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38 2035

Cited 0 times in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에게 적용한 가정 호흡재활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Other Titles
 (The) effect of home-based 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 in COPD patients. 
Authors
 김순희 
Issue Date
2002
Description
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만성 폐쇄성 폐질환은 유해한 입자나 가스, 특히 흡연으로 인한 점진적인 호흡 기류 장애를 특징으로 하는 비가역적인 질환군으로, 대기오염과 흡연 인구의 증가에 따라 유병률과 사망률은 증가 추세에 있으며 앞으로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호흡재활은 환자 개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신체적, 사회적 기능수행과 자율성을 최적화하기 위해 만성 호흡질환자에게 제공되는 다학제적이고 총체적인 프로그램으로써, 증상을 감소하고 신체적, 사회적, 심리적 기능 상태를 증진시킴으로써 삶의 질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자가관리의 강화로 병원 방문이나 입원률이 감소됨에 따라 연간 의료비용 지출을 감소시키는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그러나 호흡재활을 위하여 병원에 입원하거나 외래를 방문하는 것은 시간이 많이 필요하며 대상자에게 비용 부담을 줄뿐 아니라 일상생활에 적용하고자 할 때 어려움을 느끼므로 대상자로 하여금 익숙한 환경에서 수행하기에 보다 쉽고 저렴한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가정 호흡재활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그 효과로서 폐기능, 호흡곤란, 운동 지구력, 일상생활 기능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단일군 전후 원시 실험연구이다.

연구 기간은 2002년 4월 1일부터 2002년 5월 11일 까지 이루어졌고, 연구 대상자는 서울 소재 Y 3차 의료기관의 호흡기내과 외래에서 치료를 받고 있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 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절차는 실험 전의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질병관련 특성, 폐기능, 호흡곤란, 운동 지구력, 일상생활 기능상태를 측정한 후, 미국흉부학회에서 제시하고 있는 지침을 기반으로 하여 교육, 호흡요법(입술 오무려 숨쉬기, 횡격막호흡), 운동(호흡근 훈련, 상지

훈련, 하지 훈련), 사회심리적 중재로 구성된 4주간의 가정 호흡재활프로그램을 환자에게 개별적으로 교육과 훈련을 하고 가정에서 매일 수행하도록 하였다. 실험 4주 후에 폐기능, 호흡곤란, 운동 지구력, 일상생활 기능상태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폐기능은 1초간 노력성 호기량(FEV1 % pred)과 1초간 노력성 호기량의 노력성폐활량에 대한 비(FEV1/FVC ratio)로 측정하였고, 호흡곤란에서 평소 호흡곤란은 Guyatt 등(1987)에 의해 개발된 CRDQ-dyspnea 도구로, 운동유발 호흡곤란은 Modified Borg Sca

le(Borg, 1982)로 측정하였다. 운동 지구력은 6분 걷기 거리로 측정하였고, 일상생활 기능상태는 Guyatt 등(1987)에 의해 개발된 CRDQ을 연구자가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10.0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질병관련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로 분석하였고, 실험전?후의 폐기능, 호흡곤란, 운동지구력, 일상생활 기능상태의 차이는 wilcoxon signed ranks test를 이용하였으며, 변수간 상관 관계는 spearman''s rho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 1가설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들은 가정 호흡재활프로그램을 제공받기 전보다 후에 폐기능이 높을 것이다’는 FEV1 % pred.가 44.07%에서 54.66%로 10.59%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Z=-2.31, p=.02), FEV1/FVC ratio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지만(Z=-1.86, p=.06), 52.11%에서 58.08%로 5.97% 증가함으로써 폐기능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제 2가설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들은 가정 호흡재활프로그램을 제공받기 전보다 후에 호흡곤란을 적게 경험할 것이다’는 평소 호흡곤란 14.73점에서 18.33점으로 3.60점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Z=-2.04, p=.04), 운동유발 호흡곤란은 4.53점에서 3.06점으로 1.47점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Z=-2.25, p=.02), 4주간의 가정 호흡재활프로그램은 COPD 환자의 평소 호흡곤란과 운동유발 호흡곤란 모두 향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제 3가설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들은 가정 호흡재활프로그램을 제공받기 전보다 후에 운동 지구력이 높을 것이다’는 6분 걷기 거리가 358.14m에서 385.74m로 27.60m의 유의한 차이로 증가하여(Z=-2.10, p=.03), 4주간의 가정 호흡재활프로그램 이후 운동 지구력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제 4가설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들은 가정 호흡재활프로그램을 제공받기 전보다 후에 일상생활 기능상태가 높을 것이다’는 일상생활 기능상태가 78.20점에서 89.26점으로 11.06점 증가함으로써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여, 4주간의 가정 호흡재활프로그램 이후 일상생활 기능상태는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가정 호흡재활프로그램 수행전의 평소 호흡곤란은 FEV1 % pred(r=.71, p=.00), FEV1/FVC ratio(r=.72, p=.00)와 상관관계가 있어 폐기능이 좋을수록 평소 호흡곤란은 적고, 평소 호흡곤란이 적을수록 일상생활 기능상태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62, p=.01).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종합해볼 때, 4주간의 가정 호흡재활프로그램은 폐기능, 호흡곤란, 운동 지구력, 일상생활 기능상태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어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를 위한 효과적인 간호중재로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영문]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COPD) is a disease state characterized by airflow limitation that is not fully reversible. The airflow limitation is usually both progressive and associated with an abnormal inflammatory response of the lungs to noxious particles or gases. COPD is currently the fourth leading cause of death in the world, and further increases in its prevalence and mortality can be predicted in the coming decades. /Pulmonary rehabilitation is a multidisciplinary program of care for patients with chronic respiratory impairment that is individually tailored and designed to optimize physical and social performance and autonomy, and the effect are increased exercise capacity, improve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decreased dyspnea, and fewer hospital admissions. However, Inpatient programs are expensive, and in outpatient programs the subject must go to

the hospital several days a week, which is often an added difficulty for the patient. Therefore we are needed more convenience program for the patient and family members and a familiar environment for the training and the acquisition of

techniques./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a home-based pulmonary rehabilitation on lung function, dyspnea, exercise endurance and daily living function state in patients with COPD./The research design of this study was a one group pretest-posttest pre-experimental design. A

total of 15 patients with COPD was assigned to a 4-week program from April 1, 2002 to May 11, 2002./A 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 consisted with education, breathing retraining(pursed lip breathing, diaphragmatic breathing), exercise(inspiratory muscle training, upper & lower extremity training), psychosocial intervention(relaxation technique, phone consultation)/The instruments used to assess lung function measured FEV1 of pred, FEV1/FVC ratio, dyspnea measured CRDQ-dyspnea dimension in general dyspnea and modified borg scale in exertional dyspnea, exercise endurance measured six minutes walking distance(6MWD),

and daily living functional status measured activity of daily living with CRDQ developed by Guyatt./Data were analysed with wilcoxon signed ranks test, and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was investigated by spearman''s rho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FEV1 % predicted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44.07% to 54.66%(Z=-2.31, p=.02). FEV1/FVC ratio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Z=-1.86, p=.06), but FEV1/FVC ratio increased from 52.11% to 58.08%/2) The general dyspnea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14.73 to 18.33(Z=-2.04, p=.04), and the exertional dyspnea increased significantly larger

than general dyspnea from 4.53 to 3.06(Z=-2.25, p=.02)./ 3) The 6MWD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358.14m to 385.74m(Z=-2.10, p=.03)/ 4) The daily living functional status showed a significantly larger increase from 78.20 to 89.26(Z=-2.61, p=.00). /5) The general dyspnea before rehabilitat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FEV1 % pred(r=.71, p=.00), FEV1/FVC ratio(r=.72, p=.00), the daily living functional status(r=.62, p=.01).//A Home-based rehabilitation program achieved improvement in lung function, dyspnea, exercise endurance, daily living functional status in COPD patients, therefore this results presented a possibility to be able to apply the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COPD patients.
Files in This Item:
T007089.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90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