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0 634

Cited 0 times in

절제가 가능한 간세포암에서 수술 요법과 간동맥 화학 색전술 및 보존적 요법에 따른 치료 성적의 연구

Other Titles
 Comparative study among surgical resection, transcatheter arterial chemoembolization and conservative 
Authors
 김용태 
Department
 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교실) 
Issue Date
2002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간세포암은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가장 흔한 종양의 하나로 그 예후가 매우 불량하며 다른 고형암과 마찬가지로 유일한 완치방법은 수술요법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수술을 통한 절제가 가능한 환자라도 문맥 혈전증, 간 이외로의 전이, 저하된 간기능 등으로 수술

적 치료가 매우 제한적일 수밖에 없으며 특히 진행성 간세포암의 경우에 수술적 치료는 거의 불가능하다.

이러한 수술적 치료가 어려운 상황에서 간동맥 화학색전술, 경피적 에탄올 주입술, 고주파 치료법, 홀뮴 치료법 등 여러 다른 치료방법이 수술을 대신하여 임상 치료에서 치료적 또는 보존적 요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대다수 간세포암 환자들이 수술적 절제술을 시행 받지 못하는 상황에서 수술적 치료의 효과가 간동맥 화학색전술에 의한 치료에 비해 얼마나 효과적인지 비교해 볼 필요가 있으며 과연 이러한 두 치료 방법의 차이가 생존기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조사 연구하여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1993년부터 1999년까지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부속 원주기독병원에 내원하였던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이 가능한 조건을 가졌던 환자들 중에서 수술적 절제술을 시행 받았던 환자군과 수술을 하지 않고 간동맥 화학색전술을 받았던 환자군, 보존적 치료만을 받았던 군에서 각각의 생존 기간을 후향적 방법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1. 수술이 가능한 간세포암 환자의 경우, 수술적 절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군이 간동맥 화학색전술을 시행 받은 환자군과 비교하여 생존기간이 연장된 것으로 조사되었으나(p=0.032) 그 기간은 중앙 생존기간을 비교할 때 7개월 정도였다. 또한 보존적 요법을 시행 받은 환자군과 비교하면 수술적 요법을 시행 받은 군(p=0.0007)과 간동맥 화학요법을 받은 군(p=0.001) 모두에서 의미 있게 생존기간이 길어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간동맥 화학색전술에 사용되는 약제 중, adriamycin과 cisplatin 사이에는 약제에 따른 생존기간의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의미가 없었다(p=0.172).

3. 생존 기간에 영향을 주는 예후 인자로서는 본 연구 결과 간세포암의 크기(p=0.001)와 Child-Pugh score(p=0.050)가 생존기간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 나타났으며 그 외에 성별, 연령, 알부민, 빌리루빈 수치, 간경화 유무, 식도 정맥류 유무 등은 생존 기간에 의미 있는 영향을 주지 못했다.

4. Cisplatin과 adriamycin 항암제 모두, 평균 relative dose intensity를 기준으로 하여 평균 relative dose intensity이상, 이하의 군으로 나누어 생존 기간을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조사되었다(cisplatin p=0.0094, adriamycin p=0.0032).

5. Cisplatin과 adriamycin 항암제 모두, 항암치료의 횟수에 따른 누적 총 용량이 증가할수록 생존기간이 증가하였으나 통계학적 의미는 없었다(cisplatin r=0.446, adriamycin r=0.300)

[영문]

Primary hepatocellular carcinoma is one of the most common cancer in Korea and its prognosis is very poor. Like most of other solid tumors, the only curative method of hepatocellular carcinoma is surgical resection. Unfortunately, there are only few patients who could get curative operation because of several problems such as decompensated liver cirrhosis, large tumor size and poor hepatic reservoir funtion.

So, these inoperable hepatocellular carcinomas have been treated by transcatheter arterial chemoembolization, percutaneous ethanol injection, radiofrequency ablation and holmium injection for curative or palliative aim. We compared overall survival period among surgical resection(n=35), transcather arterial chemoembolization(n=40) and conservative management/(n=33) groups in resectable hepatocellular carcinoma cases. Total of 108 patients were reviewed who had visited Wonju Christain Hospital

Yonsei University from January 1993 to January 1999.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n resectable hepatocellular carcinoma patients, surgical resection prolonged median survival for seven months as compared with transcatheter arterial chemoembolization(p=0.032). Operation(p=0.0007) and chemotherapy(p=0.001) showed superior survival to conservative treatment. 2. The chemotherapeutic drugs, cisplatin and adriamycin, showed no differences in overall survival(p=0.172). But cisplatin showed higher grade (WHO toxicity grade 3, 4) of nausea, vomiting than adriamycin. 3. Prognostic factors that had influence on overall survival were tumor size(p=0.001) and Child-Pugh score(p=0.050). But other factors, such as age, sex, albumin level, bilirubin level, presence of liver cirrhosis or esophageal

varix showe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4. Relative dose intensity of cisplatin and adriamycin was well correlated to the overall survival. (cisplatin p=0.0094, adriamycin p=0.0032) 5. Total cumulative doses of both cisplatin and adriamycin had little effect on the overall survival. (cisplatin r=0.446, adriamycin r=0.300)
Files in This Item:
T007095.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교실) > 2. Thesis
Yonsei Authors
Kim, Yong Tai(김용태)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90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