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57 2650

Cited 0 times in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상등급(clinical ladder)별 간호역량 측정도구 개발

Other Titles
 (A) development of nursing competency scale for critical care nurses using a clinical ladder system. 
Authors
 박지은 
Issue Date
2002
Description
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



현재 의료 산업의 경쟁적 상황 속에서 각 의료 기관이 건재하게 살아 남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환자의 최일선에 있는 간호 자원의 잠재적 능력 활용으로 양적인 성과와 질적인 간호를 제시하여야한다. 환자의 중증도가 높은 중환자실의 경우 직접 환자 간호에 있어 보다 전문화된 충분한 경험과 역량을 갖춘 숙련된 간호사 확보가 이루어져야하고, 간호사들은 계속적으로 능력을 개발시켜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상등급별 간호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본 연구의 과정과 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1. 임상적 판단과 대처, 병동업무처리력, 환자 지향성, 환자 이해, 윤리적 가치 지향성, 협력, 자원관리, 전문성 개발력, 자신감, 자기조절, 유연성, 영향력, 타인육성등 13가지 간호역량(장금성, 2000)을 간호학 교수 3인과 합의하에 환자 이해와 환자 지향성에 관한

간호역량 내용이 유사하여 이를 환자 지향성으로 통합한 12가지 간호역량을 측정 도구의 간호역량명으로 설정하였다.



2. 12가지 역량에 따른 역량 목록을 토대로 문헌, 중환자실 간호사의 업무 분석(장봉희, 2000), 호주의 중환자실 전문간호사(specialist)의 간호역량 고찰, 중환자실 경력 10년 이상을 가진 임상간호사 2인의 자문을 통해 1차 예비 측정 도구 목록을 작성하였다. 1차 예비 측정 도구는 상위 단계로 갈수록 역량 수준이 높아지며 역량 항목 배열은 내려가는 형식의 계단 모양을 나타내고, 화살표로 이 전 단계의 역량이 다음 단계로 이어져 추가됨을 표시하고 화살표 없이 새로이 시작되는 항목은 해당 단계에 부가되는 역량으로 구성된다.



3. 1차 예비 측정 도구를 3차 의료기관인 A병원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 총 8인을 대상으로 각 단계(1단계에서 4단계)별로 2인씩 선정하여 자신의 역량을 직접 측정하게 하고 이들의 의견을 분석해서 총 314항목 중 4가지 항목을 하위 단계로 이동시켜 2차 예비 측정 도구를 작성하였다.



4. 2차 예비 측정 도구를 가지고 임상 전문가 20인으로부터 내용 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314항목 중 313항목이 70%이상의 합의를 얻었으며 이를 분석하여 한 가지 항목을 추가, 기존 3개 항목을 수정하고 5개 항목을 상위 단계로 이동시켜 최종 간호역량 측정도구를

완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도구는 경력별로 기대되는 간호역량을 제시하고 이 도구에 의한 평가로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인식할 수 있고 전문성 개발을 위한 방향성을 가질 수 있다.

더 나아가 의료기관의 우수한 경력 간호사를 보상하고 보유를 위한 정책 실시 시 그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핵심되는 말 : 간호역량, 임상 등급, 중환자실 간호사

[영문]

Recently, health care organization should present quantitative outcomes and quality of care optimizing the nursing resources to survive in the competitive hospital environment. Most patients in the Intensive Care Unit(ICU) who are under severe medical conditions require the critical care nurses to have high level of

knowledge and skills, and to develop their nursing competency continuous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nursing competency scale for critical care nurses using a clinical ladder system.

The process and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First, 12 nursing competencies- clinical judgement and measures, processing ability of ward works, inclination toward ethical value, patient service orientation, cooperation, professional development power, resources management, self confidence, self control, flexibility, influence power, developing others- used for the establishment of clinical ladder system(Chang, 2000).

Second, the first draft of competency lists were developed. It is based on Chang's(2000) clinical nurses' behavioral indicators of nursing competency, and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through various literature review including competency standards for specialist critical care nurses in Australia and consultation of 2 clinical nurses with over 10 years experience in ICU.

Third, the draft was applied to total of 8 nurses, 2 nurses in each ladder working in ICU in a university affiliated hospital and analysed. As the result, 4 items moved to lower ladder.

Lastly, the final draft were examined by 20 clinical experts for its content validity. 313 among 314 items had over 70% agreement and 1 item was added, 3 items were modified and 5 items were moved higher ladder.

The tool represents expected nursing competency of the nurses working in ICU.

Critical care nurses can recognize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also, identify their directions for professional growth by analysing results of their competency evaluation using the tool.
Files in This Item:
T006956.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78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