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29 1702

Cited 0 times in

뇌졸중 환자의 간호성과지표 (nursing outcome indicators) 개발

Other Titles
 (A) development of nursing outcome indicators for stroke patients. 
Authors
 권보은 
Issue Date
2001
Description
간호학과/박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간호에 민감한 간호성과지표를 개발하기 위해 뇌졸중 환자의 간호활동에 근거한 간호성과, 간호성과지표를 개발하는 방법론적 연구로서, 연구목적은 뇌졸중 환자에게 필요한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활동을 규명한 후 간호성과와 간호성과지표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North American Nursing Diagnosis Association(NANDA)의 간호진단, Nursing Interventions Classification (NIC)의 간호중재분류의 체계적인 내용을 기본 틀로 하여 초점집단과 Delphi 방법을 이용해 우리 나라 임상상황에 적합한 간호진단과 간호중재를 우선순위에 의해 규명하고 그에 따른 실제 간호활동 목록을 완성한 후 최종 뇌졸중 환자의 간호성과와 간호성과지표를 개발하였다.

연구의 자료수집은 한국적 상황에 적합한 간호활동을 규명하기 위하여 7개의 문헌고찰, 63개의 의무기록 분석, 환자와 주간호제공자와의 면담을 통해 뇌졸중 환자의 공통적인 건강문제와 간호요구를 규명한 후 2회의 초점집단 회의에서 간호진단과 간호중재를 도출하였다. NANDA의 간호진단은 대한간호협회(1996)에서 제시한 한글 간호진단명을 이용하였고, NIC의 간호중재 경우 박현애 등(1999)이 개발한 간호중재분류 한글 타당성 검증 연구에서 제시하는 간호중재명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간호성과의 경우 간호결과분류(NOC)의 타당성 여부가 아직 검증단계를 거치지 않았고 미국 상황에 적합한 간호성과이기 때문에 관련 문헌을 참고로 하여 연구자가 직접 개발한 후 전문가 타당도 검증을 거쳤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뇌졸중 환자를 위한 간호진단은 문헌과 환자, 주간호제공자와의 면담을 통해 두개강내 적응능력 감소, 고체온, 신체운동 장애, 기도개방 유지불능, 피부손상, 변비, 설사, 실금, 흡인 위험성, 신체손상 위험성, 자가간호 결핍, 지식 부족 등 12개가 선정되었다.

2. 12개의 간호진단에 따라 29개의 간호중재별 간호성과가 개발되었고, 문헌과 환자 의무기록지 분석을 통해 우리 나라 상황에 적합한 199개의 간호활동이 선정되었다.

3. 뇌졸중 환자를 위한 간호활동에 근거한 간호성과지표는 서울 Y대학 병원에서 뇌졸중 환자간호 임상경력 5년 이상의 간호사와 신경과 의사로 구성된 전문가집단에 의해 2차에 걸친 전문가 타당도를 조사하였다. 전문가 타당도 조사에서는 CVI(Index of Content Vali

dity)를 통해 80% 이상의 합의를 이룬 경우 간호성과지표로 선정하였고, 타당도 점수가 낮은 6개 항목을 삭제한 후 수정, 보안된 최종 133개의 간호성과지표로 개발하였다.

4. 최종 간호성과지표에 대한 사용자 타당도 조사는 서울 Y대학 병원에서 뇌졸중 환자간호 임상경력 2년 이상인 간호사 20인을 대상으로 간호성과지표의 유용성과 사용여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간호진단별 간호성과지표의 유용성 점수는 4점 척도에서 최저 3.73점

에서 최고 3.88점의 범위를 나타내어 임상에서의 적용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간호성과지표는 간호중재와 간호활동의 측정가능성을 높여 간호가 긍정적인 환자상태 변화에 공헌하는 부분을 명백히 할 수 있으며 지속적인 간호실무전략의 개발을 통해 양질의 간호가 이루어 질 수 있다고 본다.

[영문]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nursing outcome indicators based on nursing activities for stroke patients.

To identify Nursing Diagnosis, Nursing Intervention, Nursing activities for stroke patients who were in acute and subacute stages, literature review, interview with 12 stroke patients and primary caregivers, and review of 63 patients' medical records were performed at the General hospital in Seoul.

Nursing Diagnoses and Nursing interventions were selected from NANDA nursing diagnosis and Nursing Interventions Classification, but Nursing Outcomes were developed based on literature.

The methods of this study were focus group meeting and delphi technique, which were consisted of clinical nurse experts who have more than 5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in stroke patients care, neurologist, and professors in college of nursing.

To test the validity of nursing outcome indicators, content validity was tested by using CVI(Index of Content Validity) and user validity test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12 nursing diagnoses were identified for stroke patients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s. They were Decreased intracranial adaptive capacity, Hyperthermia, Impaired physical mobility, Ineffective airway clearance, Impaired skin integrity, Constipation, Diarrhea, Incontinence, Risk for aspiration, Risk for injury, Self-care deficit, and Knowledge deficit.

2. 29 nursing interventions and nursing outcomes were identified. The former were from Nursing Interventions Classification (NIC) and the latter were developed from literature according to nursing interventions. They were verified by experts in focus group.

3. Nursing activities were identified through review of patients' medical records,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 199 nursing activities were identified, which were proper to clinical and cultural situation in Korea.

4. Based on nursing activities, 133 nursing outcome indicators were developed. In content validity, 6 indicators were deleted because of under 80% agreement. In user validity, usefulness and usability were tested. Score range of usefulness of nursing outcome indicators was 3.73 to 3.88 in 4-point Likert scale.



This systemic approach of measuring nursing outcomes verified nurses' positive effects in changing patients health status and nursing contributions in health care system as a profession.
Files in This Item:
T006825.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65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