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574

Cited 0 times in

임산부 사망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clinical study on maternal mortality. 
Authors
 박용원 
Department
 Dep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산부인과학교실) 
Issue Date
1980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임산부 사망에 관한 연구는 현대 산과학의 중요한 과제일 뿐 아니라 국민보건 향상을 위한 대책을 세우는데 중요한 척도이고 임산부 사망률은 그 지역의 사회적 경제적 복지상태를 대변한다.

그동안 수혈의 용이성, 항생제의 발달 및 사회적 여건과 산과학의 발전으로 임산부 사망률은 감소되었으나 선진외국에 비하여 아직도 우리나라의 임산부 사망률은 대단히 높은 것으로 사료되며 임산부 사망의 원인 및 사망률 등을 분석하여 그에 따른 가능한 모든 예방과 치료활동을 시행함으로써 임산부 사망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생각되어 저자는 1957년 미국의학협회의 모자보건 위원회에서 정한 정의와 분류에 따라 1969년 1월 1일부터 1978년 12월 31일까지 만 10년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세브란스병원에서 사망한 임산부 100예를 조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총생아 출산수 20,888예중 임산부 사망수는 100예로서 47.9의 사망률을 보였다.

2. 임산부의 원인별 사망률은 직접적 원인에 의한 것이 27.3%으로 수위를 차지하였으며 간접적 원인이 10.0, 비관련성 원인이 7.7, 불명이 2.9였다.

3. 직접적 원인에서는 감염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고 임신중 고혈압성 질환과 출혈은 같은 율을 나타냈으며 간접적 원인 중에서는 심장질환, 비관련성 원인에서는 악성종양이 가장 많았다.

4. 감염으로 사망하였던 18예중 패혈성 유산으로 사망한 경우가 13예로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임신중 고혈압성 질환에서는 자간, 출혈의 경우는 이완성 출혈에 의한 사망이 제일 많은 수를 차지하였다.

5. 35세 이상의 고령 임산부에서 임산부 사망률이 2.04로 제일 높았으며 또한 분만회수가 증가할수록 사망률 역시 증가하였다.

[영문]

The study about maternal mortality is the most important measurement not only to improve public health but also represents the social and economical status of the community. The maternal mortality rate in Korea, even with the advances in social and medicine such as easy transfusion and development of antibiotics, is still high in comparison to western cultures.

The principle cause of maternal death needs to be clarrified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maternal care.

It is up to us to solve the problems.

As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verance Hospital, the maternal death for 10 years (from 1969 to 1978) was 100 cases. These cases have been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erminology given by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of maternal

and child care committe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aternal death per 20,888 total live birth was 100 cases or 47.9 cases per 10,000.

2. Causes of maternal death were in 4 categories:

a. direct cause 27.3 per 10,000 live birth

b. indirect cause 10.0 per 10,000 live birth

c. nonrelated cause 7.7 per 10,000 live birth

d. undetermined 2.9 per 10,000 live birth

3. In direct causes, infection was the most dominant followed by hypertensive disorders during pregnancy and hemorrhage. And indirect causes were topped by heart disease. Unrelated causes, malignency was the major factor.

4. 18 deaths resulted from infection, 13 of which were septic abortion. Postpartum atonic bleeding and eclampsia were major causes of death in hemorrhage and hypertensive disorders during pregnancy.

5. The maternal mortality rate was high in women over 35 years of maternal age and high parity.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5226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산부인과학교실) > 2. Thesis
Yonsei Authors
Park, Yong Won(박용원)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09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