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1660

Cited 0 times in

여성의 자궁절제술후 삶의 질 구조모형

Other Titles
 (A) structural model for quality of life in women having hysterectomies 
Authors
 김숙남 
Issue Date
1998
Description
간호학과/박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자궁절제술을 받은 여성의 삶의 질에 영향하는 변인들을 파악하여 삶의 질을 설명, 예측하는 구조모형을 구축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의 가설적 모형은 문헌고찰과 선행연구를 토대로 구성하였다. 부부친밀도, 자궁중요도, 의료인지지, 수술전 증상정도, 적극적 대처유형은 모형내에서 외생변인으로 처리되었고, 배우자지지, 상실감, 삶의 질은 내생변인으로 14개의 연구가설이 설정되었다.

모형검증을 위한 자료수집은 1997년 12월 20일부터 1998년 2월 24일까지 부산시내 4개 종합병원 외래와 우편지설문법을 이용하여 203명을 대상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 모형검증에 이용된 8개의 연구도구의 Cronbach's Alpha값의 범위는 0.639에서 0.915였다.

연구의 기술적통계와 상관관계 분석은 SPSS 7.5 WIN Program을 이용하였고, 가설적 모형검증은 LISREL 8.12 WIN Program을 이용하여 공분산 구조분석 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모형의 부합도 분석결과

1) 가설적 모형의 전반적 부합지수는 높게 나타나 모형과 실제 자료가 잘 부합하는 것으로 나왔다 [χ**2 =6.93(df=5, p=.23), GFI=.99, AGFI=.94, RMSR=.019, NNFl=.97, NFI=.98, CN=440, 표준화잔차(-2.14∼2.10) ].

2) 모형의 간명함과 부합도를 높이기 위하여 이론적 타당성과 세부적지수를 이용하여 1개의 경로를 추가하고 3개의 경로를 제거하여 수정모형을 구성하였다. 수정모형의 부합지수는 가설적 모형의 부합지수보다 더 양호한 것으로 나왔다 [χ**2 =5.26(df=7, p=.63),

GFI=.99, AGFI=.97, RMSR=.014, NNFI=1.02, NFI=.99, CN=710, 표준화잔차(-1.46∼ 1.70) ].

2. 가설검증 결과

1) 부부친밀도(γ11=.78, t=14.37)와 의료인지지(γ13=.12, t=2.12)는 배우자지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왔다.

2) 상실감은 수술전 증상정도(γ25=.32, t=3.12), 자궁중요도(γ22=.20, t=2.61),배우자지지(β21=-.19, t=-2.43)로부터 통계적으로 유의한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다. 대처유형( γ24=-.11, t=-1.25)은 상실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3) 삶의 질은 상실감(β32=-.66, t=-9.831)으로 부터 유의하게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고, 부부친밀도는 삶의질에 직접효과(γ31=.19,t=3.33)외에 간접효과(효과계수=.14, t=2.52

)와 총효과(효과계수=.25, t=4.41)에서도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의료인지지는 직접효과(γ33=.11, t=2.07)와 간접효과(효과계수=.02, t=1.71)를 포함한 총효과(효과계수=.13, t=2.31)에서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수술전 증상정도와(효과계수=-.36, t=-4.02) 적극적 대처유형(효과계수=.15, t=2.06)은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으나 간접효과의 영향으로 총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상의 모형검증 결과 본 연구에서 구축한 여성의 자궁절제술후 삶의 질 구조모형은 실제자료와 잘 부합하여 자궁절제를 받은 여성의 삶의 질을 예측하기에 적합한 모형이라고 사료된다. 모형검증 결과 자궁절제술후 삶의 질은 상실감이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중요한 매개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상실감은자궁에 대한 중요도와 수술전 증상정도 및 배우자지지에 영향을 받았고, 배우자지지는 부부친밀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전문적지지프로그램의 개발과 활용을 통하여 자궁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배우자지지를 도모하여 삶의 질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상실감을 완화하는데 핵심을 두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예방적수준의간호중재를 위해 수술전 증상정도와

부부친밀도를 파악함으로서 수술후 상실감을 예측하여 간호중재가 필요한 우선적인 대상자를 위한 실제적인 근거를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영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e and test the structural model for quality of life in women having hysterectomies.

A hypothetical model was constructed on the basis of previous studies and a review of literature. The conceptual framework was built around eight constructs. Exogenous variables included in this model were marital intimacy, importance of uterus, professional support, positive coping behavior and pre-operative symptoms. Endogenous variables were spouse's support, sense of loss and quality of life.

Empirical data for testing the hypothetical model was collected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re from 203 women having hysterectomies at the outpatient clinics of four general hospitals and a mail survey in Pusan Cit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December, 1997 to January, 1998,Reliability of the eight instruments was tested with Cronbach's alpha which ranged from 0.639-0.915.

For the data analysis, SPSS 7.5 WIN Program and LISREL 8.12 WIN Program were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variance structural analysis.

The results of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were as follows:

1. Hypothetical model showed a good fit with the empirical data.[χ**2 =6.93(df=5, p=.23), GFI=.99, AGFI=.94, RMSR=.019, NNFI=.97, NFI=.98, CN=440, standardized residuals(-2.14-2.10) ]

2. For the parsimony of model, a modified model was constructed by deleting 3 paths and adding 1 path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meaning.

3. The modified model also showed a good fit with the data.[χ**2 =5.26(df=7,P=.63), GFI=.99, AGFl=.97, RMSR=.014, NNFI=1.02, NFI=.99, CN=710, standardized residuals(-1.46-170) ]

Results of the testing of the hypothesis were as follows:

1. Marital intimacy( γ ll=.78, t=14.37) and professional support(γ13=.12,t=2.12)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e spouse's support.

2. Pre-operative symptoms( γ25=.32, t=3.12), importance of uterus(γ22=.20,t=2.61) and spouse's support( β21=-.19, t=-2.43)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e sense of loss.

3. Sense of loss( β32=-.66, t=-9.83) had a direct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Marital intimacy had a direct( γ31=.19, t=3.33) , indirect( γ31=.14, t=2.52)and total effect( γ31=.25, t=4.41) on the quality of life. Professional support had a direct effect( γ33=.11, t=2.07) and total effect( γ33=.13,t=2.31) on the quality of life. The direct effect of pre-operative symptoms( γ35=-.36, t=-4.02) and positive coping behavior(γ34=.15,t=2.06) had the insignificant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while, due to the idirect effect these variables had overall significant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sense of loss had the most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Marital intimacy, pre-operative symptoms and spouse's support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is sense of loss. These four

variables, the sense of loss, marital intimacy, pre-operative symptoms and spouse's support, were identified as relatively important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re is needed to determine if nursing intervention would alleviate this sense of lass and promote a greater quality of life in women who have had hysterectomies.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6366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585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