1) The hypothesis ''the scor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knowledge about sexual abuse will be higher after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as compared to before participation'' was supported(t=-4.629, p=.000). 2) According to the sex of the students, average

knowledge scores for sexual abuse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program; for boys from 10.17 to 12.48 (t=-4.307, p=.000), and for girls from 11.54 to 13.58 (t=-2.874, p=.008). 3) According to the students'' grade, average knowledge scores for sexual abuse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program; for grade 5 students

from 11.35 to 13.65 (t=-2.748, p=.014) and for grade 6 students from 11.40 to 15.50 (t=-5.156, p=.001). But the increase in knowledge scores for grade 4 students from 10.32 to 11.50,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1.964, p=.063). 2. Content

analysis of the evaluation by the students of the program 1) When asked about their overall feelings with regard to the program, 42 (85.7%) students stated that the program was ''interesting'' and ''useful'', 38 (77.6%) that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hours and length, 26 (53.1%) that they enjoyed it. and 40 (81.6%) that it was helpful. 2) The students found the following content most memorable, the cases (52.9%), prevention (19.6%), the concept (7.8%), possible perpetrators (5.9%), management (3.9%), and sequelae (2.0%), of sexual abuse. 3) After the program the students stated that they would use the following strategies to prevent sexual abuse, ''protect their bodies (35.7%)'', ''be careful of strangers (21.4%)'', ''avoid possible places and circumstances which sexual abuse might occur (21.4%)'', ''report abuse (8.9%)'', and ''be cautious in dress (5.4%)''. 4) Their favorite teaching methods were role play(35.3%), CD-ROM(25.5%), writing a letter(25.5%), and discussion(11.8%). 5) In terms of what they want to learn more about sexual abuse, 73.5% of the students stated that the program was enough. Others stated that

they wanted to learn more about changes at puberty, overall content of sexual abuse, the causes of sexual abuse, etiquette of intersexual relationship, and prevention of sexual abuse. In conclusion, a sexual abuse prevention program, which consisted of 4 sessions, not a brief and single presentation, considered the

students'' developmental process, and used a variety of class activities and media,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knowledge level of sexual abus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lso, the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program.

Therefore, the child sexual abuse prevention program develop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4 6th grades) should be used extensively. Further studies should also be done to examine

other existing sexual abuse prevention programs, and to develop new programs and materials suitable for children at different levels of development.
Files in This Item:
T007110.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92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