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1009

Cited 0 times in

기관지확장증에 동반된 소기도 질환의 고해상 전산화단층촬영 소견 및 임상적 의의

Other Titles
 High resolutional computed tomographic findings and clinical significance of small airway disease combined bronchiectasi 
Authors
 홍용국 
Issue Date
1998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기관지확장증이 있는 환자에서 소기도 질환의 동반 빈도와 정도를 조사하고, 이들의 임상적 의의를 알아 보기 위하여, 기관지확장증이 의심되어 흉기 및 호기 시에 각각 고해상 전산화단층촬영(CT)을 시행한 환자 중 기관지확장증의 소견을 보인 3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기관지확장증의 분절 수를 조사하고 기관지확장증의 정도에 따라 3 군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소기도 질환의 소견을 보인 분절 수와 호기 고해상 CT에서의 폐음영 감소를 정량화하여, 기관지확장증의 정도와 소기도 질환의 정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기관지확장증과 소기도 질환의 정도를 폐기능 검사를 시행한 22명의 환자에서 폐기능과 상관분석 하였다.

기관지확장증 있는 환자39명의 환자 중 35명(89.7%)에서 소기도 질환의 소견이 동반되었고, 기관지확장증이 있는 244분절 중 187분절(76.6%) 뿐만 아니라 기관지확장증의 소견이 없는 492분절 중 122분절(24.8%)에서도 소기도 질환의 소견이 있었다. 소기도 질환은 291분절에서는 폐음영의 감소를 보였고, 67분절에서는 세기관지 확장, 45분절에서는 중심소엽성 결절과 수지상 음영의 소견으로 나타났다. 기관지확장증의 각 군 간에 소기도 질환에 의한 폐음영 감소 정도는 의미 있는 상관관계를 보였다(p=0.02). 기관지확장증의 정도에 따른 각 군간에 폐기능 검사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그러나 소기도 질환의 소견을 보이는 분절 수와 소엽성 폐음영 감소 정도는 폐기능 검사의 노력성 폐활량, 1초간 노력성 호기량, 1초간 노력성 호기량/노력성 폐활량, 최대호기유속, 노력성 호기중간유량들과 모두 의미 있는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결론적으로 소기도 질환은 기관지확장증과 자주 동반되며, 주로 폐음영 감소 소견으로 나타난다. 흡기 및 호기 고해상 CT를 통하여 기관지확장증에 동반된 소기도 질환을 찾고 그 정도 정량화 할 수 있었고 이것은 폐기능 장애와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영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on high resolutional CT, the prevalence and extent of small airway disease in the patients with bronchiectasis, and to correlate the results of high resolutional CT with pulmonary function tests, in order to evaluate its clinical significance.

High resolutional CT scans were obtained at inspiration and expiration in 39 patients with bronchiectasis. Inspiration scan were scored at the level of segment for the extent of bronchiectasis.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bronchiectasis. Expiratory scan were scored for presence and extent of area of decreased attenuation. The results of high resolutional CT scans were correlated with pulmonary function test in 22 patients.

Small airway disease was noted in 35 patients(89.7%). It was identified in 187 segments(76.6%) of 244 segments with bronchiectasis, and in 122 segments(24.8%) of 492 segments without bronchlectasis. CT findings of small airway disease included decreased lung density in 291 segments, bronchioloectasia of 67 segments, and centrilobular nodules and branching areas of 45 segments. The score of bronchiectasis was related to the extent of decreased attenuation(r=0.58, p<0.001). The extent and severity of bronchiectasis is not correlated with FEV^^1, FVC, FEV^^l/FVC. The number of segments of small airway disease and area of deceased lung density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results of pulmonary function tests, including FEV^^1, FVC, FEV^^1/FVC, FEF^^25-75%, PEFR.

Our study suggests that there is a high prevalence of small airway disease with bronchiectasis. Inspiratory and expiratory high resolutional CT can detect and determine the extent of small airway disease. The extent of small airway disease is related to pulmonary functional impairment.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4551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Radiology (영상의학교실) > 2. Thesis
Yonsei Authors
Hong, Yong Kook(홍용국)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579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