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1433

Cited 0 times in

복수의 감별 진단에 있어서 총단백, 빌리루빈, lactate dehydrogenase 및 adenosine deaminase의 복수-혈청 농도비

Other Titles
 Ascitic fluid to serum total protein, bilirubin, lactate dehydrogenase, adenosine deaminas 
Authors
 정재연 
Issue Date
1999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배경 복수는 일반적으로 여출액(transudate)과 삼출액(exudate)으로 분류된다. 현재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분류 기준은 복수의 총단백 농도,seserum-ascites albumin gradient(SAAG), 흉막액에서의 Light 진단 기준을 적용한 기준이 있다. 그러나, 정상 복막액과 심인성 복수에서도 단백 농도가 높게 측정되는 경우가 적지 않고, 상당수의 염증성 체액에서 낮은 단백 농도를 보여 여출액-삼출액 개념으로 체액을 분류하는 것이 과연 합리적인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복수의 성상을 감별 진단함에 있어서 빌리루빈, lactate dehydrogenase(LDH), 총단백, 알부민 및 흉막액의 감별진단에 이용되었던 adenosine deaminase(ADA)의 복수-혈청 농도비를 측정하여 이들이 복수의 진단 및 분류에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1998년 11월부터 1999년 4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신촌 세브란스 병원에 입원한 복수가 있는 환자 중 진단적 복막천자를 시행한 6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복수 및 혈청에서 총단백, 알부민, LDH, 빌리루빈 및 ADA를 측정하여 각각의 복수-혈청 농도비 및 SAAG를 구하였다. 문맥압 항진증이 복수의 원인으로 생각되는 간경변증, 간경변증과 동반된 원발성 간암 및 저알부민혈증에 의한 복수는 1군(group 1)으로 분류하였고, 복막 파종성 암종증, 결핵성 복막염, 이차성 세균성 복막염에 의한 복수는 2군(group2)으로 분류하였다. 각각의 분류 기준 및 빌리루빈 농도비를 조합했을 때에 임상적 진단으로 분류한 군과 비교하여 민감도, 특이도, 양성 예측도, 정확도 및 임상적 분류와의 일치율을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 62명에서 채취한 복수 및 혈청을 분석하였다. 임상적으로 43예의 복수가 1군으로 분류되었고, 19예의 복수가 2군으로 분류되었다. 복수의 성상에 따른 분류에 대해 인정된 기준 각각에 대한 민감도, 특이도, 양성 예측도 및 임상적 진단에 따른 1군-2군 분류와의 일치율은 SAAG에 의한 분류의 경우 각각 73.7%, 100%, 100%, 79.5%였고, 복수 총단백에 의한 분류는 각각 84.2%, 93.0%, 84.2%, 77.2%, 총단백 농도비의 경우는 각각 78.9%, 100%, 100%, 83.9%, LDH 농도비의 경우는 94.7%, 95.3%, 90.0%, 88.8%, 빌리루빈 농도비에 따른 분류는9t7.7%, 100%, 100%, 96.1%였다. 복수-혈청 빌리루빈 농도비에 의한 분류의 정확도는 98.3%로 SAAG(91.9%)나 복수 총단백(90.3%), 복수-혈청 단백 농도비(93.5%) 및 LDH 농도비(95.2%)에 의한 분류보다 우수하였다. 또한, 빌리루빈 농도비에 의한 분류에 SAAG나 복수-혈청 단백 농도비에 의한 분류를 조합시키면 임상적 진단에 의한 분류와 100%일치함을 보였다. 하지만, ADh의 농도비는 다른 분류 기준에 비해 정확도가 낮았다.

결론 SAAG, 복수 총단백, 복수-혈청 단백 농도비 및 LDH 농도비는 모두 복수의 감별진단에 이용될 수 있으며, 특히 복수-혈청 빌리루빈 농도비는 복수를 복막의 투과도에 의해 구분하는데 가장 유용한 척도로서 0.5 이상일 경우 복막 파종성 암종증이나 결핵성 복막염 등의 복막의 투과도가 증가하는 질환일 가능성이 높다. 또한 복수-혈청 빌리루빈 농도비를 복수를 분류하는 다른 기준과 조합했을때 정확도가 증가된다.

[영문]

Purfose In this prospective study of 62 patients with ascites, the ascitic fluid to serum bilirubin ratio was compared with three other ways of classifying ascitic fluid to the categories of exudate or transudate: the serum-ascites albumin gradient(SAAG), the total protein concentration of the ascitic fluid, and the adaptation of Light's criteria for the detection of pleural fluid exudate, i.e, fluid to serum protein or lactate dehydrogenase(LDH) ratio. It is also evaluated whether the combination of the bilirubin ratio with the other criteria may increase the diagnostic accuracy.

Patients and methods Sixty-two paired serum and ascitic fluid samples were obtained. These specimens were collected between November, 1998 and April, 1999. Ascitic fluid and serum were tested for total protein, albumin, LDH, bilirubin and

adenosine deaminase(ADA). They were analysed prospectively by Hitachi 747 automatic analyzer except for ADA, which was assessed with Giusti's colorimetric method. The category of the fluid wa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linical diagnosis. Liver cirrhosis, liver cirrhosis with hepatocellular carcinoma, hypoalbuminemia were classified into group 1, and peritoneal carcinomatosis, tuberculous peritonitis, malignant chylous ascites, secondary peritonitis, into group 2. The diagnostic accuracy of each criterion alone and in combination with the bilirubin ratio with

reference to the contended etiology were evaluated.

Results Sixty-two paired seam and ascitic fluid specimens were evaluated.

Forty-three of the specimens were classified as group 1 and nineteen as group 2, grouped 1)y clinical diagnostic category. The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accuracy, and concordance rate with clinical category of SAAG were 73.7%, 100%,100%, 79.5%, respectively, and In ascites protein criteira,

84.2%,93.0%, 84.2%, 77.2%, in ascites to serum protein ratio criteria, 78.9%,100%, 100%, 83.9%, and in ascites to serum LDH ratio criteria,94.7%, 95.3%, 90.0%, 88.8%, respectively.

The correlation between bilirubin concentration ratio of 0.5 or more and the group 2 as determined by established criteria is statistically highly significant; and its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accuracy, and overall accuracy in relation to etiology were 9t7.7%,100%, 100%, 96.1%, 98.3%,

respectively. The bilirubin ratio criteria had 98.3% of overall accuracy, and was better predictor than SAAG(91.9%), ascites protein (90.3%) or ascites to serum total protein ratio(93.5%) or LDH ratio(95.2%). Moreover, it is suggested that the combination of bilirubin ratio with total protein ratio or SAAG criteria improve the predictive or overall accuracy.

Conclusion The SAAG, ascites total protein, ascites to serum protein, LDH ratio are useful markers for the classification of ascites. Ascitic fluid to serum bilirubin ratio is an additional marker for the distinction of ascites, and the ratio >0.5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exudative ascites.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5396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교실) > 2. Thesis
Yonsei Authors
Cheong, Jae Youn(정재연)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621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