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3 945

Cited 0 times in

만성 B형 간염과 신장질환의 조직학적 상관관계

Other Titles
 Histopathologic correlation between chronic B viral hepatitis and nephropathy. 
Authors
 이현웅 
Issue Date
2001
Description
의과학사업단/석사
Abstract
[한글]

우리나라는 B형 간염 바이러스(HBV) 감염률이 5-10%로 높아 HBV가 유발시키는 질환에 대한 관심이 높다. HBV는 간에 나타나는 병변 이외에도 HBV의 항원과 항체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면역 복합체에 의해 여러 가지 간 외 병변을 일으킬 수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HBV가 사구체신염의 발생에 어떻게 관여하는지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또한, HBV 감염과 신병증의 양상은 지역과 조사자에 따라 약간씩 다르게 보고되고 있으며 기존에 보고된 연구는 혈청 검사에서 HBsAg 양성인 군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간 조직검사를 시행하지 않았기 때문에 만성 간염의 진행 정도에 따른 신병증의 양상을 평가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HBsAg 양성이면서 단백뇨와 혈뇨를 동반한 경우 간 및 신장 조직검사를 모두 시행하였다. 조직검사 결과를 분석하여 HBV 감염과 관련된 신병증의 임상적, 형태학적인

특징을 규명하고, 새로운 조직학적 분류를 적용한 만성 B형 간염의 정도에 따른 신병증의경향과 신병증의 종류에 따른 만성 B형 간염의 조직학적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사구체내에 침착되는 항원성 물질들과 조직학적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HBV 감염과

연관된 신병증의 병리기전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군은 1985년부터 2000년 6월까지 연세대학교 세브란스 병원에서 단백뇨와 혈뇨를 주

소로 내원하여 신장 조직검사를 받은 환자 중 신장 조직검사 당시 HBsAg 양성으로 간 조직검사를 받은 환자 2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1. 대상환자 26예의 평균 연령은 31.0±12.3세였으며 남녀비는 4.2:1 이었다.

2. 임상 양상은 26예 모두 단백뇨와 혈뇨가 동반되어 있었으며 신증후군이 동반된 경우는 14예였다.

3. 만성 B형 간염 환자 26예 중 IgA 신병증이 7예(27.0%), 미세변화 신증후군이 1예(3.8%), 막성 사구체신염이 9예(34.6%) 그리고 막성증식성 사구체신염이 9예(34.6%)였다.

4. 만성 B형 간염 중 간염 활성 지수가 높고 섬유화 등급이 높을수록 막성 사구체신염과 막성증식성 사구체신염의 빈도가 높았다.

5. 대상환자의 혈청 HBeAg 양성인 군은 17예로 IgA 신병증이 4예(23.5%), 막성 사구체신염이 8예(47.1%) 그리고 막성증식성 사구체신염이 5예(29.4%)로 막성 사구체신염이 가장 많았다.

6. 막성 사구체신염을 동반한 예의 간 조직검사 결과 간염 활성 지수(hepatitis activity index)가 IgA 신병증이나 막성증식성 사구체신염의 간염 활성 지수 보다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증가되어 있었다(p=0.011 , p=0.039).

7. 막성 사구체신염과 막성증식성 사구체신염의 섬유화 등급이 IgA 신병증의 섬유화 등급보다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증가되어 있었다(p=0.011, p=0.003).

8. 혈청 C3는 검사한 24예 전 예에서 감소되어 있었으나 C4는 모두 정상 범위였다.

9. 면역 형광 현미경 검사에서 막성 사구체신염은 IgG와 C3가 주로 침착되었고 IgA 신병증은 IgA와 C3가 침착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만성 B형 간염 중 간염 활성 지수가 높고 섬유화 등급이 높을수록 막성 사구체신염과 막성증식성 사구체신염의 빈도가 높아 간질환이 심할수록 막성 사구체신염과 막성증식성 사구체신염의 빈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막성 사구체신염에서HBeAg 양성률이 높고, C3가 검사한 전 예에서 감소되었으며 면역 형광 현미경 검사에서 IgG와 C3의 침착이 있었던 것으로 보아 막성 사구체신염의 병리기전에 HBeAg, IgG 및 C3 등이 관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Recent evidence indicates that B-viral hepatitis is sometimes associated with the production of extrahepatic tissue injury. However, the pathologic role of the HBV infection for glomerulonephritis is not clear. There were some reports on clinical association between HBV infection and nephropathy. The relationship between HBV infection and nephropathy was reported with som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investigators and regions. Liver biopsies were not performed in most of the reports. However, in this study both liver and kidney biopsies were performed in all patients who were HBsAg positive and had proteinuria and hematuria. And, the histologic correlation was analyzed between chronic B viral hepatitis and nephropathy. Also, new histopathologic classification of chronic hepatitis was

applied in the assessment of liver disease. From January 1985 to June 2000, 26 patients who were HBsAg positive and had proteinuria and hematuria were examined.

1. Among 26 cases, the mean age was 31.0 ±12.3 years and the ratio of male to female was 4.2 to 1.

2. Light microscopy of kidney showed IgA nephropathy in 7 cases(27%), minimal change nephrotic syndrome(MCNS) in 1 case(3.8%), membranous glomerulonephritis(MGN) in 9 cases(34.6%), embranoproliferative glomerulonephritis (MPGN) in 9 cases(34.6%).

3. Among cases with hepatitis B virus, in cases with higher hepatitis activity index and fibrosis score, the frequency of MGN and MPGN was higher.

4. The hepatitis activity index of cases with MG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gA nephropathy and MPGN(p=0.011, p=0.039).

5. The fibrosis score of cases with MGN and MPG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gA nephropathy(p=0.011, p=0.003).

6. Seventeen cases were positive for HBeAg and nine cases were negative. The positivity of HBeAg was highest in cases with MGN.

7. Serum C3 level was low in all cases, but serum C4 level was within normal range.

8. Immunofluorescence studies showed granular deposition of IgG and C3 in the capillary loops in MGN.

In conclusion, the frequency of MGN and MPGN was higher when the liver disease was more severe, and it was suggested that HBeAg, IgG and C3 might contribute to the pathogenesis of MGN in HBsAg positve patients.
Files in This Item:
T006695.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교실) > 2. Thesis
Yonsei Authors
Lee, Hyun Woong(이현웅) ORCID logo https://orcid.org/0000-0002-6958-3035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52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