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593

Cited 0 times in

병사용 진단서 발급을 위한 복강경 검사하 간침생검소견

Other Titles
 Peritoneoscopic liver biopsy findings for military medical certificate 
Authors
 백용한 
Department
 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교실) 
Issue Date
1998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우리나라는 Hepatitis B surface antigen carrier (HBsAg carrier) 뿐만 아니라 B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만성 간질환이 많으며 특히 모체로부터 B형 간염 바이러스의 주산기 감염에 의한 조기감염으로 사회적으로 왕성히 활동할 젊은 나이에 만성 간질환으로 이행하는 경우가 많아 개인적으로 큰 불행이며 국가적으로도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징병신체검사상 간기능 이상이 있거나 Hepatitis B surface antigen (HBsAg)이 양성으로 판명되어 간질환의 원인규명 및 정도를 알기 위하여 복강경 검사하 간침생검을 시행받고 병사용 진단서를 발급받았던 젊은 성인 남자 140예를 대상으로 복강경 검사소견 및 간침생검소견을 비교 분석하여 우리 나라 젊은 성인 남자에서의 간질환의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간침생검조직의 병리조직학적 소견은 1968년부터 보편적으로 De Groove 분류법에 의해 이루어져 왔는데 이 분류법은 만성간염을 단순히 조각괴사의 유무여부로 만성 활동성 간염과 만성 지속성 간염으로 구분하였는데 간세포의 손상정도에만 지나친 비중을 둔 결과 간섬유화의 정도에 대하여는 관심을 기울이지 않아 최근 병의 섬유화 진행정도를 포괄하는 새로운 만성 간염의 분류법이 대두되고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De Groote 분류법상 만성 간염으로 판명된 예를 modified Ludwig 분류법에 따라서 재판독하여 기존 분류법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만성 HBsAg 보유자에서 간기능 이상여부와 HBeAg 양성 여부에 따른 간침생검소견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이 두 인자들이 만성 간질환으로 이행하였는지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유용성이 있는지를 평가하였다.

1. 대상 환자 140예의 평균연령은 20.9세였으며 HBsAg양성자가 122예(87.1%)였고 Hepatitis C virus antibody (anti-HCV) 양성자가 2예(1.4%)였으며 나머지 16예(11.5%)는 HBsAg과 anti-HCV 모두 음성이었다.

2. De Groove 분류법에 의한 간침생검소견상 대상 환자 140예중 115예(82.1%) 에서 만성 간질환이 있었으며 만성 활동성 간염이상의 심한 만성 간질환을 갖고 있는 경우도 85예(60.7%)에 달했다. 복강경 검사와 간침생검소견을 비교한 결과 복강경 검사소견과 간침생검소견이 일치하는 경우는 140예중 93예(65%)였다.

3. HBsAg 양성 예에서 De Groote 분류법에 의한 간침생검소견상 122예중 113예(92.6%)에서 만성 간질환 소견을 보였으며, aminotransferase가 정상인 29예 중 24예(82.8%)에서 만성 간질환 소견을 보였고 14예(48.3%)는 만성 활동성 간염이상의 심한 만성 간질환을 갖고 있었다.

4. HBsAg 양성 예에서 De Groote 분류법상 만성 활동성 간염으로 판독된 54예는 Modified Ludwig 분류법상 섬유화의 진행정도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 새로운 Modified Ludwig 분류법에 의해서 De Groote 분류법이 간과하고 있는 만성 간염의 섬유화 정도를 알 수 있으므로 만성 간염 환자의 조직학적 상태를 보다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5. HBsAg 양성 예에서 De Groote 분류법에 의한 간침생검소견이 간기능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조사한 결과 aminotransferase가 100이상으로 증가되어 있는 군에서 aminotransferase가 정상인 군보다 만성 간질환 및 심한 만성 간질환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p=0.000, p=0.013).

6. HBsAg 양성 예에서 modified Ludwig 분류법에 의한 간침생검소견이 간기능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조사한 결과 간소엽내 활성과 문맥 주변부 활성은 aminotransferase수치와 유의한 양(positive)의 상관관계를 갖고 있었고 특히 간소엽내 활성이 문맥 주변부 활성보다 상관성이 높았다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0.526 vs. 0.416). 그러나 aminotransferase 수치와 만성 간염의 섬유화 진행정도와는 상관관계가 없었다(p=0.268). 만성 간염의 섬유화 진행정도는 prothrombin time(%)과 유의한 역상관관계가 있었다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0.516, p=0.000).

7. HBsAg 양성 예에서 De Groote 분류법에 의한 간침생검소견이 HBeAg 양성 여부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조사한 결과 양 군간에 만성 간질환의 빈도차이가 없었다(95.0% vs. 88.9%, p=0.252). 그러나 간경변증, 만성 활동성 간염 및 간경변증에서는 HBeAg 음성이 유의하게 많았고(9.1% vs. 90.9%, p=0.000) 만성 활동성 간염에서는 HBeAg 양성이 유의하게 많았다(84.3% vs. 15.7%, p=0.000).

이상의 결과로 우리나라 젊은 성인 남자들의 만성 간질환의 주된 원인은 만성 B형 간염 바이러스임을 알 수 있었으며 C형 간염이 원인인 경우는 매우 적었다. 만성 HBsAg carrier의 간침생검소견상 만성 간질환의 빈도가 매우 높았으며 특히 간기능이 정상인 군에서

도 간침생검소견상 만성 간질환의 빈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만성 HBsAg carrier에서 aminotransferase수치가 높을수록 만성 활동성 간염이상의 심한 만성 간질환을 갖고 있는 예가 많았으며 aminotransferase수치는 modified Ludwig 분류법상 간소엽내 활성 및 문맥주변부 활성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섬유화 진행정도와는 관계가 없었으며 섬유화 진행정도는 prothrombin time과 유의한 역상관관계가 있었다. HBeAg 양성 여부에 따른 만성 간질환의 빈도차이는 없었으나 간경변증이나 만성활동성 간염 및 간경반증에서는 HBeAg 음성이, 만성 활동성 간염에서는 HBeAg 양성이 유의하게 많았다.

[영문]

Korea is one of the endemic areas for Hepatitis B virus(HBV) infection and there are many people who were infected by HBV by means of vertical transmission. As a result there are a lot of young person suffering from chronic liver diseases in Korea. This is not only a personal unhappiness but also a big social problem.

Therefore peritoneoscopic liver biopsy findings were reviewed in 140 young male who were undertaken peritoneoscopic liver biopsy for the purpose of military medical certificate. The terms "chronic persistent hepatitis" (CPH) and "chronic active hepatitis" (CAH) were solidified in 1968 by De Groote et al. The classification of chronic hepatitis by De Groote emphasizes extent of hepatocellular damage too much and neglects the degree of fibrosis, therefore new revised system of classifying chronic hepatitis developed. Biopsy findings of chronic hepatitis were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new modified Ludwig classification system.

This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the prevalence of chronic liver disease among the Korean young male, to compare the peritoneoscopic findings with histologic findings, to compare two classification systems for chronic hepatitis and to know whether abnormal liver function or HBeAg status predict the fact that the patient has chronic liver disease or not.

Most of the chronic liver disease in Korean young men were caused by hepatitis B viruses, however hepatitis C virus was very rare. According to De Groote's classification, the pathologic findings were consistent with chronic liver diseases in 80.7% of the patients. About ninety-three percents of HBsAg positive cases had chronic liver diseases, and 82.8% of HBsAg positive cases with normal liver function tests had chronic liver diseases. The frequency of chronic liver disease was higher in patients with aminotransferase level more than 100 than those whose aminotransferase level was normal in HBsAg positive cases. The frequency of chronic liver disease in HBsAg carrier with normal liver function was surprisingly high. According to modified Ludwig's classification,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minotransferase level and lobular activity and periportal activity, bu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aminotransferase level and stage. The frequency of chronic liver diseases was not different between HBeAg positive group and anti-HBe positive group. But in cases of chronic active hepatitis, the frequency of HBeAg positive was higher than anti-HBe positive, in cases of liver cirrhosis and chronic active hepatitis with liver cirrhosis, the frequency of anti-HBe positive was higher than HBeAg positive.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liver biopsy be done in every chronic HBsAg carrier to confirm his or her underlying liver disease although liver function tests are normal and regardless of HBeAg status.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5309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교실) > 2. Thesis
Yonsei Authors
Paik, Yong Han(백용한)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576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